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제헌국회 制憲國會치러지게 되었다. 제헌 국회의 정당별 의석 분포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가 55석, 한국민주당이 29석, 대동청년단 12석, 조선민족청년단 6석, 대한독립촉성농민총연맹이 2석, 무소속 85석, 기타 11석이었다. 정당과 단체 기준으로는 대한독립촉성국민회가 제일 많았지만 전체적으로는 무소속이 가장 많았다. 무소속이 제일...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역사/현대사
-
-
한국의 무정부주의 운동삼부통합의 실패 후 사회주의 운동이 흥기하자, 반공노선에 입각하면서 사회주의와 대결하기 위해 무정부주의를 수용하게 되었다. 특히 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에서는 김좌진 등 신민부 인사들에게 독립운동의 방향을 어떤 주의·사상이나 이데올로기보다 200만 재만동포의 생존권 보장에 중점을 두고 농민의 경제적...
-
유혁 劉赫라는 벽보가 붙자 우익의 테러를 염려한 동생의 권고로 부산으로 이주하였다. 유혁은 남로당[남조선노동당]의 당적을 가지지는 않았지만, 1947년 10월 경남농민연맹에 가입하여 선전부 문서 과장으로 활동하였고 경남농민연맹의 제5대 위원장을 역임하기도 하였다. 경남농민연맹은 부산을 중심으로 경남 전체를 연결하는...
- 분야 :
- 역사
- 지역 :
- 부산광역시 북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
김태수 金台洙11월 개최된 전국인민위원회대표자대회에 충북 영동 대표로 참여하였다. 같은 해 12월에는 농민위원회 ・ 농민조합 ・ 농민동맹 등 다양하게 존재했던 자생적인 농민단체들이 결집한 전국농민조합총연맹 결성대회에 충북도연맹 대표로 참석하였다. 1946년 2월 통일전선조직인 민주주의민족전선 결성대회에서 중앙위원...
- 출생 :
- 1904년 1월 16일, 충청북도 영동(永同)
- 사망 :
- 1950년 9월 2일
- 주요활동 :
- 1926년 영동청년회 집행위원, 영동노동청년회 집행위원, 영동청년연맹 중앙집행위원, 1929년 영동청년동맹 집행위원장, 영동농민조합 집행위원, 1930년 조선청년동맹 중앙집행위원, 1931년 적우동맹 책임비서, 1931년 영동농민조합 서기장 ・ 집행위원, 1946년 민주주의민족전선 중앙위원
- 포상훈격 :
- 2006년 건국훈장 애족장
- 관련 인물/단체 :
- 영동청년회, 칠월회, 영동노동청년회, 영동청년연맹, 영동청년동맹, 영동농민조합, 적우동맹, 동아일보사 영동지국, 영동소비조합, 영동군인민위원회, 전국인민대표자대회, 전국농민조합총연맹, 민주주의민족전선
-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 조국전선, 祖國統一民主主義戰線呂運亨) · 허헌(許憲) 등 남한 공산주의자들(398명)이 주도하여 조선공산당을 중심으로 근오인민당 · 인민당 · 신민당 · 노동조합 전국평의회 · 농민조합 전국총연맹 등 좌익계 40여 정당 · 사회단체들을 묶어 ‘남조선민주주의민족전선’을 조직하였으며, 북한에서는 1946년 7월 22일김일성(金日成) · 김두봉...
- 시대 :
- 현대
- 유형 :
- 단체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재외동포 해외 동포, 在外同胞호의 농민들이 이주하여 1930년에 60만 명 정도였던 한인 인구가 1940년에는 145만 명으로 두 배 이상 증가했으며,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등 동향인들의 ‘집단 부락’이 형성되었다. 1932년 만주국 건국 이후 만주에서 활동하던 항일 의병의 일부는 관내로 이동하고 만주에 남은 사람들은 중공군과 합작을 하였다...
- 시대 :
- 현대
- 유형 :
- 개념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건아단 계림농흥사, 健兒團공인해주는 ‘조선인 학생담화회’를 통하여, 전 인구의 7할이 농민인 우리나라에서 농민대중을 계발하여 신사회를 건설한다는 목표로 1926년 여름방학 중 이...1928년 6월에는 일본 동경에 설치되어 있던 조선농우연맹에 가입하였고, 그 해 농우연맹본부에서 계몽강연단이 국내에 들어와 활동할 때, 연맹의 수원지부...
- 시대 :
- 근대
- 설립 :
- 1926년
- 성격 :
- 항일학생운동단체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28년 9월
- 분야 :
- 역사/근대사
-
무정부주의운동 無政府主義運動직접적 지배를 벗어난 신천지라는 조건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은 갑오농민혁명의 해외판 부활이라고 할 수 있고, 무정부주의 사회의 실현 가능성을 현실...남화한인청년연맹(南華韓人靑年聯盟)이라는 전투체제로 개편되었다. 이 연맹은 일본침략세력 저지작전과 밀정 섬멸작전이 임무였다. 1937년 10월 중일전쟁...
- 시대 :
- 근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근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