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파주 서곡리 고려벽화 고분 坡州 瑞谷里 高麗壁畵 古墳각각 1명의 앉은 인물상을 그렸다. 그림은 돌벽면에 회칠없이 직접 음곽선으로 윤곽을 잡고 그 위에 묵선(墨線)으로 그렸다. 얼굴의 세부와 손에 쥔 홀(笏) 등은 직접 묵선으로, 얼굴의 코 · 입술 · 관모 등은 묵선으로 그린 다음 자연안료를 이용하여 붉은 채색을 하였다. 침수에 의해 벽화가 대부분 지워진 상태이나...
- 시대 :
- 고려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
통영 용화사 목조 지장시왕상 統營 龍華寺 木造 地藏十王像감을 보이는데, 도명존자는 민머리의 승려형이고, 무독귀왕은 얼굴이 유난히 크고 신체의 비례가 긴 편이며, 머리에는 높은 원유관(遠遊冠)을 쓰고 손에는 홀(笏)을 들어 차별화하였다. 도명존자와 무독귀왕의 좌우에 각각 5구씩 서 있는 시왕상들의 표현기법은 거의 동일한데, 머리에는 원유관을 쓰고, 등받이와 팔걸이...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지장시왕도 地藏十王圖소장 지장보살화에서 보이는 막 화면으로 들어온 듯한 사자의 완전하고 자연스러운 모습과 비교해 볼 때 비교해 볼 때 약간 어색하게 보인다. 이들 위로는 홀(笏)을 들고 원유관(遠遊冠)을 쓴 문관 모습의 시왕과 사천왕(四天王)·범천(梵天)·제석천(帝釋天) 및 도명존자(道明尊者)·무독귀왕(無毒鬼王)이 중앙을...
- 시대 :
- 고려
- 창작/발표시기 :
- 1350년 전후
- 성격 :
- 불화
- 유형 :
- 작품
- 크기 :
- 세로 117.1㎝, 가로 59.2㎝
- 권수/책수 :
- 1점
- 재질 :
- 비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닛코지(日光寺)
-
서울 지장사 지장시왕도 서울 地藏寺 地藏十王圖보살상을 효과적으로 부각시키고 있다. 시왕들은 새 깃털로 장식된 관을 쓰고 있는 제10오도전륜대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관복에 관을 쓰고 합장을 하거나 홀(笏)을 들었는데, 서로 마주보기도 하고 머리에 손을 올리는 등 자연스러운 모습을 취하고 있다. 화면 상단에는 향우측에 3구, 향좌측에 4구 등 모두 7...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양정도해 養正圖解경계를 받았던 고사에 대한 「단서수계(丹書受戒)」, 주나라 성왕(聖王)이 즉위하여 동생 숙우(叔虞)와 함께 소꿉놀이를 할 때 오동나무 잎을 따 제후가 지니는 홀(笏)인 규(圭)를 만들어 제후로 봉한다고 농담을 하자 주공(周公)이 이를 듣고 제왕은 농담을 삼가야 한다고 하며 실제로 숙우를 제후로 봉했던 일화에...
- 시대 :
- 조선후기
- 저작자 :
- 초굉(焦竤)
- 창작/발표시기 :
- 1749년(영조 25)
- 성격 :
- 유학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권 2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세대학교 학술정보원, 고려대학교 도서관 등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정재무도홀기 무동각정재무도홀기, 呈才舞圖笏記왕세자에게 올리는 예람용을 비롯하여, 왕실 여성 어른에게는 언서(諺書)로 쓴 홀기를 올렸다. 현재는 고종대의 무도홀기만 전한다. 서지사항 필사본. 홀(笏) 모양의 종이를 병풍식으로 접게 되어 있다. 장서각에 소장된 13종의 홀기는 병풍식 첩장(帖裝, 旋風葉)이다. 국립국악원에 소장된 1종은 본래의 홀기를 나누어...
- 시대 :
- 근대
- 유형 :
- 문헌
- 분야 :
- 예술·체육/무용
-
관복색 冠服色까치[鵲]를, 7·8·9품은 뜸부기[鷄鶒]를 수놓았고, 수환(綬環)은 1·2품이 금환, 3·4품이 은환, 이하 9품까지 동환으로 각 2개씩 장식하였다. ⑤ 홀(笏)은 1품에서 4품까지 상아를, 이하 9품까지 괴목을 썼다. 그밖에 붉은 비단으로 된 의(衣)·상(裳)·폐슬(蔽膝)과 백사중단(白紗中單), 흰버선[白襪], 검은 신...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청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410년(태종 10)
- 분야 :
- 생활/의생활
-
채제공 선생 영정 蔡濟恭 先生 影幀앞으로 내려뜨린 자연스러운 표현이 그러하다. 또한 가슴 부근의 적라의(赤羅衣) · 적색폐슬(赤色蔽膝) · 사색금수(四色錦綬) · 서대(犀帶) · 상아홀(象牙笏)이 층층이 중복되면서도 빈틈없이 묘사된 공간적 층차의 미세한 표현, 청색 선을 두른 흰색 허리띠가 무릎에 걸쳐 꺾이면서 그중의 한 가닥이 가볍게 말리며...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공민왕·노국공주 초상 恭愍王·魯國公主 肖像에 앉아 있는데, 공민왕은 좌안팔분면(左顔八分面), 노국공주는 우안팔분면(右顔八分面)을 보이고 있다. 공민왕은 복두(幞頭)를 쓰고 홍포(紅布) 단령(團領)에 홀(笏)을 들었고 왕비는 복잡한 머리 장식에 화려한 의상을 입고 있다. 이는 유물번호 <창덕6403 - 천왕천녀도>의 도상과 일치하여 두 작품 사이에 관계가...
- 분류 :
- 유물 > 회화
- 크기 :
- 세로: 99.2cmcm, 가로: 82.5cmcm, 화폭: 65.4cmcm, 화고: 81.5cmcm
- 재질 :
- 종이, 채색
-
천왕천녀도 天王天女圖천녀의 모습이 있다. 천왕은 좌안팔분면(左顔八分面), 천녀는 우안팔분면(右顔八分面)을 보이고 있다. 천왕은 복두(幞頭)를 쓰고 홍포(紅布) 단령(團領)에 홀(笏)을 들었고 천녀는 복잡한 머리 장식에 화려한 의상을 입고 있다. 이는 유물번호 <종묘13222 - 공민왕·노국공주초상>의 도상과 일치하여 두 작품 사이에...
- 분류 :
- 유물 > 회화
- 크기 :
- 세로: 126.3cmcm, 가로: 95.7cmcm
- 재질 :
- 종이, 채색
-
윤경남 선생 유품 尹景男 先生 遺品직접 사용하던 것으로 문중에서 대대로 관리하여 오다가 현재 거창박물관에 전시되고 있으며 경상남도 거창군청에서 관리하고 있다. 유품의 내용은 ① 상아홀(象牙笏), ② 팔각전통(八角箭筒), ③ 목제사각 인장함(木製四角 印章函), ④ 인장(印章), ⑤ 옥제(玉製) 갓끈, ⑥ 철제 촉대(鐵製 燭臺), ⑦ 철제주자(鐵製注子...
- 유형 :
- 문헌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