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국사편찬위원회

다른 표기 언어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 國史編纂委員會 동의어 NIKH
요약 테이블
설립 1949년 3월
소재지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
사이트 http://www.history.go.kr/

요약 한국사 연구의 체계적 발전과 역사관 및 역사교육 진흥을 위해 한국사 사료의 조사·수집·보존·편찬 및 발간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국가기관. 1946년 설립된 국사관을 전신으로 하여 1949년 국사편찬위원회로 개편되었다. 사료의 수집과 한국사 연구·진흥·편찬 뿐만 아니라 디지털 콘텐츠 구축을 바탕으로 한국사 정보화 사업에도 기여해왔다.

설립 목적

체계적 한국사 연구를 위해 필요한 각종 사료의 조사·수집·보존·편찬과 이를 바탕으로 한국사 연구와 편찬, 연수 및 보급을 원활하게 하며 국민의 역사인식 고양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46년 3월 설립된 국사관을 전신으로 하며, 대한민국정부 수립 이후 1949년 3월 국사편찬위원회로 개편되었다.

주요 활동내용

설립 초기에는 한국사 기초 사료의 편찬에 주력했으며, 1987년 사료의 수집 및 보존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이후로는 국내외 사료를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국외 30여 명, 국내 380여 명을 임기 3년의 사료조사위원에 위촉하여 사료의 안내·제보·채방 등의 업무를 전개했다. 위원회는 각종 기본사료, 각 시대사·특수자료의 편찬, 학회의의 개최와 연구발표회 및 기타 학술조사활동, 자료전시회 등을 통해 한국사연구 활성화에 공헌해왔다.

이러한 활동을 토대로 <조선왕조실록〉(48책)·<비변사등록>(28책)·<승정원일기>(141책)·<고종시대사>(6권)·<일제침략하한국36년사>(13권)·<한국독립운동사>(5권)·<자료대한민국사>(12권)·<국사상의 제문제>(6책)·<한국교육사자료>(2책)·<한국사>(25권)·<주한일본공사관기록>(번역본29책, 영인본 40책)·<대한민국사연표> 등을 완간했다. 또 <매천야록>을 첫권으로 편찬하기 시작한<한국사료총서>는 56집이 발행되었으며 <각사등록>(92책)·<한국독립운동사자료>(35책)·<중국정사조선전역주>(5책)·<국역비변사등록>(22책)·<조선왕조실록분류집>(12책)·<북한관계사료집>(32책)·<고서목록>(2책)·<해외한국사연구문헌목록>·<북한사자료목록> 등을 간행했다.

이밖에 광복 후 한국사학계의 성과를 새롭게 정리한 <한국사>(52책)·<국사관논총>(82책) 등을 간행했으며, 2007년에는 <한민족독립운동사사료집>(71책)을, 2008년에는 <자료대한민국사>(29책)을 간행했다. 2011년에는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51책)이 간행되었다. 이외에 학술정보의 제공을 위하여 1973년 4월부터 분기별로 학술정보지 <한국사연구휘보>를 내고 있다. 2016년 기준 18만 2,197권의 단행본을 비롯하여 4만 4,723여권의 고서와 고문서, 3만 1,739여권의 수집자료, 1만 922권의 북한관계자료 등을 보유하고 있다.

조직구성 및 기능

조직은 위원장(차관급)과 교육부장관이 위촉한 15인 내외의 국사편찬위원 아래에 기획협력실, 사료조사실, 연구편찬정보화실, 역사진흥실, 역사교과서 편수실 등 5개실로 구성된 편사부와 총무부로 구성되어 있다. 위원들은 국사편찬과 자료수집 등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기획협력실에서는 기획홍보와 역사관, 국제교류 및 남북협력, 민원 부문에 관한 업무를 담당하며, 자료조사실에서는 국내외 사료의 수집·정리와 관리 및 보존 업무를 담당한다. 연구편찬정보화실에서는 한국사료총서와 고종시대사를 비롯하여 실록 영역 사업과 사료정보화 및 운영 업무를 수행한다. 역사진흥실에서는 주로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관한 업무가 이루어지며, 이외에 교육연수 업무도 담당하고 있다. 역사교과서 편수실에서는 역사교과서의 편수 지원과 교과서 개발에 대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연구기관

연구기관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국사편찬위원회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