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정족산사고 鼎足山史庫
    순조실록』은 1838년(헌종 4) 윤4월에 각기 완성, 봉안되었다. 그리고 『헌종실록』은 1852년(철종 3) 9월에 인쇄해 각 사고들에 봉안했으며, 『철종실록』은 1865년(고종 2) 윤5월에 인쇄해 봉안하였다. 1866년 병인양요 때에 강화도를 일시 점거한 프랑스의 해병들에 의해 정족산사고의 서적들이 일부 약탈되기도...
    시대 :
    조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조병세 치현(穉顯), 趙秉世
    생애 및 활동사항 음관(蔭官)으로 참봉에 임명되었다가 1859년(철종 10)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관(史官)이 되고 1864년(고종 1) 실록청도청낭청으로서 『철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1874년 함경도암행어사, 1877년 대사헌에 승진되었고 이어 의주부윤, 다시 대사헌, 1887년 공조판서를 거쳐 이듬해 예조...
    시대 :
    근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역사/근대사
  • 활인서와 환곡 가난한 사람들은 도운
    곡식은 다 떨어지고 햇곡식은 나지 않아, 먹을 것이 없는 봄철에 가난한 사람에게 곡식을 빌려주고, 풍년이나 가을걷이 뒤에 되받는 것이 환곡입니다. 《고종실록》을 보면, 경상감사 서헌순이 보고한 밀양부(密陽府) 민가가 불에 탄 일과 관련하여 고종은 "보고를 들으니 몹시 애처롭다. 원래의 휼전 외에 각별하게 더...
  • 일영원구 日影圓球
    十九年庚寅七月上澣新製)’는 명문과 함께, ‘상직현 인(尙稷鉉印)’이 새겨져 있어, 1890년 7월 상직현이라는 인물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는데, <고종실록>과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상직현(尙稷鉉, 생몰년 미상)은 고종 시대애 활동한 무관으로 주로 총어영(摠禦營) 별장(別將)과 별군직(別軍職) 등에 임명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조선 , 문화재
  • 귀인 이씨 (영보당) 李順娥
    를 구분하는 칭호로 사용되고 있다. 고종의 총애를 받아 1868년(고종 5년) 윤4월 10일 고종의 서장남인 완화군(完和君) 이선(李墡)을 낳았다.《고종실록》 5권, 고종 5년(1868년 조선 개국(開國) 477년) 윤4월 10일 (정사) ----궁인 이씨가 왕자를 낳다 ----전교하기를, "오늘 진시(辰時)에 궁인 이씨(宮人李氏)가 아들...
    도서 위키백과
  • 추강유고 秋江遺稿
    찬(贊) 각 1편, 행장 2편, 통문 2편, 추설(錐說)·추설(追說) 각 1편, 권3에 부록으로 전후전교급비답(前後傳敎及批答) 1편, 대원군서(大院君書) 2편, 고종실록소재(高宗實錄所載)·조선사소재(朝鮮史所載) 각 1편, 제현증시(諸賢贈詩) 27수, 만사선(挽詞選) 21수, 제주유생추모제시운(濟州儒生追慕祭時韻) 2수, 축문...
    시대 :
    조선
    저작자 :
    백낙관
    창작/발표시기 :
    1958년
    성격 :
    시문집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3권 1책
    간행/발행 :
    백창균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국립중앙도서관, 고려대학교 도서관, 연세대학교 도서관
  • 경인운하 경인아라뱃길, 京仁運河
    공사를 했던 지역이 굴포천이다. 조선 중중 때 김안로가 수로 건설을 추진했으나, 도중에 암반 지질이 발견되어 중도에 포기하게 되었다. 〈정조실록〉에 의하면 고려 고종 때부터 여러 번 시도했으나 원통현을 뚫지 못해 결국 실패했다고 한다. 이때 판 도랑이 지금의 굴포천이며, 굴포수로는 김포평야의 중요한 관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교육
  • 춘추관사고 春秋館史庫
    뒤에 이부시랑한림시독학사지제고(吏部侍郎翰林侍讀學士知制誥)의 벼슬에 추증되었다. 몽고족의 침입으로 고려조정이 강화도로 옮겨가면서 1232년(고종 19) 6월 역대의 실록들을 비롯한 사적(史籍)도 강화도로 옮겨졌다. 1270년(원종11) 강화도에서 다시 개경으로 환도하자 실록들도 개경으로 옮겨져 궁궐 안의 불당고...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국사편찬위원회 NIKH, 國史編纂委員會
    관한 업무를 담당하며, 자료조사실에서는 국내외 사료의 수집·정리와 관리 및 보존 업무를 담당한다. 연구편찬정보화실에서는 한국사료총서와 고종시대사를 비롯하여 실록 영역 사업과 사료정보화 및 운영 업무를 수행한다. 역사진흥실에서는 주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관한 업무가 이루어지며, 이외에 교육연수 업무...
    설립 :
    1949년 3월
    소재지 :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
    사이트 :
    http://www.history.go.kr/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연구기관
  • 김명수 金明秀
    구관 및 제도조사(舊慣制度調査) 업무를 담당했다. 1927년 9월 이완용의 일대기 『일당기사(一堂紀事)』의 편집 및 발행과 1930년 4월 『고종태황제실록』과 『순종황제실록』의 감수위원을 맡았다. 김명수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9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
    시대 :
    현대
    유형 :
    인물/근현대 인물
    분야 :
    정치·법제/정치
  • 공사청일기 公事廳日記
    유물설명 일제강점기 이왕직실록편찬위원회에서 국왕의 동정을 중심으로 각종 행사와 관계된 사항을 기록한 《공사청일기》 권6, 7이다. 《고종실록》을 편찬하기 위한 사료史料로 쓰기 위해 편집한 것으로 추정된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권6, 7과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권1~권5를 합치면 총 7책으로 한 세트가 된다. 이...
    분류 :
    유물 > 전적
    크기 :
    세로: 27.0cm, 가로: 19.5cm
    재질 :
    종이
  • 박문국 한국 최초의 근대식 인쇄소, 博文局
    한성부판윤을 지낸 민영목으로 한성부 남부 훈도방(薰陶坊) 저동의 영희전(永禧殿) 자리에 있었으며 1883년 10월 《한성순보》를 발간했습니다. 《고종실록》에 "박문국을 설치한 지 몇 해가 되었는데 빚을 갚으려고 시골에서 세금을 징수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일이지만 폐단을 끼칠 뿐만 아니라 실효도 없으니 해당...
    날짜 :
    1883년 08월 17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4건

고종실록
고종실록 표지
조선왕조실록 / 고종실록(권13)
고종실록 / 갑오경장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