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5·4운동 五四運動, May Fourth Movement
    핵심이 되었다. 신문화운동은 신사상운동과 신문학운동의 두 측면에서 전개되었다. 신사상운동은 유교전통 타파와 서구사상 수용을 위한 계몽운동 형태로 나타났다. 신문화운동을 추진하던 신지식인들은 당시의 보수적인 상황이 유교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고 보고, 2,000년 중국 전제정치의 정신적 지주이며, 인간해방...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신채호 단재, 申采浩
    일제침략 비판 논설은 애국심에 넘치는 내용과 웅장하고 박력있는 필치로 바로 독자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감동시켰다. 이후 국민들에게 가장 영향력이 큰 애국계몽 운동가중 한 사람으로 부상하였다. 1907년 4월 양기탁, 안창호(安昌浩), 전덕기(全德基), 이동녕(李東寧) 등을 중심으로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가 결성...
    출생 :
    1880년 11월 7일(음력), 충남 대덕(大德)
    사망 :
    1936년 2월 21일
    본관 :
    고령(高靈)
    주요활동 :
    1907년 신민회 회원, 1911년 권업회 조직, 권업신문 주필, 1912년 광복회 부회장, 1919년 임시정부 발기위원, 임시정부 의정원 전원위원회 위원장, 신대한동맹단 부단주, 1920년 제2보합단, 군사통일촉성회 조직, 1921년 군사통일주비회 개최, 1923년 「조선혁명선언」집필, 1927년 무정부주의 동방연맹 조선대표
    포상훈격 :
    건국훈장 대통령장 1962년
    관련 인물/단체 :
    신민회, 기호흥학회, 대한매일신보, 권업회, 광복회, 임시정부, 제2회 보합단, 군사통일촉성회, 군사통일주비회,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무정부주의동방연맹
  • 근대의 불치병 결핵과 크리스마스실 운동
    마음 아파하던 중, 연말에 쌓이는 많은 크리스마스 우편물과 소포를 정리하면서 무릎을 쳤다. 그 우편물들에 동전 한 닢짜리 ‘실(seal)’을 붙여 보내는 계몽운동이 성공한다면, 그 판매금으로 결핵에 노출된 수많은 어린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한 것이다. 1904년 12월 처음으로 크리스마스실이 세상에...
  • 이준 순칠, 李儁
    유배에서 풀려난 뒤 동대문 안에 있던 연동교회에 입교한 뒤에 국민교육회에 참여하였다. 국민교육회는 연동교회 인사들이 주축이 되어 1904년 8월 설립된 계몽운동단체였다. 국민교육회를 기독교 정신에 기반을 두기보다는 국민 대다수가 참여하는 정치 단체로 키워나가고자 하였다. 더불어 1905년 5월 공진회 회원...
    출생 :
    1859년 1월 21일, 함남 북청(北靑)
    사망 :
    1907년 7월 14일
    관련 사건 :
    헤이그특사사건
    본관 :
    전주(全州)
    주요활동 :
    1898년 독립협회 가입, 관민공동회 총무장, 1902년 개혁당 조직, 1904년 보안회 조직, 대한협동회 부회장, 공진회 회장, 1905년 헌정연구회 설립, 1906년 국민교육회 회장, 한북흥학회 조직, 1907년 국채보상연합회의소 소장, 헤이그특사 파견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독립협회, 한성재판소, 개혁당, 보안회, 대한협동회, 공진회, 헌정연구회, 국민교육회, 한북흥학회
  •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일본군과 헌병경찰이 한 손에는 총검을, 다른 한 손에는 채찍(태)을 들어 한국인을 탄압, 학살, 착취하는 하나의 커다란 감옥이었다. 의병운동과 애국계몽운동에 대한 탄압 의병운동에 대한 탄압 일제는 이러한 식민지 무단통치체제를 만들어 놓고 한국인의 국권회복운동 · 독립운동에 대한 잔혹하기 짝이 없는 탄압을...
    유형 :
    개념
    분야 :
    역사/근대사
  • 윤기섭 중규, 尹琦燮
    활용하여 신학문을 후학들에게 전수하는 한편 후학들의 애국심을 고취하는데 진력하였다. 1909년 신민회(新民會)에도 가입하여 자주독립, 민중계몽, 민권신장 등의 민족운동에도 투신하였다. 1907년 4월 양기탁(梁起鐸)과 안창호(安昌浩) 등이 창립한 신민회는 한말애국계몽운동을 배후에서 지도하는 가장 강력한 비밀...
    출생 :
    1887년 4월 4일, 경기 파주(坡州)
    사망 :
    1959년 2월 27일
    본관 :
    해평(海平)
    주요활동 :
    1909년 신민회 가입, 1911년 서간도 망명 후 경학사 ・ 신흥학교 등 설립, 1920년 임시의정원 서간도 의원, 1922년 한국노병회, 1923년 임시의정원 의장 역임, 임시정부 국무원, 내무장, 군무장, 한국독립당, 한국혁명당, 민족혁명당 중앙집행위원, 임시의정원 경기도의원 활동
    포상훈격 :
    1989년 건국훈장 대통령장
    관련 인물/단체 :
    신민회, 경학사, 대한민국 임시정부, 한국노병회, 한국독립당, 한국혁명당, 민족혁명당
  • 무장독립운동 武裝獨立運動
    계몽운동과 의병운동의 2가지 조류로 전개되었다. 원래 독립전쟁론은 1905년을 전후한 반일의병운동에서 출발했으나, 한일합병을 전후한 시기에 이르러 계몽운동 계열의 인사들이 주축이 되었던 비밀결사단체인 신민회 내에서도 점차 2가지 노선이 분화되기 시작했다. 하나는 안창호를 중심으로 한 '준비론'(실력양성론...
  • 대한자강회 大韓自强會
    요구의 저의, 한국의 기후, 한국의 생산물, 임업의 필요, 토지 개량의 필요성, 종자 개량 등에 대한 구체적 연구를 거친 후 월보를 통해 계몽운동을 전개하였다. 국채보상운동 때 적극적인 참여를 결의하기도 하였다. 운영에 필요한 재정은 회칙에 따라 회원의 입회금과 독지가의 기부금으로 충당하였다. 회비는 가입시...
    시대 :
    근대
    설립 :
    1906년 4월
    성격 :
    사회운동단체
    유형 :
    단체
    해체 :
    1907년 8월
    설립자 :
    장지연, 윤효정, 심의성, 김상범, 임진수
    분야 :
    역사/근대사
  • 최재형 최 표토르 세묘노비치, 崔在亨
    재러한인 자산가계급과는 달리 의병투쟁에 나섰던 것이다. 일제의 조선강점이 다가오면서 더욱 무장투쟁의 가능성이 희박해지자 무장투쟁노선에서 계몽운동방향으로 운동 노선을 전환하였다. 1908년 말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발행되는 한국어 민족지 『대동공보』 사장으로서 언론 활동에 관심을 기울이며 무장투쟁의 시기...
    출생 :
    1860년 8월 15일, 함북 경원
    사망 :
    1920년 4월 7일
    업적 :
    1908년 동의회를 조직하고 총장에 선출, 대동공보 사장, 1911년 권업회 발기회 회장, 1914년 한인아령이주 50주년 기념회 회장, 1919년 대한민국임시정부 재무총장에 선출, 사임
    포상훈격 :
    건국훈장 독립장 1962년
    관련 인물/단체 :
    동의회, 대동공보, 대양보, 권업회, 대한국민의회, 임시정부
  • 김좌진 명여, 金佐鎭
    학교에 입학하여 1907년 졸업하고 대한제국 육군 장교에 임관되었다. 그 직후 일제가 1907년 8월 1일 대한제국 군대해산을 자행하자 국권회복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에 참가하여 구국활동을 시작하였다. 1908년 비밀결사 신민회(新民會)에 가입하고, 청년단체인 청년학우회(靑年學友會) 한성연회(漢城聯會) 간부로 활동...
    출생 :
    1889년 12월 16일, 충청남도 홍성(洪城)
    사망 :
    1930년 1월 24일
    관련 사건 :
    대한광복회, 성동사관학교, 청산리전투, 경신대학살, 자유시참변, 민족유일당운동
    본관 :
    안동(安東)
    주요활동 :
    청년학우회 한성연회 간부, 기호흥학회 창립, 호명학교 설립, 대한광복회 부회장, 대한독립선언서 서명, 북로군정서(대한군정서) 사령관으로 청산리독립전쟁(청산리전투) 수행, 대한독립단(대한의용군총사령부) 부총재, 신민부(新民府) 군사위원장 겸 총사령관, 성동사관학교 설립, 혁신의회와 한족총연합회 조직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대한광복회, 북로군정서, 대한독립단, 신민부, 한족총연합회
  • 양기탁 의종, 梁起鐸
    그 새 국채보상운동의 열기도 식었고, 친일배의 농간으로 의연금 일부도 빼앗기고 말았다. 이외에도 대한자강회, 광무사, 국문연구소, 서우학회 등의 계몽운동단체에도 회원, 찬성원 등으로 참여하였다. 또 『가뎡잡지』와 『대한학회월보』, 『서우』, 『서북학회월보』, 『공업계』 등 계몽지에 글을 발표하여 부녀자...
    출생 :
    1871년 4월 2일, 평남 평양(平壤)
    사망 :
    1938년 4월 19일
    본관 :
    남원(南原)
    주요활동 :
    1904년 대한매일신보 창간, 1907년 신민회 결성, 국채보상운동, 신민회의 해외 독립군 기지개척 주도, 1920년대 초 만주지역 독립운동단체의 통합 주도, 통의부 ・ 정의부 결성, 1923년 의성단 조직, 1926년 고려혁명당 조직, 1934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 1935년 한국독립당 이사장, 1935년 민족혁명당 결성 참여
    포상훈격 :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관련 인물/단체 :
    독립협회, 신민회, 대한광복회, 통의부, 정의부, 동성한족생계회, 남만한족통일회, 의성단, 전만통일회주비회, 동우회, 농민호조사, 대한민국임시정부, 고려혁명당, 조선혁명자후원회, 한국독립당, 민족혁명당, 조선혁명당
  • 독립운동 기지 건설
    1910년 본격 식민 시대가 시작하자 의병전쟁이나 계몽운동 등 구국운동은 불가능한 상태가 되었다. 그러자 국내 각 비밀 결사들과 독립운동가들 사이에 해외에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히 전개되었다. 일본의 감시와 탄압이 국내보다는 덜한 국외에 독립운동 기지를 만들어 독립군을 기른 후, 결정...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제강점기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7 현재페이지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3건

농촌 계몽운동(1930년대)
농촌 계몽운동 / 여성교육
농촌 계몽 운동을 배경으로 남녀의 사랑 이야기까지 곁들여 큰 인기를 끈 심훈의 〈상록수〉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