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669(현종 10) |
---|---|
사망 | 1745(영조 21) |
국적 | 조선, 한국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용인. 자는 덕재, 호는 도곡(陶谷). 아버지는 좌의정 세백(世白)이며, 김창협(金昌協)의 문인이다.
1694년(숙종 20)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검열·정언·부교리·동부승지·이조참의·황해도관찰사를 거쳐 도승지·경기도관찰사·예조참판 등을 지냈다.
1720년 경종이 즉위하자 동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예조판서를 지내던 중 왕세제(王世弟)인 연잉군(延礽君)의 대리청정문제로 소론 김일경(金一鏡)의 탄핵을 받아 벼슬에서 물러났으며, 김일경의 사주를 받은 목호룡의 고변(告變)으로 신임사화가 일어나자 운산으로 유배되었다. 영조가 즉위한 뒤 형조판서·이조판서를 지내고 왕세자 죽책(竹冊:세자빈의 책봉문을 새긴 簡冊) 제진(製進)의 공으로 승문원제조와 비변사유사당상을 겸했다. 예조판서·양관대제학을 거쳐 1727년 우의정이 되었으나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 다음해 무신란(戊申亂)이 일어나자 판중추부사로 기용되어 관련자들을 다스렸다.
1732년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1735년 영의정이 되어 김창집(金昌集)·이이명(李頤命)의 신원을 요구하는 노론의 주장을 막으라는 영조의 명을 반대하다 삭직되었으나, 판중추부사로 기용된 뒤 1739년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저서로 〈도곡집〉이 있으며, 글씨로는 〈금양위박미비 金陽尉朴瀰碑〉·〈충정공홍익한갈 忠正公洪翼漢碣〉 등이 있다. 시호는 문간이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