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상주박물관 임진란 기록 壬辰亂記錄양진당을 짓고 살고 있었다. 임진란 기록(壬辰亂記錄)은 학자이며 관료인 조정(趙靖, 1555~1636)이 임진왜란 당시에 보고 듣고 겪은 일들을 적은 일기이다. 조정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활동했고, 1596년에 도체찰사였던 이원익의 막하로 들어가 활약했다. 1599년에는 사마시, 2년 후에는 문과에 급제하여...
- 소재지 :
- 경상북도 상주시 사벌면 경천로 684 상주박물관
- 지역 :
- 상주
-
악비 악붕거, 岳飛전투를 지휘했다. 악비의 세 부장은 전투를 승리로 이끌었고, 악비의 군대는 주선진(朱仙鎭)에 주둔한 채 금나라를 공격할 준비를 했다. 하지만 남송 조정은 악비에게 회군 명령을 내렸고, 악비는 어쩔 수 없이 1141년 남송의 수도인 임안부로 귀환했다. 1140년 남침을 강행한 올출은 악비 등의 선전으로 성과를 얻지...
- 출생 :
- 1103년
- 사망 :
- 1141년
-
폴라이비주 140mg Polivy Inj. 140mg용량은 이전에 치료받은 적이 없는 DLBCL 환자와 재발성 또는 불응성 DLBCL 환자에서 다르게 조정한다(표 1 및 표 2 참조). 말초신경병증 관리를 위한 용량 조정은 표 1을 참조한다. 표 1. 말초신경병증에 대한 이 약의 용량 조정 a R-CHP는 계속 투여할 수 있다. 골수억제 관리를 위한 용량 조정은 표 2를 참조한다. 표...
- 식약처 분류 :
- [04210]항악성종양제
- 전문/일반 :
- 전문의약품
- 약효 분류 :
- 항암화학 및 면역요법제 > 표적 항암제 > CD79b 저해제 > CD79b monoclonal antibody (ADC)
- 제조/수입사 :
- (주)한국로슈
- 성상 :
- 백색 내지 회백색의 동결건조물이 충전된 무색 바이알의 주사제로서 조제된 용액은 무색 내지 미갈색이고 투명하거나 약간의 유백색을 띈 액상
- 제형 :
- 주사제
- 투여 경로 :
- 주사제
- 보관방법 :
- 밀봉용기, 직사광선을 피해 2-8℃에서 보관
-
수양대군과 한명회, 정권을 차지하다, 계유정난 癸酉靖難주변에 많은 문인들이 몰려들었다. 글씨는 당대 최고로 평가받았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안평대군은 황표정사를 서서히 장악해 나가며 실력자로 떠올랐으며, 조정은 안평대군, 황보인, 김종서 등 단종을 지지하는 세력과 수양대군을 왕으로 세우려는 세력으로 양분되었다. 안평대군과는 달리 수양대군은 주로 무사들을...
- 시대 :
- 1453년
-
-
포로가 된 명나라 황제, 토목의 변역사는 '토목의 변'이라 일컫는다. 토목의 변으로 영종을 사로잡은 에센은 명나라와의 교섭에서 우위를 기대하며 북경을 향해 진군했다. 하지만 명나라 조정은 병부시랑 우겸의 주도로 영종의 이복동생 주기옥을 황제로 만들고, 20만 대군을 모아 전투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에센은 북경 포위 공격에 실패했으며, 영종도...
- 시대 :
- 1449년
-
탁남과 청남의 대립, 남인의 분기현종 15년(1674) 8월 현종이 재위 15년 만에 승하하고, 14세의 어린 나이로 아들 순이 즉위하니 그가 바로 숙종이었다. 숙종이 즉위했을 때 조정은 외삼촌 김석주와 장인 김만기 등 일부 서인이 있었지만, 현종 말 예송논쟁 이후 서서히 조정에 나오던 남인들이 정치를 주도하였다. 선조 후반 동인에서 남인과 북인으로...
-
부국강병을 위한 변법 개혁, 왕안석의 신법한기, 문언박, 구양수, 사마광, 소식, 소철, 정호, 정이 등이 왕안석의 신법을 강력히 반대했다. 하지만 왕안석은 신법의 추진을 결코 늦추지 않았고, 결국 조정은 왕안석 중심의 신법당(新法黨)과 신법을 반대하는 사마광 중심의 구법당(舊法黨)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왕안석의 신법은 왕안석이 1071년 태황태후 조씨...
- 시대 :
- 1069년
-
이정기 회옥(懷玉), 李正己그가 다시 군사가 되는 과정은 조정의 의도와 상관없이 번진(藩鎭)이 사사로이 장악되는 경우가 반복되고 있는 과정을 보여주는 것이다. 즉, 당시 당 조정은 안사의 난 이후 지방 절도사세력을 통제할 수 없었던 것이다. 한편 당 조정에서는 그에게 평로치청절도관찰사 해운압신라발해양번사 검교공부상서 어사대부 청주...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인물/전통 인물
- 분야 :
- 역사/고대사
-
분사대장도감 分司大藏都監내용 몽골의 침입으로 고려 조정은 도읍을 강화도로 천도했고, 부인사에 있던 초조대장경은 몽골군에 의해 소실되었다. 이에 고려는 없어진 대장경을 다시 갖출 뿐만 아니라 대장경을 조성하는 공덕으로 불보살의 가피를 받아 몽골의 침입을 물리치고자 하는 국가적인 신앙심에서 다시 대장경을 판각하였다. 이것이...
- 시대 :
- 고려
- 유형 :
- 제도/관청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선혜청오십칠공 선혜청공물주인(宣惠廳貢物主人), 宣惠廳五十七貢공인들은 통상 공가를 미리 지급받아 공물을 조달하였는데, 공가는 각공에 따라 1~8분기에 나눠 지급하였다. 변천과 현황 조선 전기의 현물공납제 아래에서 조정은 전국의 각 군현에 현물형태의 공물을 분정하고 수세하여 각종 수요에 충당하였다. 그러나 현물공납제는 공물 부담의 불균형과 방납의 폐단으로 16세기...
- 시대 :
- 조선후기
- 성격 :
- 공인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1608년(광해군 즉위)
- 폐지일 :
- 1895년(고종 32)
- 시행처 :
- 선혜청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