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형사소송법, 함정 수사의 적법 여부 황해도 감사의 지략하였다면···'이라는 취지로 위법설에 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2005. 10. 28. 대법원 판결). 함정 수사가 위법이라는 학자들의 대세와 대법원의 판례에 따르면, 함정 수사의 방법으로 범인을 검거하여 기소한 경우에 법원은 공소 제기의 절차가 부적법하므로 공소 기각의 판결을 해야 한다. 그리고 함정 수사의...
-
형사소송법, 위법 수집 증거 용서 빌면 만사 OK?원칙을 형사소송법이 한 개의 조문 형식으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고문 등에 의한 자백의 증거 능력을 부정하는 형사소송법 제309조를 중심으로 학설과 판례가 이 원칙을 발전시켜왔다. 이 원칙에 따라 지금은, 어떤 경우에 위법 수집 증거가 되는가에 대한 법원의 판례가 상당수 축적되어 있는 실정이다. 수사 기관...
-
형사소송법, 자백과 보강 증거 청산리 벽계수의 망신살사례 인격이 고매하기로 소문이 난 벽계수 선생을 황진이가 시험해보기로 하였다. 이때 유혹하기 위해 지은 시조가 유명하다. 바로 "청산리 벽계수야, 수이 감을 자랑 마라. 일도 창해하면 다시 오기 어려우니, 명월이 만공산하니 쉬어간들 어떠리"가 아닌가? 황진이의 미모와 유혹에 벽계수 선생이 무너진 것은 물론...
-
형사소송법, 공동 피고인의 자백의 증거 능력 어떤 배신공범자 A는 범행을 부인하고 공범자 B는 자백을 한 경우 공범자 B에 대하여 검사가 작성한 피의자 신문 조서는 A에 대한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고 판시하고 있다. 결론 이론상으로는 공동 피고인 중 1인의 자백을 다른 공동 피고인에 대한 증거로 사용할 수 없다고 보지만, 대법원 판례에 따라 ③번을 정답으로 한다. 참조
-
형사소송법, 공소권의 남용 몸통은 어딜 가고 깃털만 나부끼나?2. 13. 대법원 판결). 결론 검사의 공소권은 공정, 무사하게 행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명백히 그 공소권을 남용한 경우(이 사례에서는 차별적 기소)에 법원이 그 제동을 걸어야 할 것이다. 공소 기각설에 찬성하나, 대법원 판례대로 심리 후 유무죄의 판결을 해야 한다는 ①번을 정답으로 한다. 참조
-
형사소송법, 소지품 검사 잠시 핸드백을 열어보겠습니다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불심 검문의 한계를 벗어난 것이고, 직접 열어보거나 열어볼 것을 강요하는 것은 사실상 강제 수사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미국의 판례이지만, "경찰관이 행인의 포켓에 손을 넣어 히로인을 발견한 것은 상당한 방법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수정 헌법 제1조에 위반된다"는 판시가 있고(1968), 일본...
-
형사소송법, 고소의 추완 파출소장님의 분노않아 결국 검사가 친고죄인 강간죄로 공소장을 변경한 사안에 대하여 고소의 추완을 인정할 수 없다고 판결하고 있다(1982. 9. 14. 대법원 판결). 결론 판례에 따라 고소의 추완, 즉 친고죄의 경우 공소 제기 후에 친고죄의 고소를 받아 부적법한 당초의 공소 제기를 유효로 삼으려는 제도는 인정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
헌법재판소 도서 및 판례 심의위원회헌법재판소 도서 및 판례 심의위원회는 헌법재판소 도서관의 자료선정, 자료교류, 헌법재판소공보 및 헌법재판소판례집 등에 게재할 판례의 선정에 관한 중요사항을 심의하기 위하여 설치된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소속 위원회이다. 헌법재판소법 제17조 제9항 헌법재판소 사무기구에 관한 규칙 제12조 제4항 제2호 헌법...도서 위키백과
-
보건복지부장관의 2002년도 최저생계비 고시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례위키문헌 보건복지부장관의 2002년도 최저생계비 고시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례는 2002년도 국민기초생활보장법상의 최저생계비 고시에 관한 헌법재판소 판례이다. 청구인 장애자와 장애자의 가족인 비장애자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른 생계급여 수급자로 선정되어 그 무렵부터 생계급여를 지급받고 있는데 보건복지부...도서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