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금척설화 金尺說話는 문헌 기록과 구술 연행으로 전승되고 있다. 문헌에 기록된 이야기는 주로 이성계(李成桂)가 꿈에 금척을 받아 왕이 되었다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전되는 이야기는 대체로 하층민이 문제를 해결하여 신분 상승을 이루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성계의 왕권 획득에 관련된 금척 서사는 조선시대 문헌인...
- 시대 :
- 조선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치부설화 치부담(致富談), 致富說話내용 치부설화는 '치부담(致富談)', '치산담(治産談)'으로도 불린다. 구전 채록집과 문헌 설화집에 두루 실려있다. 구전 설화에서 주인공은 업신, 도깨비, 명당 발복 등의 초월적인 힘, 적덕이나 근면 성실, 검약에 대한 보답, 행운의 만남이나 횡재, 지략 혹은 속임수 등의 방법으로 부자가 된다. ① 초자연적 힘...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곽재우설화 郭再祐說話내용 곽재우(1552∼1617)에 관한 설화는 구전 혹은 문헌으로 풍부하게 전승되었다. 구전설화에서 곽재우는 유복자로 태어났고 효성이 지극한 어머니가 시아버지를 살리기 위해서 그를 호랑이에게 던져 주었지만 오히려 호랑이가 보호했다고 하여 영웅적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화소는 견훤이 호랑이의 젖을 먹고...
- 시대 :
- 조선
- 성격 :
- 설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문무왕 설화봉길리 및 감포읍 대본리를 중심으로, 경주 일대에 널리 전승되고 있는 설화이다. 설화의 주제는 용신신앙을 바탕으로 한 호국사상(護國思想)이며, 구전 자료는 변이형에 따라서 그 주제가 일정하지 않다. 「문무왕설화」와 여기서 변이된 용설화를 포괄해서 ‘호국룡설화’라 일컫기도 하는데, 이는 왕이 스스로 용으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전설 傳說士大夫)들의 문집(文集), 기타 문헌 자료들에 전설이 수록되어 있다. 전설은 특히 ‘허무맹랑한 이야기’나 ‘거짓된 이야기’로 인식되기보다는 지역의 구전되는 역사와 결부된 ‘진실한 이야기’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고, 백성들의 삶의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이러한 점에서 사대부들도 전설의 가치를 중요시...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
조선야사집 朝鮮野史集역사책에서 취한 것도 있고, 『동문선』 · 『대동야승』 · 『대동기문(大東奇聞)』 등과 같은 일화집이나 설화집에서 취한 것도 있다. 또, 민중들 사이에 구전되던 자료들도 있다. 이 책에 실린 이야기들의 시대 배경은 가락국의 건국설화인 「극락의 가락」이나 「금와의 탄생」과 같이 상당히 오래된 것이 있는가...
- 시대 :
- 현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조선동요선 朝鮮童謠選내용 A6판. 224면. 일본어로 된 한국 동요집으로, 1933년 일본 이와나미서점(岩波書店)에서 간행하였다. 김소운의 『조선구전민요집(朝鮮口傳民謠集)』에 실린 자료 가운데 대표적인 동요만을 간추려 일본어로 번역해 놓은 것으로, 1925년 이후 동경에서 저자가 직접 수집한 자료도 덧붙였다. 이 책의 원본인 국문판...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저작자 :
- 김소운
- 창작/발표시기 :
- 1933년
- 성격 :
- 동요집
- 유형 :
- 문헌
- 간행/발행 :
- 일본 이와나미서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
-
세계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 人類無形文化遺産, Intangible Cultural Heri..문화유산 보호 협약에 의거하여 문화적 다양성과 창의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대표목록 또는 긴급목록에 각국의 무형유산을 등재하는 제도. 2005년까지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이라는 명칭이었으나 지금은 세계유산과 마찬가지로 정부간 협약으로 발전되었다. 목적 문화다양성의 원천인 인류무형유산의 중요성에 대한...
-
조선국조신화 조선건국신화, 朝鮮國祖神話전승 및 채록 「조선국조신화」는 문헌으로 전승(傳承)되는 것과 구전되는 이야기가 있다. 문헌으로 전승되는 조선 건국의 이야기는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에 수록된 서사들을 가리킨다. 「용비어천가」에 수록된 신화적 서사는 의례(儀禮)나 주술과의 연관 속에서 구술 전승되는 신화(神話)와 달리 처음부터 문헌에...
- 유형 :
- 작품/문학
- 분야 :
- 문학/구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