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려의 발전과 혼란정치는 물론 외교관계까지 발전을 거듭하던 고려는 외척과 무신난을 겪으면서 점차 혼란기에 빠져들었다. 이자겸을 비롯해 묘청이 난을 일으키는가 하면, 정중부, 이의민 등 무신들이 권력을 마음대로 휘두르게 되었으며, 신분해방을 외치며 농민과 천민들의 저항 운동도 끊이지 않았다. 무신들의 집권은 최충헌에...
-
황줄미진거미 Phycosoma flavomarginatum형태 크기: 몸길이는 암컷이 2.0~3.0mm, 수컷이 2.0~3.0mm이다. 주요 형질: 배갑은 정중부에 폭넓은 검정 줄무늬가 있고 측면이 노란색으로 둘려 있고 넷째다리 넓적다리마디에 검은 고리무늬가 있다. 생태 서식지: 농경지, 산에 서식한다. 행동습성: 나뭇잎이나 들, 숲 사이 등을 배회하며 거미줄을 늘어 뜨려 근처를...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거미강(Arachnida) > 거미목(Araneae) > 꼬마거미과(Theridiidae )
- 학명 :
- Phycosoma flavomarginatum (Bösenberg and Strand, 1906)
- 국내분포 :
- 경기도, 충청북도
- 해외분포 :
- 중국, 일본
-
월매꼬마거미 Takayus quadrimaculatus형태 크기: 몸길이는 암컷이 2.5~3.5mm, 수컷이 2.5~3.0mm이다. 주요 형질: 배갑은 황갈색, 배 등면은 노란색 또는 회갈색 바탕에 정중부의 회백색 세로무늬와 양 측면에 거무스름한 잎사귀무늬가 발달해있다. 생태 서식지: 산에 서식한다. 행동습성: 관목이나 풀숲 밑 둥지 등, 지면 가까이에 불규칙한 그물을 치고...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거미강(Arachnida) > 거미목(Araneae) > 꼬마거미과(Theridiidae )
- 학명 :
- Takayus quadrimaculatus (Song and Kim, 1991)
- 국내분포 :
- 경기도, 충청남도, 경상북도, 제주특별자치도
- 해외분포 :
- 중국
-
이소응 李紹膺생애 및 활동사항 1170년(의종 24) 대장군으로 왕의 보현원(普賢院) 행차를 호종하였다가 문신 한뢰(韓賴)에게 뺨을 맞고 모욕을 당하였는데, 이것이 정중부(鄭仲夫)·이고(李高) 등 같이 호종하던 무신들의 감정을 폭발시켜 무신란의 발단이 되었다. 무신란 직후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에 올랐으며, 1171년 좌간의...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80년(명종 10)
- 경력 :
- 대장군,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참지정사(參知政事)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무신정변
- 직업 :
- 관리,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죽림고회 竹林高會내용 이 시회(詩會)는 정중부(鄭仲夫)의 무신집권기에 이인로(李仁老)·임춘(林椿)·오세재(吳世才)·조통(趙通)·황보 항(皇甫沆)·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 등 일곱 문인이 구성하였다. 중국 위(魏)나라 정시연간(正始年間)에 완적(阮籍)·혜강(嵇康) 등이 구성한 죽림칠현(竹林七賢, 일명 江左七賢)에 비견하여...
- 시대 :
- 고려
- 성격 :
- 문인단체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이인로(李仁老) 등
- 분야 :
- 문학/한문학
-
김보당의 난 계사(癸巳)의 난, 金甫當의 亂에 임명되었다. 그는 1170년(의종 24) 무신 정변이 일어난 지 3년 후인 1173년 8월에 간의대부로서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로 있으면서, 무신정변의 주동자 정중부(鄭仲夫) · 이의방(李義方) 등을 토벌하고 전(前) 왕인 의종(毅宗)을 다시 세우고자 병마녹사 이경직(李敬直) 및 장순석(張純錫) 등과 모의해 동계...
- 시대 :
- 고려 후기
- 유형 :
- 사건/사회운동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김보당 金甫當중앙의 정치무대에서 축출되어 간의대부로 동북면병마사로 나가게 되었다. 1173년(명종 3) 이에 불만을 품고 동계에서 군사를 일으켰다. 그 명분은 집권자인 정중부(鄭仲夫)·이의방(李義方) 등을 몰아내고 전 왕을 세우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녹사(錄事) 이경직(李敬直)·장순석(張純錫)과 모의해 장순석과...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1173년(명종 3)
- 경력 :
- 우간의, 공부시랑, 간의대부겸 동북면병마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김보당의 난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
- 본관 :
- 영광(靈光)
-
-
장경왕후 장경(莊敬), 莊敬王后흥덕궁주(興德宮主)로 봉하였다. 효령태자(孝靈太子)와 경덕(敬德)·안정(安貞)·화순(和順)의 세 공주를 낳았다. 효령태자는 1153년(의종 7)에 왕태자로 책봉되었으나, 1170년 정중부(鄭仲夫)의 난이 일어난 뒤 진도현에 유배되었다. 시호는 장경(莊敬)이다. 1253년(고종 40)에 혜자(惠資)의 시호를 더하였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출생 :
- 미상
- 사망 :
- 미상
- 유형 :
- 인물
- 직업 :
- 왕비
- 성별 :
- 여
- 분야 :
- 역사/고려시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