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농업을 경영하거나 농업에 종사하는 생산자로서의 농민이 조직하는 협동조합.
일반적으로 '농협'이라고 부른다. 협동조합이란 자본주의 사회에서 소비자·농민·중소기업자 등이 자주적으로 결성한 경제적 단체로서 잉여의 외부유출을 방지하고 조합원의 권익을 보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협동조합에는 소비조합·생산조합·금융조합 등 다양한 형태가 있으며, 농업협동조합(농협)은 그중 하나로서 농민의 협동조합이다. 농협은 협동조합 일반의 한 부분이므로 농협의 기본원칙은 협동조합의 기본원칙과 동일하다.
1937년 세계협동조합연맹(ICA)은 협동조합이면 당연히 구비해야 할 원칙으로 영국의 로치데일 협동조합원칙을 가장 보편적인 것으로 채택했다. 이 원칙은 ① 조합가입의 자유(조합공개의 원칙), ② 민주적 관리(1인 1표), ③ 잉여의 이용고 비례분배, ④ 출자금 이자 제한, ⑤ 정치·종교적 중립, ⑥ 현금판매, ⑦ 교육의 촉진 등 7원칙이다.
ICA는 1966년 자본주의 발전에 따른 협동조합의 내외부적 여건변화를 고려하여 원칙을 개정하였는데, 이전의 7원칙에서 정치적·종교적 중립조항과 현금판매의 조항을 삭제하고 대신에 협동조합간의 협동 원칙을 추가하여 6원칙이 되었다.
한국의 농업협동조합
개요
한국의 농업협동조합도 협동조합의 일반적인 원칙이 그대로 적용되었다.
연혁
우리나라는 전통적인 협동조직인 계·두레·품앗이 등에서 연원을 찾을 수 있는데, 근대적인 의미에서의 협동조합운동은 일제하에서 시작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종교계 및 일본 유학생을 중심으로 근대적인 협동조합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으며, 일제는 자주적인 협동조합운동을 억압하며 식민지 통치의 일환으로 관제적인 협동조합을 결성했으므로 본래적 의미의 협동조합과는 거리가 멀었다. 1907년의 금융조합과 1926년의 산업조합이 대표적인 관제 협동조합이었다.
8·15해방 이후에는 기존의 관제적인 협동조합과 자율적 협동조합운동이 대립했다. 1955년에는 존슨 안이, 1956년에는 쿠퍼 안이 제출되어 쿠퍼 안이 채택되었다. 존슨 안은 금융조합연합회를 농업은행으로, 금융조합 및 동(同) 지소를 농업조합으로 개편하여 농업은행은 농업조합에 대한 단일한 자금공급체가 되고 농업조합은 신용·구매·판매·이용 등 4종겸영체로 하자는 것이었다. 반면 채택된 쿠퍼 안은 부락, 시·군, 중앙회의 3단계 조직으로 하고 시·군 단위 농협에서 신용사업을 할 수 없게 하여 농업은행과 농협이 병립되게 했다. 쿠퍼 안이 채택된 이후에도 다양한 견해가 제기되어오다가 1961년 8월 '농업협동조합법'에 의거하여 농업은행과 농협이 통합되어 농업협동조합이 창립되었다. 1989년부터 농협중앙회장 및 단위조합장 직선제가 실시되었으며 1990년에는 첫 민선회장으로 한호선이 취임했다. 1981년부터 분리 운영되던 축산업협동조합이 1999년 8월에 제정된 농업협동조합법에 따라 2000년 7월 인삼협 중앙회와 함께 농협으로 통합되었다.
조직
농협의 조직구조는 중앙본부, 지역본부 16개, 시군지부 156개, 지사무소 29개, 하나로마트 등을 포함한 사업소 22개, 회원농협 1,170여 개, 지점 및 출장소 660여 개로 구성되어 있다. 민주적 운영을 기본 원리로 하는 내부조직은 총회·대의원회·이사회·감사로 구성되어 있다. 즉 최고 의결기구로서의 총회와 대의원회, 이사회가 있으며 조합의 활동을 견제하는 감사가 있다.
그밖에 (주)남해화학과 (주)농협유통 등 10개의 자회사가 있다.
주요사업
농협의 주요사업은 ① 농림수산업자 신용보증 등의 금융사업, ② 영농기술교육, 농민권익 보호, 농촌생활개선 및 문화향상을 추구하는 지도사업, ③ 농산물을 판매하고 영농자재와 생활필수품을 구입하여 농가 및 농촌지역에 공급하는 경제사업 등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