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지지가 知止歌
    이라는 누정을 짓고 은거하였다. 이 작품은 「용산가(龍山歌)」·「귀거래사(歸去來辭)」 등의 단가 작품과 함께 그 곳에서 지은 것이다. 1914년에 그의 후손 기우(基禹)가 간행한 『서원연고(瑞原聯稿)』 권2 부록 말미에 ‘번곡(翻曲)’이라 분류된 작품 유형의 하나로 실려 있다. 작품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면만...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려, 金礪
    창작/발표시기 :
    1914년
    성격 :
    단가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소장/전승 :
    전라남도 나주군 노안면 금안리
  • 포천군읍지 抱川郡邑誌
    토산(土産)·산천(山川)·영현(嶺峴)·사찰(寺刹)·고적(古蹟)·아사(衙舍)·사직단(社稷壇)·성황단(城隍壇)·여제단(厲祭壇)·창우(倉宇)·원사(院祠)·기우제단(祈雨祭壇)·봉수(烽燧)·제언(堤堰)·명현총묘(名賢塚墓)·인물(人物)·충신(忠臣)·효자(孝子)·열녀(烈女) 등으로 되어 있다. 아사조에는 향교·객사...
    시대 :
    근대
    저작자 :
    미상
    창작/발표시기 :
    1899년
    성격 :
    지방지, 읍지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분야 :
    지리/인문지리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장군광산 將軍鑛山
    내지 담회색이 우세하며, 회색 내지 암회색이 협재되는 백운석질 석회암 내지 백운암이 주맥을 이룬다. 주향은 대체로 동서방향이며, 경사는 대략 북쪽으로 기우나 일부에는 역전된 곳도 있다. 광상은 화강암과의 접촉부 부근의 백운석질 석회암 중에 발달된 망간광상과 유화광상이 있다. 망간광상은 각력파이프상을...
    성격 :
    광산
    유형 :
    지명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소천면 서천리
    분야 :
    경제·산업/산업
  • 토템의 가면
    있으며 동물의 혼도 인간의 모습을 취할 수 있다고 믿고, 이를 가면에 구체화하기 위해 인간과 토템 동물의 얼굴을 짝지어 하나의 가면에 새기기도 한다. 구와기우도루족·헤이다족 등은 가면에 정교한 장치를 부착해 춤을 추면서 끈을 당겨 그 표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며, 부리·코·턱·눈 등 가면의 일부만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이인배 계수(季修), 李仁培
    병과로 급제했다. 1757년 정언이 되고, 1761년 왕세손의 입학례를 행하고 좌익선(左翊善)이 되었다. 이후 누차 경연에 참여하여 왕을 보도하였다. 1762년 기우(祈雨)를 신중하게 할 것을 간하다 체차(遞差: 관직이 교체되거나 다음 관직이 제수될 때까지의 대기상태)되었다가 그 해에 독운어사(督運御史)로 북도에 파견...
    시대 :
    조선
    출생 :
    1716년(숙종 42)
    사망 :
    1774년(영조 50)
    경력 :
    대사간, 흡곡현령, 예조참의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성별 :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본관 :
    전의(全義, 지금의 충청남도 연기)
  • 용산가 龍山歌
    이라는 누정을 짓고 생활하였는데, 이 시조는 「귀거래사(歸去來辭)」·「지지가(知止歌)」 등의 시조와 함께 이곳에서 지은 작품이다. 1914년 저자의 후손 기우(基禹)가 간행한 『서원연고(瑞原聯稿)』 권2 부록 말미에 ‘번곡(飜曲)’이라 하여 실려 있다. 내용 작품내용은 다음과 같다. “용산(龍山)이 놉고놉고 백운...
    시대 :
    조선
    저작자 :
    김려
    창작/발표시기 :
    조선 후기
    성격 :
    시조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혜관 慧灌
    일본으로 건너가자, 일본왕은 겐코사(元興寺)에 머무르게 하였다. 이 곳에서 삼론종을 널리 펴고, 일본 삼론종의 개조가 되었다. 어느 해 가뭄이 심해서 왕이 기우(祈雨)를 드릴 때 그는 푸른 옷을 걸치고 삼론을 강(講)하였다. 그 때 큰비가 내리므로 조정에서는 크게 기뼈하여 승정(僧正)으로 추대하였다. 뒤에...
    시대 :
    고대/삼국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경력 :
    승정
    유형 :
    인물
    직업 :
    승려, 유학승
    성별 :
    분야 :
    종교·철학/불교
  • 금광명경도량 금강명경도량, 金光明經道場
    열어 불심을 깨우치는 도량을 개설하면, 국왕과 나라가 불법으로 보호받게 된다고 하여 호국의 목적으로 이 도량이 널리 성행하게 되었다. 한편, 고려시대에는 기우(祈雨)의 목적으로 이 도량이 개설되기도 하였다. 이 도량은 1041년(정종 7) 5월과 1047년(문종 1) 8월, 1048년 8월, 1052년 6월, 1083년 (선종 즉위년...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종교의례, 불교의식, 호국법회의식
    유형 :
    의식행사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장시표 응칠(應七), 張時杓
    교육기관을 활성화시켜 인재를 양성하는 한편, 농상(農桑)을 장려하고 교량을 수리하며 관개시설을 설치하는 등 지역발전에 힘썼다. 또한, 글도 잘 지었는데 장시표가 남긴 글 가운데 전문(箋文)이나 기우제문 등은 그 문장이 간략하면서도 웅장하며 엄격한 절제미가 돋보인다. 저서로는 『운고문집』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819년(순조 19)
    사망 :
    1894년(고종 31)
    경력 :
    현풍현감, 병조참의, 북청부사
    유형 :
    인물
    직업 :
    문신
    대표작 :
    운고문집
    성별 :
    분야 :
    역사/근대사
    본관 :
    인동(仁同)
  • 동반자작가 同伴者作家
    큰 관심을 가졌음을 알 수 있다. 동반자작가로서의 이효석의 단면을 실증해주는 소설로 <도시(都市)와 유령(幽靈)>(1929), <행진곡 行進曲>(1929), <기우 奇遇>(1929), <추억 追憶>(1929), <북국사신 北國私信>(1930) 등을 든다. 유진오를 동반자작가로 부를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해주는 작품으로는 <스리...
    시대 :
    근대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문학/현대문학
  • 풍아별곡 風雅別曲
    산유추 山有樞>의 5편을 각각 새겨서 불렀다. 그 중 한 수를 들면 “이 졈으러시니 아니 놀고 어이리/즐기믈 됴하나 황(荒)믄 말지어다/아마도 직기우(職事其憂)야 긔 양(良士)인가 노라”는 대목은, 어진 선비로서 놀고 즐김을 좋아하되 마땅히 그 근심을 생각하여 거칠어서는 안 된다는 내용으로...
    시대 :
    조선
    저작자 :
    권익륭(權益隆)
    성격 :
    연시조
    유형 :
    작품
    분야 :
    문학/고전시가
  • 김재백 金才伯
    대나마(大奈麻)였다. 764년(경덕왕 23) 7월 김재백 등 91인이 쓰쿠시[筑紫] 하카다진[博多津]에 도착하자, 일본조정은 우소변(右少弁) 종5위하(從五位下) 기우양(紀牛養) 등을 보내어 방문이유를 물었다. 이에 김재백은 당나라의 칙사 한조채(韓朝彩)가 발해로부터 와서 일본승 계융(戒融)을 보냈는데 아직까지 소식이...
    시대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유형 :
    인물
    직업 :
    사신
    대표작 :
    대나마(大奈麻)
    분야 :
    역사/고대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4건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적멸시중론 / 기우목동가
기우도강도 / 한선국
심우도 / 기우귀가
기우취적도(이경윤 작)
허유세이(한선국 작, 기우도강)
달이 차고 기우는 이유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