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언론의 대표적인 자율 규제 방식은 무엇인가?, 윤리강령 倫理綱領, Code of Ethics언론의 가장 대표적인 자율 규제 방식은 외화내빈(外華內貧)일망정 '윤리강령'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1957년 4월 7일에 발족한 한국신문편집인협회는 다음 날 우리나라 최초의 신문윤리강령을 채택했다. 이 윤리강령은 단 한 번도 개정되지 않은 채 약 40년을 버티다가 『독립신문』 창간 100주년을 맞는 1996년 4...
-
한국 ABC협회신문, 잡지, 멀티미디어 등 광고매체의 분포 상황과 수용자 크기 등을 조사하여 얻은 자료를 회원사들에게 배포함으로써 광고 거래의 합리화에 기여하고 있다.
-
대한민국 大韓民國따라 다양한 언론단체가 언론 발전을 위한 사업을 벌이고 있다. 언론기관단체로는 경영주들의 단체인 한국신문협회를 비롯하여 편집 · 제작 간부들로 구성된 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와 일선 기자들의 한국기자협회가 있고,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은 신문 · 통신 · 방송사 종업원들의 사별 단위노조가 연합체를 구성한...
- 시대 :
- 현대
- 유형 :
- 지명
- 분야 :
- 정치·법제/정치
-
고재욱 심강(心崗), 高在旭된 외에는 신문제작의 외길을 걸으며 ‘동아필정(東亞筆政)’의 결정자로 일하였다. 그 뒤 외부활동을 많이 전개하여, 1961년 한국신문편집인협회 회장, 국제신문협회(IPI) 회원이 되고, 1962년 사단법인 한국신문회관 창설과 동시에 이사장이 되었다. 1965년 국제신문협회 한국위원장이 되었으며 동아일보사 사장에...
- 시대 :
- 근대
- 출생 :
- 1903년
- 사망 :
- 1976년
- 유형 :
- 인물
- 직업 :
- 언론인
- 성별 :
- 남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최석채 몽향, 崔錫采서민의 항장(抗章)』(1956)·『일제하 명논설집』(1975)·『한국의 신문윤리』(공저, 1965 )·『속 서민의 항장』(1990) 등이 있다. 별세 후 한국신문편집인협회에서 본적지인 김천시 조마면에 추모비를 건립하고, 그가 생전에 쓴 글을 엮은 『지성감민(至誠感民)』·추모문집 『낙동강 오리알』을 출판하였다. 1952...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17년 11월 21일
- 사망 :
- 1991년 4월 11일
- 경력 :
- 대구매일신문사 명예회장, 성곡(省谷)언론문화재단 이사장, 문화방송사 사장
- 유형 :
- 인물
- 직업 :
- 언론인
- 대표작 :
- 서민의 항장(抗章), 일제하 명논설집, 한국의 신문윤리 등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언론파동 언론윤리위법 파동, 言論波動집권한 박정희 정권은 언론 규제를 위해 윤리위원회 설치 등을 골자로 한 「언론윤리위원회법」을 제정하고자 하였다. 그러자 한국신문발행인협회, 통신협회, 편집인협회, IPI 한국위원회 등 언론단체 대표들은 1964년 7월 22일 ‘언론규제대책위원회’를 구성하여 「언론윤리위원회법」 제정을 반대하는 한편, 대안으로...
- 시대 :
- 현대
- 유형 :
- 사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언론 言論종의 반 연간지(半年刊誌), 100여 종의 연간지 등 총 1,270여 종이 발행되었다. 다섯 번째로, 1980년 11월 14일 한국신문협회와 한국방송협회는 각각 임시총회를 열고 신문 · 방송 · 통신사의 통폐합 등 한국언론의 전반적인 구조개편을 내용으로 하는 ‘건전언론 육성과 창달을 위한 결의’를 채택함으로써 한국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
-
왜 지키지도 못할 윤리강령을 만드는가?, 윤리강령 무용론의 이면엔 애초부터 윤리강령이 실천보다는 홍보의 차원에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점이 있다는 걸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한국기자협회 KBS 지회장이자 KBS 사회1부 기자인 박선규 기자가 『신문과 방송』 1999년 9월호에 기고한 「대접 받았으면 나도 한 번 사면 된다」는 글에서 한 말...
-
왜 한국 신문협회와 한국방송협회가 난타전을 벌였는가?, 방송 광고 총량제말 '지상파 광고 총량제' 도입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이후 9개월 동안 종편 겸영 신문사들은 신문과 방송을 통해 '자사 이기주의' 보도를 쏟아내는 동시에 한국신문협회를 동원해 전방위적인 여론전을 펼치기도 했다. 2014년 7월 31일부터 2015년 4월 말까지 9개월 동안 종편 겸영 신문 4사는 광고 총량제를 비판하는...
-
여성 女性독립신문』에 의해서였다. 이들은 외세의 간섭을 받지 않는 독립과 자주를 이루기 위해서는 자주적 개화가 요구된다고 강조하면서, 개화의 기초는 오직 국민교육에 있으며, 국민의 반을 차지하는 여자는 2세 국민의 교육을 담당하여야 하는 중요한 임무를 지니고 있으므로 여자교육만 잘 시행하면 개화하는 데 큰 힘이...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사회/사회구조
-
서재필 徐載弼정신을 북돋았고, 〈독립신문〉의 기사와 만민공동회 등을 통해 정부의 폐정(弊政)을 비판하고 시정을 촉구했다. 〈독립신문〉을 창간한 후에는 이상재, 남궁억...고문직을 사퇴하고, 결국 수구파에 의해 1898년 5월 한국에서 추방되었다. 그의 개혁운동은 독립협회의 해산과 함께 실패로 끝났다. 그러나 그의 개화운동...
- 출생 :
- 1864년
- 사망 :
- 195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