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마우라 Antonio Maura (y Montaner)
    5차례 총리를 지내면서 혁명을 저지하고 입헌군주제 수립을 위한 민주적 개혁을 추진했다. 그러나 이러한 눈부신 정치업적도 인간본성에 대한 이해부족과 우유부단이라는 결점으로 가려졌다. 1881년 스페인 의회에 진출했고 1890년 프락세데스 마테오 사가스타 자유당 내각의 식민장관이 되었다. 1894년 쿠바에 자치를...
    출생 :
    1853. 5. 2, 스페인 마요르카 팔마
    사망 :
    1925. 12. 13, 토렐로도네스
    국적 :
    스페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예루살렘, 성지가 되다
    전쟁을 치르는 필리스티아를 대적하기 어려웠다. 이에 이스라엘인들은 자신들을 통치하고 전쟁을 지휘해줄 왕을 요구했다. 전쟁이 잦아지자 세계 최초 입헌군주제 도입 기원전 1100년경 이스라엘인들은 함 족의 블레셋 사람들에 대항할 효율적인 전쟁지휘권 확립을 위해 왕정체제를 수립했다. 이 왕들이 바로 《성경》에...
  • 군주국 목록 List of monarchies
    국기나라 국기나라국기나라 군주제는 군주권의 제한 여부에 따라 전제 군주제(Absolute monarchy)와 입헌 군주제(Constitutional monarchy)로 구분된다. 여기에서 입헌 군주제는 군주권의 유무에 따라 영국형 입헌 군주제(British constitutional monarchy)와 프로이센형 입헌 군주제(Prussian constitutional monarchy...
    도서 위키백과
  • 마르그레테 1세 Margrete I
    흔적을 보여준다. 이른바 대관식법령에는 세습적인 절대군주제의 원리가 표현되어 있는 반면, 이른바 연방법령에는 일부 귀족들이 선호하는 선거에 의한 입헌군주제의 원리가 표명되어 있다. 그러나 칼마르 의회는 마르그레테와 절대주의의 승리였다. 왜냐하면 중세 스칸디나비아의 문서 중 역사가들에게 가장 큰...
    출생 :
    1353, 덴마크 쇠보르크
    사망 :
    1412. 10. 28, 플렌스부르크
    국적 :
    덴마크·노르웨이·스웨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스페인 Spain
    대토지소유제가 지배적이며 빈부차가 크다. 2014년 현재 국내총생산은 1조 4101억 달러, 1인당 국민소득은 3만 3636달러이다. 이 나라의 정체는 입헌군주제의 의원내각제이며, 의회는 양원제로 임기 4년의 상원과 하원으로 구성된다. 주요 정당은 국민당(PP), 사회당(PSOE), 포데모스(Podemos), 사민당 등이다. 약사...
    시대 :
    현대
    위치 :
    유럽 서남부 이베리아반도
    수도 :
    마드리드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50만 5370㎢
    언어 :
    스페인어
    정부/의회형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양원제
    종교 :
    가톨릭교
    화폐 :
    유로(Euro)
    분야 :
    정치·법제/외교
  • 타이의 역사
    양도했으며, 1917년 연합국 편에 가담해서 제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그후 쁘라차띠폭 왕(1925∼35 재위) 시대에 쿠데타가 일어나 절대군주제가 무너지고 입헌군주제 정부가 세워졌으며 1939년에는 국가의 공식 명칭을 시암에서 타이로 바꾸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는 마지못해 일본의 동맹국으로 참전했다. 타이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몬라트 Ditlev Gothard Monrad
    정부 체제뿐만 아니라 군주제의 제한까지도 요구했다. 올라 레만과 함께 1840년대 창설된 국민자유당을 이끌어나갔다. 1848년 3월 혁명으로 왕에게 입헌군주제를 수락하도록 강요한 이후 수립된 정부를 주도했다. 1848년 3~11월까지 문화장관을 지냈다. 1848~50년 슐레스비히 전쟁의 결과로 슐레스비히 공국을 병합시킨...
    출생 :
    1811. 11. 24, 덴마크 코펜하겐
    사망 :
    1887. 3. 28, 니쾨핑
    국적 :
    덴마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미라보 프로방스의 거화, Honoré-Gabriel Riqueti, comte de Mi..
    개요 프랑스 혁명의 초기에 프랑스를 이끌었던 국민의회의 가장 위대한 인물로 꼽힌다. 입헌 군주제를 옹호한 온건주의자로 프랑스 혁명이 가장 급진적인 시점에 이르기 전에 죽었다. 청년시절 유명한 경제학자인 미라보 후작 빅토르 리케티와 마리 주느비에브 드 바상의 불행한 결혼으로 태어난 맏아들이었다. 3세 때...
    출생 :
    1749. 3. 9, 프랑스 느무르 근처 비뇽
    사망 :
    1791. 4. 2, 파리
    국적 :
    프랑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모나코 모나코공국, Monaco
    대부분을 관광·카지노·우표판매로 충당하며, 2013년 현재 국민총생산량은 49억 4000만 달러이며, 1인당 국민소득은 6만 4082달러이다. 이 나라의 정체는 입헌군주제의 왕정으로, 의회는 임기 5년의 단원제(24석)이다. 주요 정당은 국민민주동맹(UND), 민주연합운동(UNAM) 등이 있다. 약사 본래 이 지역에는 페니키아인...
    시대 :
    현대
    위치 :
    유럽 남부 지중해 연안
    수도 :
    모나코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2㎢
    언어 :
    프랑스어
    정부/의회형태 :
    입헌군주제, 왕정, 단원제
    종교 :
    가톨릭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10월당 十月黨, Octobrist
    입헌군주제를 표방하며 10월선언의 실행을 요구했다. 1905년 11월 창설된 이후 실업가 알렉산드르 이바노비치 구치코프의 주도 하에 자유주의적인 귀족, 사업가, 관료들로부터 지지를 받았다. 1907~17년 제3·4차 두마의 다수당으로서 차르에만 책임을 지는 행정부보다 입법부 인민 대표성의 우월성을 옹호했으나 시간이...
  • 네팔 네팔연방민주공화국, Nepal
    때까지 독립을 유지해 왔다. 1846년 이후 100년 동안은 영국의 지원을 받은 라나가(家)의 독재정치가 실시되었으며, 1951년 2월 18일 왕정이 복고되면서 입헌군주제가 확립되고 독립을 이루었다. 의회는 1960년 12월 국왕에 의하여 해산되었고 촌락의 장로가 중심이 되는 국가 판차야트(Rastriya Panchayat)가 1962...
    시대 :
    현대
    위치 :
    아시아 서남부 내륙
    수도 :
    카투만두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14만 7181㎢
    언어 :
    네팔어
    정부/의회형태 :
    의원내각제, 단원제
    종교 :
    힌두교, 불교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카트코프 Mikhail Nikiforovich Katkov
    발을 들여놓은 초년시절에 카트코프는 알렉산드르 2세의 진보적인 개혁운동(즉 '농노해방'과 독립적인 사법부의 설립 등)을 지지했으며, 러시아가 전제군주제에서 입헌군주제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1863년 폴란드인의 봉기가 있은 후 철저한 애국주의자로 변신한 카트코프는 반동적인 국내정책과 호전적인...
    출생 :
    1818. 11. 13(구력 11. 1), 모스크바
    사망 :
    1887. 8. 1(구력 7. 20), 모스크바 근처 즈나멘스코예
    국적 :
    러시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언론인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입헌 군주제(constitutional monarchy)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