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노론 사대신 사충(四忠), 老論 四大臣
    이에 대비 인원왕후(仁元王后, 숙종의 3번째 왕비)의 하교로 연잉군(延礽君, 후일의 영조)이 왕세제로 책봉되었다. 노론 측에서는 계속해서 왕세제에게 대리청정을 시킬 것을 권유하여, 국왕의 허락을 받고, 영의정 김창집 등이 주도하여 절목을 제정하여 올렸다. 그러나 소론의 조태구(趙泰耈) 등의 반대로 노론 측의...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사도세자사건 임오옥, 思悼世子事件
    사도세자를 모시는 대부분의 궁녀와 내시들이 경종을 모시던 사람들로서 이들에게서 경종의 억울한 사정을 들은 까닭이었다(→ 신임사화). 1749년 사도세자가 대리청정을 하자, 그를 반대하는 노론과 이에 동조하는 정순왕후와 숙의문씨(淑儀文氏) 등이 영조에게 무고를 했다. 이에 영조는 수시로 세자를 불러 꾸짖음...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조태억 趙泰億
    경종 1) 경상도관찰사를 거쳐 호조참판으로 있을 때 소론인 조태구·최석항(崔錫恒)·이광좌(李光佐) 등과 함께 연잉군(延礽君:뒤의 영조)의 세제책봉과 대리청정을 반대하여 철회시켰으며, 김일경(金一鏡) 등 소론의 과격파들과 신임사화를 일으켜 노론을 제거하고 정권을 잡은 후에는 대사성·세제우부빈객 등을...
    출생 :
    1675년(숙종 1)
    사망 :
    1728년(영조 4)
    국적 :
    조선, 한국
  • 이인좌의 난 무신란, 李麟佐의 亂
    관여하지 않았고, 재위 중에도 국사를 제대로 처리하기 어려웠다. 이에 노론측은 경종의 무자다병(無子多病)을 이유로 연잉군의 세제책봉(世弟冊封)과 세제대리청정을 서둘렀다. 그러자 소론측은 경종의 보호를 명분으로 신임사화를 일으켰다. 그러나 경종이 재위 4년 만에 죽고 세제인 영조가 왕위를 계승하자...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최석항 崔錫恒
    지냈다. 1721년(경종 1)과 그 이듬해에 걸쳐 왕위계승문제를 둘러싸고 신임사화가 일어났다. 이때 좌참찬으로서 경종으로 하여금 세제(世弟:후에 영조)의 대리청정을 철회하게 하여 소론의 승리에 큰 역할을 했다. 이후 우의정을 거쳐 좌의정 재임중에 죽었다. 1725년(영조 1) 신임사화의 원흉으로 몰려 관작이 추탈...
    출생 :
    1654(효종 5)
    사망 :
    1724(경종 4)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 이의현 李宜顯
    경기도관찰사·예조참판 등을 지냈다. 1720년 경종이 즉위하자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예조판서를 지내던 중 왕세제(王世弟)인 연잉군(延礽君)의 대리청정문제로 소론 김일경(金一鏡)의 탄핵을 받아 벼슬에서 물러났으며, 김일경의 사주를 받은 목호룡의 고변(告變)으로 신임사화가 일어나자 운산으로 유배되었다...
    출생 :
    1669(현종 10)
    사망 :
    1745(영조 21)
    국적 :
    조선, 한국
  • 조만영 조선 후기의 문신
    의 빈(嬪)이 되어 풍은부원군(豊恩府院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이조참의가 되었으며, 1821년 금위대장을 거쳐 1826년 이조판서가 되었다. 1827년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하게 되자 세자의 장인으로서 세력을 키우고, 1828년 이후 훈련대장을 겸임하면서 풍양조씨 세도의 기초를 마련했다. 1830년 세자가 죽은 후에도...
    출생 :
    1776(영조 52)
    사망 :
    1846(헌종 12)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본관 :
    풍양(豊壤,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시호 :
    충경(忠敬)
    자 :
    윤경(胤卿)
    호 :
    석애(石崖)
  • 조선 24대 왕, 헌종 憲宗
    의 딸 신정왕후(神貞王后)이다. 비는 김조근(金祖根)의 딸 효현왕후(孝顯王后)이며, 계비는 홍재룡(洪在龍)의 딸 명헌왕후(明憲王后)이다. 1830년(순조 30) 대리청정을 하던 익종이 병사한 후 왕세손에 책봉되었고, 1834년 순조가 죽자 8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즉위초 순조비 순원왕후(純元王后)가 수렴청정(垂簾...
    출생 :
    1827(순조 27)
    사망 :
    1849(헌종 15)
    국적 :
    조선, 한국
    종교 :
    유교(성리학)
    재위 :
    1834년~1849년
    시호 :
    헌종체건계극중정광대지성광덕홍운장화경문위무명인철효성황제(憲宗體健繼極中正光大至聖廣德弘運章化經文緯武明仁哲孝成皇帝)
    출생지 :
    조선 한성부 창경궁 경춘전
    능묘 :
    경릉(景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인물 , , 한국사
  • 김노경 가일, 金魯敬
    예조판서를 비롯하여 6조의 판서, 대사헌·판의금부사·광주부유수·지돈녕부사 등의 요직을 두루 역임했다. 1830년 지돈녕부사로 재임중, 익종(翼宗)이 대리청정을 할 때 중직에 있으면서 전권을 휘둘렀을 뿐만 아니라 이조원의 옥을 덮어버렸다는 이유로 의정부와 삼사의 탄핵을 받았다. 강진현 고금도에 유배되었다가...
    출생 :
    1766년(영조 42)
    사망 :
    1840년(헌종 6)
    국적 :
    조선, 한국
  • 민진원 閔鎭遠
    양전구관당상(量田勾管堂上)·이조판서·호조판서를 역임했다. 1721년(경종1) 실록청총재관으로 〈숙종실록〉 편찬에 참여했으며, 왕세제(뒤의 영조)의 대리청정을 실현하도록 했다. 이듬해 신임사화로 다시 성주에 유배되었으나, 1724년 영조가 즉위하고 노론이 집권하자 우의정에 오르고 〈경종실록〉 편찬을 관장했다...
    출생 :
    1664(현종 5)
    사망 :
    1736(영조 12)
    국적 :
    조선, 한국
  • 최규서 崔奎瑞
    실세하자 관직을 사퇴하고 고향 광주에 은거했다. 1721년(경종 1) 소론이 집권하자 소론의 영수로 우의정이 되었고, 같은 해 노론이 세제(뒤의 영조)의 대리청정을 건의하자 이에 반대하여 철회시켰다. 1723년 영의정에 올랐다가 사직한 후 봉조하가 되었다.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 등이 밀풍군 탄(坦)을 추대...
    출생 :
    1650년(효종 1), 경기 광주
    사망 :
    1735년(영조 11)
    국적 :
    조선, 한국
  • 이이명 李頤命
    후원을 자임했다. 1721년(경종 1) 김창집(金昌集)·조태채(趙泰采)·이건명(李健命)과 함께 노론4대신(老論四大臣)의 한 사람으로 세제(世弟:뒤의 영조)의 대리청정(代理聽政)을 실현하려다가 실패했다. 이 일 때문에 소론의 격렬한 공격을 받아 관작을 삭탈당하고 남해로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죽음을 당했다(신임사화...
    출생 :
    1658(효종 9)
    사망 :
    1722(경종 2)
    국적 :
    조선,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대리청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