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제헌국회 制憲國會
    치러지게 되었다. 제헌 국회의 정당별 의석 분포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가 55석, 한국민주당이 29석, 대동청년단 12석, 조선민족청년단 6석, 대한독립촉성농민연맹이 2석, 무소속 85석, 기타 11석이었다. 정당과 단체 기준으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가 제일 많았지만 전체적으로는 무소속이 가장 많았다. 무소속이 제일...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현대사
  • 자유당 自由黨
    있던 이범석에게 맡겨졌으며, 창당준비 당시의 자유당은 원내의 공화민정회 외에도 원외의 국민회·대한청년단·대한노동조합총연합회·대한부인회·농민조합총연맹 등 핵심적 사회단체를 망라했다. 1951년 11월 이승만의 재집권을 위한 대통령직선제와 상하 양원제를 골자로 한 개헌안이 국회에 제출되자 찬반양론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의회/정당
  • 한국의 무정부주의 운동
    삼부통합의 실패 후 사회주의 운동이 흥기하자, 반공노선에 입각하면서 사회주의와 대결하기 위해 무정부주의를 수용하게 되었다. 특히 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에서는 김좌진 등 신민부 인사들에게 독립운동의 방향을 어떤 주의·사상이나 이데올로기보다 200만 재만동포의 생존권 보장에 중점을 두고 농민의 경제적...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 , 선거
  • 유혁 劉赫
    라는 벽보가 붙자 우익의 테러를 염려한 동생의 권고로 부산으로 이주하였다. 유혁은 남로당[남조선노동당]의 당적을 가지지는 않았지만, 1947년 10월 경남농민연맹에 가입하여 선전부 문서 과장으로 활동하였고 경남농민연맹의 제5대 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경남농민연맹은 부산을 중심으로 경남 전체를 연결하는...
    분야 :
    역사
    지역 :
    부산광역시 북구
  • 농업협동조합 농협, 農業協同組合
    조합원의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협동조합에는 소비조합·생산조합·금융조합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농업협동조합(농협)은 그중 하나로서 농민의 협동조합이다. 농협은 협동조합 일반의 한 부분이므로 농협의 기본원칙은 협동조합의 기본원칙과 동일하다. 1937년 세계협동조합연맹(ICA)은 협동조합이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금융 , 기업
  • 윤봉길 윤우의, 尹奉吉
    국제연맹에서는 전대미문의 사건이라며 호들갑을 떨었고, 이만스 의장과 영국 외상 사이먼을 비롯한 각국 대표들이 앞 다투어 일본에 조전을 보냈다. 그렇지만 교전당사국이었던 중국의 반응은 그들과 정반대였다. 중국인들은 만보산사건으로 인해 그 동안 백안시하던 한국인들의 빛나는 투쟁성과에 박수갈채를 보냈다...
  • 김태수 金台洙
    11월 개최된 전국인민위원회대표자대회에 충북 영동 대표로 참여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농민위원회 ・ 농민조합 ・ 농민동맹 등 다양하게 존재했던 자생적인 농민단체들이 결집한 전국농민조합총연맹 결성대회에 충북도연맹 대표로 참석하였다. 1946년 2월 통일전선조직인 민주주의민족전선 결성대회에서 중앙위원...
    출생 :
    1904년 1월 16일, 충청북도 영동(永同)
    사망 :
    1950년 9월 2일
    주요활동 :
    1926년 영동청년회 집행위원, 영동노동청년회 집행위원, 영동청년연맹 중앙집행위원, 1929년 영동청년동맹 집행위원장, 영동농민조합 집행위원, 1930년 조선청년동맹 중앙집행위원, 1931년 적우동맹 책임비서, 1931년 영동농민조합 서기장 ・ 집행위원, 1946년 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위원
    포상훈격 :
    2006년 건국훈장 애족장
    관련 인물/단체 :
    영동청년회, 칠월회, 영동노동청년회, 영동청년연맹, 영동청년동맹, 영동농민조합, 적우동맹, 동아일보사 영동지국, 영동소비조합, 영동군인민위원회, 전국인민대표자대회, 전국농민조합총연맹, 민주주의민족전선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국전선, 祖國統一民主主義戰線
    呂運亨) · 허헌(許憲) 등 남한 공산주의자들(398명)이 주도하여 조선공산당을 중심으로 근오인민당 · 인민당 · 신민당 · 노동조합 전국평의회 · 농민조합 전국총연맹 등 좌익계 40여 정당 · 사회단체들을 묶어 ‘남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을 조직하였으며, 북한에서는 1946년 7월 22일김일성(金日成) · 김두봉...
    시대 :
    현대
    유형 :
    단체
    분야 :
    정치·법제/정치
  • 재외동포 해외 동포, 在外同胞
    호의 농민들이 이주하여 1930년에 60만 명 정도였던 한인 인구가 1940년에는 145만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등 동향인들의 ‘집단 부락’이 형성되었다. 1932년 만주국 건국 이후 만주에서 활동하던 항일 의병의 일부는 관내로 이동하고 만주에 남은 사람들은 중공군과 합작을 하였다...
    시대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사회/사회구조
  • 건아단 계림농흥사, 健兒團
    공인해주는 ‘조선인 학생담화회’를 통하여, 전 인구의 7할이 농민인 우리나라에서 농민대중을 계발하여 신사회를 건설한다는 목표로 1926년 여름방학 중 이...1928년 6월에는 일본 동경에 설치되어 있던 조선농우연맹에 가입하였고, 그 해 농우연맹본부에서 계몽강연단이 국내에 들어와 활동할 때, 연맹의 수원지부...
    시대 :
    근대
    설립 :
    1926년
    성격 :
    항일학생운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28년 9월
    분야 :
    역사/근대사
  • 무정부주의운동 無政府主義運動
    직접적 지배를 벗어난 신천지라는 조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갑오농민혁명의 해외판 부활이라고 할 수 있고, 무정부주의 사회의 실현 가능성을 현실...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이라는 전투체제로 개편되었다. 이 연맹은 일본침략세력 저지작전과 밀정 섬멸작전이 임무였다. 1937년 10월 중일전쟁...
    시대 :
    근대
    유형 :
    사건
    분야 :
    역사/근대사
  • 취추바이 瞿秋白, Ch'u Ch'iupai
    마오쩌둥의 농민혁명론에 전적으로 공감한 것은 아니었다. 그의 입장은 1927년 8월에 명확해지는데, 이때 그는 천두슈 대신 당 총서기가 되었고 공산당의 승리는 도시들을 점령함으로써만 가능하다는 주장을 계속했다. 그러나 공산당 요원들이 일으킨 광저우[廣州] 봉기가 사흘 만에 국민당에 의해 분쇄되자, 그의 정책...
    출생 :
    1899. 1. 29, 중국 장쑤 성[江蘇省] 창저우[常州]
    사망 :
    1935. 6. 18, 푸젠 성[福建省] 창팅[長汀]
    국적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