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776(영조 52) |
---|---|
사망 | 1846(헌종 12) |
국적 | 조선, 한국 |
종교 | 유교(성리학) |
본관 | 풍양(豊壤, 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
시호 | 충경(忠敬) |
자 | 윤경(胤卿) |
호 | 석애(石崖) |
요약 조선 후기 추존왕 익종의 장인이며, 풍양조씨 세도의 기초를 마련한 인물. 본관은 풍양, 자는 윤경, 호는 석애이며 1827년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하게 되자 세력을 키우고, 풍양조씨 세도의 기초를 마련했다. 그는 왕실의 외척이라는 지위를 배경으로 주로 병권을 담당하면서 풍양조씨 가문이 중앙정치권력의 핵심부를 장악하여 세도정치의 한 축을 이루도록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윤경(胤卿), 호는 석애(石崖). 추존왕(追尊王) 익종(翼宗)의 장인으로, 아버지는 이조판서 진관(鎭寬)이며, 동생이 영의정 인영(寅永)이다. 1813년(순조 13) 능원랑(陵園郞)으로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이 된 뒤, 지평·정언·겸문학 등을 지냈다. 1816년 암행어사로 전라도지방에 파견되었으며, 조사를 마치고 돌아와 민폐를 지적하는 상소를 올려 전라도관찰사를 파면시켰다. 1819년 부사직으로 있을 때 딸이 효명세자(孝明世子)의 빈(嬪)이 되어 풍은부원군(豊恩府院君)에 봉해졌다. 이듬해 이조참의가 되었으며, 1821년 금위대장을 거쳐 1826년 이조판서가 되었다. 1827년 효명세자가 대리청정을 하게 되자 세자의 장인으로서 세력을 키우고, 1828년 이후 훈련대장을 겸임하면서 풍양조씨 세도의 기초를 마련했다.
1830년 세자가 죽은 후에도 호조·예조의 판서, 한성부판윤·판의금부사 등 요직을 역임하면서 세손(뒤의 헌종)의 보호에 힘썼다. 헌종이 즉위한 후 어영대장·훈련대장을 지내며 동생 인영, 조카 병현(秉鉉) 등과 함께 풍양조씨 가문의 세력 확장에 노력하다가,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가 수렴청정을 그만두고 1841년(헌종 7)부터 헌종이 직접 정사를 주재하게 되자 국왕의 원조를 기반으로 일족이 중앙 권력의 요직을 차지하여 안동김씨 일문에 대해 우위를 확보했다.
1845년 궤장(杖)을 하사받고 영돈녕부사가 되었다. 그는 왕실의 외척이라는 지위를 배경으로 주로 병권을 담당하면서 자신의 풍양조씨 가문이 중앙정치권력의 핵심부를 장악하여 세도정치의 한 축을 이루도록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글씨에 뛰어나 영흥의 궁달리기적비(宮里紀績碑), 임천의 〈회양부사조신묘표 淮陽府使趙愼墓表〉 등이 전한다. 저서로 〈동원인물고 東援人物考〉가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시호는 충경(忠敬)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