항목

  • 대종교 금지령 (관련어 대종교금지령)
    대종교 금지령(大倧敎禁止令)은 1925년 당시의 지린 독군(督軍) 겸 성장(省長)인 장쭤린이 일본의 압력에 굴복하여 소위 삼시조약(三矢條約)을 체결했는데 그 부대조항(附帶條項)에 중국측에서 대종교를 해산시켜야 한다는 항목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 조약의 이행이라는 명목으로 1926년 만주내에서의 대종교 금지령이 ...
    도서 위키백과
  • 대종교 단군교, 大倧敎
    회삼경(會三經)〉 등 많은 저술을 남겼다. 김교현의 뒤를 이어 3대 교주가 된 윤세복(尹世復)은 1928년 삼시조약(三矢條約)에 의한 대종교 금지령을 외교교섭으로 철회시키고 대종교를 사수하기 위해 1934년 발해 고도인 닝안 현[寧安縣] 둥징[東京]으로 옮겨 대종학원을 세우고, 대종교 선도회를 하얼빈[哈爾濱]에 설치...
  • 대종교 大倧敎, Daejonggyo
    된 윤세복은 1945년 광복과 더불어 귀국할 때까지 수많은 고난을 겪었다. 1926년 일본의 압력을 받은 만주 길림성장(吉林省長) 장쭤샹(張作相)에 의하여 「대종교포교금지령」이 내려지게 되어 동·서·북 3개의 도본사가 해체되었고, 서울의 남도본사마저 폐쇄되었다. 이에 총본사를 밀산현 당벽진(密山縣當壁鎭)으로...
    시대 :
    근대
    설립 :
    1909년 1월 15일
    성격 :
    종교, 신종교
    유형 :
    단체
    설립자 :
    나철(羅喆)
    분야 :
    종교·철학/대종교
  • 대종교선도회 大倧敎宣道會
    대종교인들은 커다란 곤경에 처하게 되었다. 1926년 12월 길림성장(吉林省長) 겸 독군(督軍)인 장쭤샹(張作相)이 조약을 이행한다는 명목하에 <대종교 포교금지령>을 발포하여 만주에서도 불법화되었다. 교인들은 이러한 조처를 철회시키기 위하여 적극적인 교섭을 벌였으나 일제의 방해공작으로 실패하고, 1928년 중...
    시대 :
    근대
    위치 :
    만주 하얼빈 안평가(哈爾濱安平街)
    설립 :
    1934년 3월
    성격 :
    종교단체, 포교기구
    유형 :
    단체
    설립자 :
    윤세복(尹世復)
    분야 :
    종교·철학/대종교
  • 윤세복 상원(庠元), 尹世復
    로 취임하였다. 그러나 취임 후 4년 만인 1928년에 일본군부의 압력에 눌려 장쭤린(張作霖)이 체결한 이른바 삼시조약(三矢條約)의 부대조항에 의하여 대종교 금지령이 내려지자, 부득이 총본사를 밀산 당벽진으로 옮기는 수난을 겪었다. 이 금지령은 상해에 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요인 박찬익(朴贊翊)의 외교활동으로...
    시대 :
    현대
    출생 :
    1881년
    사망 :
    1960년
    유형 :
    인물
    직업 :
    대종교인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대종교
  • 천기 天旗
    을 그린다.”로 바뀌었다. 그리고 이에 관한 시행규칙이 1926년 제4차 교의회에서 결의되었으나, 당시 이른바 미쓰이조약(三矢條約)으로 인한 대종교 포교금지령 때문에 그 실시가 보류되었다가 1935년 12월에 실시하게 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제작방법은 흰 천을 길이 3, 너비 2의 비율로 재단하고 그 중심점에서...
    시대 :
    근대
    유형 :
    물품
    분야 :
    종교·철학/대종교
  • 윤세복
    을 받고, 연안현에서 제3세 도사교로 취임했다. 그러나 취임 후 5년째인 1928년 1월 초, 지린(吉林) 독군(督軍) 겸 성장(省長)인 장쭤린(張作霖)에 의해서 대종교 금지령이 내렸다. 그리하여 그는 총본사를 미산(密山) 당벽진으로 옮기고 박찬익(朴贊翊)으로 하여금 난징 국민정부의 장제스(蔣介石)와 절충케 하여...
    도서 위키백과
  • 김교헌 金教献
    대종교 3대 교주가 된 윤세복(尹世復)은, 일제의 압력을 받은 국민정부 대륙 본토 중화민국 시대의 길림성장(吉林省長)이었던 장쭤린(張作霖)에 의해 <대종교 포교금지령>이 내려지자, 만주의 대한제국 자국 동포 서상용(徐相庸)의 뜨거운 원조를 받으며, 대종교 총본사를 발해의 옛 도읍터였던 북간도 동경성(東京城...
    도서 위키백과
  • 나철
    神檀民史), 『단조사고』(檀祖事攷) 등을 저술하였다. 3세 교주가 된 윤세복(尹世復)은 일제의 압력을 받은 길림성장(吉林省長) 장쭤상(張作相)에 의해 <대종교 포교금지령>이 내려지자 총본사를 발해의 옛 도읍터였던 동경성(東京城)으로 이전, 대종학원을 설립하고 대종교서적간행회를 발족시켜 『삼일신고』, 『종지...
    도서 위키백과
  • 전조선청년당대회 全朝鮮靑年黨大會
    단체는 서울청년회를 비롯해 천도교유신회·불교청년회·불교여자청년회·대종교중앙청년회·포항청년회·진영청년회 등이었다. 이들은 교육·경제·종교·민족...독립운동으로 주목되어 탄압을 받았고, 1923년 3월 29일 일제 당국이 집회 금지령을 내림으로써 막을 내렸다. 일제 당국이 처음에 이 대회를 개최할 수...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설립 :
    1923년 3월 24일
    성격 :
    사회주의단체, 청년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23년 3월 29일
    분야 :
    역사/근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다음페이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