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뇌 절제 않고도 난치성 뇌전증 일으키는 유전자 찾았다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이정호 교수와 프랑스 파리 소르본대 스테파니 볼락 교수 공동 연구팀이 뇌 조직 절제 없이 난치성 뇌전증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고 26일 밝혔다. 흔히 ‘간질’이라 불리는 뇌전증은 뇌 신경세포의 이상 발작으로 반복적인 의식 소실과 경련, 인지기능 장애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
비만이 성병을 억제한다? 헤르페스 억제 원리 규명각종 질병에 대해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그런데 나쁘기만 할 것 같은 비만이 오히려 도움이 되는 역설적인 현상이 관찰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연구팀은 비만인 암컷 생쥐가 성병을 일으키는 단순 2형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더 높은 저항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단순 2형...
-
유전자로 백혈병 항암제에 효과 없는 환자 가려낸다국내 연구진이 백혈병 치료에 사용되는 항암제의 치료 효과를 결정 짓는 유전자를 찾아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생명화학공학과 김유식 교수와 서울대병원 혈액암센터 홍준식 교수 공동 연구팀은 백혈병 항암 화학 치료제 ‘데시타빈’의 작용 기전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데시타빈은 급성골수성백혈병(AML)과 골수...
-
-
특정연구개발사업 국가연구개발사업, 特定硏究開發事業목표로 삼은 정책이었다. 1982년 과학기술처는 국내 기술 개발 역량의 제고와 결집을 목표로 특정연구개발사업을 시행하였다. 특정연구개발사업은 기존 한국과학기술원(KIST) 등과 같은 정부 출연 연구소들이 예산을 확보해 자율적으로 추진해 오던 연구 개발 활동을 과학기술처가 주관하는 사업을 중심으로 개편한다는...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제도/법령·제도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광섬유 광학섬유, 光纖維수 있는 발광다이오드도 개발되어 있다. 이 발광소자를 쓰면 광섬유 하나로써 5,760회선의 전화통화가 가능해진다. 광섬유의 국내기술개발은 한국과학기술연구소(현 한국과학기술원) 응용광학연구실을 주축으로 1977년부터 시작한 광섬유 국산화 기술개발 연구가 그 시초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소에서는 대한전선주식...
- 시대 :
- 현대
- 성격 :
- 섬유, 인공섬유
- 유형 :
- 물품
- 재질 :
- 석영, 고분자재료
- 용도 :
- 광통신용
- 분야 :
- 과학/과학기술
-
새로운 자폐 유전변이 최초 발견평생 지속되는 뇌 신경 발달장애다. 아직까지 자폐증의 근본 원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공식적으로 인정된 치료제도 없다. 최근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분당서울대병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공동 연구팀이 아시아 최초로 대규모 한국인 자폐증 가족 코호트를 모집하고 전장 유전체 분석을 실시해 자폐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