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감염 感染, infection
    중추신경계를 침입해 류머트열이나 뇌막염(腦膜炎) 같은 병을 일으킬 수 있다. 살모넬라(salmonella)에 의한 식중독에서부터 생명을 위협하는 장티푸스·콜레라 같은 위장관 질환(소화기 질병)은 대개 오염된 음식물이나 물을 먹어 발생한다. 성병은 성행위를 통해 전염된다. 세균이 뼈나 관절에 침입하면 골수염이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검역 檢疫
    검역활동을 뒷받침하는 법률로서는 1954년 2월 2일에 공포된 <전염병예방법>과 <검역법>을 들 수 있다. 이 <검역법>에 따르면 우리 나라에서 검역전염병은 콜레라·페스트·황열(黃熱)의 3가지로 되어 있다. 또한 접촉자의 격리 및 감시기간은 이 전염병들의 잠복기간을 기준으로 콜레라는 120시간, 페스트는...
    시대 :
    현대
    성격 :
    의학, 보건
    유형 :
    제도
    시행일 :
    15세기 후반
    분야 :
    과학/의약학
  • 않을 수 없다. 조선시대의 역병의 유행상황을 조선왕조실록 등 사서에서 찾아보기로 한다. 역병으로는 장티푸스 · 발진티푸스 · 유행성독감을 비롯하여 콜레라 · 홍역 · 마마 · 성홍열 · 유행성뇌척수막염 등 유행성전염병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당시에는 미생물학을 근거로 하는 임상진단학이 개발되지 못하였던...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의약학
  • 의사보다 더 많은 사람 구한 과학자, 파스퇴르!
    불리는 미생물학자 루이 파스퇴르와 로베르트 코흐의 등장으로 인류의 전염병과의 싸움은 새로운 전기를 맞는다. 파스퇴르는 탄저균을, 코흐는 결핵균과 콜레라균을 발견하고. 특정 세균이 특정 질환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밝혔기 때문이다. 과학은 종종 우연한 사건으로 발견된다. 당시 유럽은 탄저병과 콜레라가 돌던...
  • 사백신 비활성화 백신, 死 ─
    것일 수도 있다는 단점이 있다. 사백신의 종류 사백신에는 전세포 바이러스 백신(인플루엔자, 주사용 폴리오, 공수병, A형간염, B형간염), 전세포 세균 백신(콜레라), 세포분획 백신(Pre S2 B형간염, 인플루엔자, 개량 백일해, Vi 장티푸스), 톡소이드(디프테리아, 파상풍), 유전자 재조합 백신(유전자 재조합 B형간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의약품 , 감염성
  • 시가 기요시 志賀潔, Shiga Kiyoshi
    1914년 전염병연구소 이관 때 기타사토와 함께 사임했다. 이듬해 기타사토 연구소가 설립되자 연구원으로서 혈청과 백신의 제조를 담당했으며, 페스트·콜레라·문둥병에 관한 연구를 했다. 1920년 10월 조선총독부 의원장(醫院長)으로서 경성의학전문학교 교장을 겸임했다. 1926년 경성제국대학 교수로 임명되었고...
    출생 :
    1871. 2. 17, 일본 센다이 한[仙台藩]
    사망 :
    1957. 1. 25, 미야기[宮城]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전염병 傳染病, communicable disease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1954년 전염병예방법을 제정하여 제1·2·3종 전염병을 규정했는데 현재 이후 개정을 통해 제1종 전염병은 콜레라·페스트·장티푸스·파라티푸스·세균성이질·장출혈성대장균 등 6가지, 제2종 전염병은 디프테리아·백일해·홍역·유행성이하선염·일본뇌염·파상풍 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감염성
  • 법정전염병 法定傳染病
    방역대책을 긴급히 수립할 필요가 인정되어 보건복지부령이 정하는 전염병이다. 지정 전염병은 유행 여부를 조사·감시해야 할 전염병이다. 제1군 전염병은 콜레라·페스트·장티푸스·파라티푸스·세균성이질·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이며, 제2군 전염병은 디프테리아·백일해·파상풍·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질병 , 감염성
  • 루이 파스퇴르 Louis Pasteur
    개요 19세기 프랑스의 생화학자. 광견병·탄저병·닭콜레라 백신을 처음으로 만들었다. 세균학의 아버지라고도 불린다. 유년기 루이 파스퇴르는 제혁업자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자유를 획득한 계약 노동자였다. 유년시절의 파스퇴르는 그의 부모와 친구들의 초상화와 파스텔화를 그리는 일 외에는 거의 관심이...
    출생 :
    1822. 12. 27, 프랑스 돌
    사망 :
    1895. 9. 28, 프랑스 파리 근처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공중보건 公衆保健, public health
    것을 알아냈다. F. G. J. 헨리는 전염과정이 생물에 의해 매개된다는 가설을 세웠고(1840), 1866년 존 버든 샌더슨 경이 그것을 확립했다. 존 스노우는 〈콜레라 전염방식에 대하여 On the Mode of Communication of Cholera〉(1849)라는 소논문을 출판했고, 1854년에는 콜레라가 물로 전염된다는 것을 증명했다. 또...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일반상식
  • 소아과 질병, 장염
    생기는 병으로 바이러스성 장염과 세균성 장염이 있다. 아이들에게 생기는 장염은 대부분 바이러스성이며, 그중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이 가성 콜레라다. 가성 콜레라는 로타 바이러스라가 일으키는 병으로 주로 초가을부터 기승을 부리기 시작한다. 대개 바이러스가 묻어 있는 옷이나 장난감, 음식물을 통해 감염된다...
  • 페르난다 몬테네그로 아를레치 피녜이루 이스테베스 토히스, Fernanda Montenegro
    그려내 찬사를 받았다. 2007년에는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Gabriel García Márquez)의 원작소설을 마이크 뉴웰(Mike Newell) 감독이 영화화한 <콜레라 시대의 사랑>(Love in the Time of Cholera)에 출연했다. 평가 페르난다 몬테네그로는 브라질의 연극과, TV드라마, 영화계를 대표하는 브라질에서 가장 존경...
    출생 :
    1929년 10월 16일, 브라질 리오 데 자네이로
    수상 :
    1998년 베를린영화제 여우주연상(<중앙역>), 2004년 산세바스티안국제영화제 명예상
    데뷔 :
    <죽음>(A Falecida, The Death, 브라질, 1964)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8건

콜레라
콜레라
콜레라
콜레라
콜레라
콜레라
콜레라
콜레라(cholera)
콜레라(cholera)
콜레라 확산
콜레라 위험
콜레라 확산
콜레라균
콜레라백신(cholera vaccine)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