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뇌 절제 않고도 난치성 뇌전증 일으키는 유전자 찾았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정호 교수와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 스테파니 볼락 교수 공동 연구팀이 뇌 조직 절제 없이 난치성 뇌전증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고 26일 밝혔다. 흔히 ‘간질’이라 불리는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의 이상 발작으로 반복적인 의식 소실과 경련, 인지기능 장애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 비만이 성병을 억제한다? 헤르페스 억제 원리 규명
    각종 질병에 대해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그런데 나쁘기만 할 것 같은 비만이 오히려 도움이 되는 역설적인 현상이 관찰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은 비만인 암컷 생쥐가 성병을 일으키는 단순 2형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더 높은 저항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단순 2형...
    도서 과학향기 | 태그 감염성 , 건강
  • 조순탁 趙淳卓
    이공대학장을 지냈으며, 1972년 물리학회 회장, 1974년 한국과학원장, 1976년 한국표준연구소 부이사장, 1977년 통신기술연구소 부이사장, 1981년 한국과학기술원 물리학과교수 등 여러 기관에서 활동하면서 물리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했다. 1981년 물리학분야 학술회 회원으로 선임되었고, 1983∼90년 한양대학교...
    출생 :
    1925. 1. 4, 전남 승주∼
    사망 :
    1996. 4. 30,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유전자로 백혈병 항암제에 효과 없는 환자 가려낸다
    국내 연구진이 백혈병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결정 짓는 유전자를 찾아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식 교수와 서울대병원 혈액암센터 홍준식 교수 공동 연구팀은 백혈병 항암 화학 치료제 ‘데시타빈’의 작용 기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데시타빈은 급성골수성백혈병(AML)과 골수...
    도서 과학향기 | 태그 질병 , 과학 일반 , 건강
  • 동해원
    있는 중식 전문점이다. 대전지점의 경우 가정집을 개조하여 식당으로 사용하고 있다. 동해원(대전궁동)은 한밭대로에서 대학로를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는 호남고속도로 지선 유성IC가 가깝다. 주변에는 궁동 로데오거리 외에 충남대학교 대덕캠퍼스,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유성온천, 유림공원 등이 있다.
    위치 :
    대전광역시 유성구 궁동로14번길 14
  • 올해의 과학자상 Scientist of the Year Award
    과학인상 (2006-2010) 1985년 윤한식(한국과학기술원 책임연구원, 섬유 및 고합성분자 연구실장) 강도와 내열성이 뛰어난 신물질 아라미드 펄프를 개발 및 미국물질 특허를 획득 1986년 이원영(연세대학교 의대 교수) 1987년 김영길(한국과학기술원) 1988년 박종세(도핑컨트롤센터 소장) 1989년 박상철(서울대학교 의대...
    도서 위키백과
  • 박사 博士
    논문 또는 학위논문이 게재된 출판물 1부를 첨부해서교육부장관에게 신고해야 한다(교육법 116조). 1989학년도 후기졸업자와1990학년도 전기졸업자, 한국의 각 대학·대학교 및 대학원(국방대학원·한국과학기술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포함)에서 수여된 박사학위 취득자는 3,281명(명예박사 24명 포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한국공학상 Korea Engineering Award
    고분자, 섬유, 생물공학, 공업화학 등 관련분야 제4군: 건축, 토목, 환경, 에너지등 관련분야 연도 분야 수상자 비고 1994년 1회 전기.전자 조장희(58.한국과학기술원 정보 및 통신공학과 교수) 「4마이크론 해상도의 핵자기공명 현미경에 관한 연구」 살아 있는 물체를 절단하지 않고 내부의 구조 및 화학적 변화를...
    도서 위키백과
  • 한국식품연구원 韓國食品硏究院, Korea Food Reserch Instit..
    4일 법률 제3985로 제정된 '한국식품개발연구원육성법'에 의거하여, 정부가 이전에 산재하던 연구기관 중에서 농수산물유통공사 내의 종합식품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 내의 식품관련 연구진을 흡수하여 발전적으로 통합·개편하여 설립했다. 2004년 9월 23일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등의 설립·운영 및 육성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공기관
  • 특정연구개발사업 국가연구개발사업, 特定硏究開發事業
    목표로 삼은 정책이었다. 1982년 과학기술처는 국내 기술 개발 역량의 제고와 결집을 목표로 특정연구개발사업을 시행하였다. 특정연구개발사업은 기존 한국과학기술원(KIST) 등과 같은 정부 출연 연구소들이 예산을 확보해 자율적으로 추진해 오던 연구 개발 활동을 과학기술처가 주관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개편한다는...
    시대 :
    현대/대한민국
    유형 :
    제도/법령·제도
    분야 :
    과학/과학기술
  • 광섬유 광학섬유, 光纖維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도 개발되어 있다. 이 발광소자를 쓰면 광섬유 하나로써 5,760회선의 전화통화가 가능해진다. 광섬유의 국내기술개발은 한국과학기술연구소(현 한국과학기술원) 응용광학연구실을 주축으로 1977년부터 시작한 광섬유 국산화 기술개발 연구가 그 시초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에서는 대한전선주식...
    시대 :
    현대
    성격 :
    섬유, 인공섬유
    유형 :
    물품
    재질 :
    석영, 고분자재료
    용도 :
    광통신용
    분야 :
    과학/과학기술
  •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
    평생 지속되는 뇌 신경 발달장애다. 아직까지 자폐증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공식적으로 인정된 치료제도 없다. 최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분당서울대병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공동 연구팀이 아시아 최초로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코호트를 모집하고 전장 유전체 분석을 실시해 자폐증...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건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
한국과학기술원(韓國科學技術院)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화학공정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 생물검정사업
한국과학기술원(KAIST)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