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에스와티니왕국 스와질란드 왕국, Kingdom of eSwatini
    아프리카 남부에 있는 입헌군주국.|개관 정식 명칭은 에스와티니왕국[Kingdom of eSwatini, 옛 국명: 스와질란드 왕국(Kingdom of Swaziland)]으로, 1968년 영국에서 독립하였다. 면적은 1만 7364㎢, 인구는 143만 5613명(2015년 현재)이며, 수도는 음바바네(Mbabane)이다. 종족 구성은 스와지족이 97%이며, 기타 줄...
    시대 :
    현대
    위치 :
    아프리카 남부
    수도 :
    음바바네
    성격 :
    국가
    유형 :
    지명/국가
    면적 :
    1만 7364㎢
    언어 :
    영어, 시스와티어
    정부/의회형태 :
    입헌군주제, 내각책임제, 양원제
    종교 :
    개신교, 가톨릭교, 이슬람교, 토착신앙
    분야 :
    정치·법제/외교
  • 에스와티니 (관련어 에스와티니 왕국) Eswatini, エスワティニ
    에스와티니 왕국 혹은 에스와티니는 아프리카의 군주제 국가이다. 행정 수도는 음바바네, 왕정·입법 수도는 로밤바이다. 주로 스와티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가장 널리 보급된 언어는 스와티어이다. 석기 시대 초기인 200,000년 전부터 사람이 살았으며 27,000년 전에 제작된 동굴 벽화가 남아 있다. 16세기부터 반투족...
    도서 위키백과
  • 에스와티니의 역사
    뒤, 나이 어린 마코재티베 왕자가 후계자가 되어 그의 어머니인 은톰비 여왕이 섭정과 황태후(은들로푸카지)의 역할을 수행했다. 2018년 4월 18일 전제군주인 음스와티 3세가 독립 50주년 기념식에서 국명을 에스와티니 왕국(Kingdom of eSwatini)으로 변경했다. 에스와티니는 스와티어로 "스와지인들의 땅"이라는 의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에스와티니의 공휴일 Public holidays in Eswatini
    에스와티니의 공휴일은 다음과 같다. 날짜 이름 비고 1월 1일 양력설 3~4월 중(이동) 성금요일 이스터 먼데이 부활절 다음날 4월 19일 음스와티 3세 생일 왕국이므로, 왕마다 날짜가 바뀜. 4월 25일 국기의 날 5월 1일 노동절 5~6월 중(이동) 주님 승천 대축일 부활절로부터 39일 후에 해당하는 목요일 7월 22일 소부자...
    도서 위키백과
  • 카응과네 KaNgwane
    서쪽과 북쪽 국경을 따라 좁다랗게 형성되어 있으며, 따로 떨어진 작은 구역은 바로 북쪽에 있다. 카응과네는 독립국 스와질란드(지금의 에스와티니)와 함께 1800년대초에 하나의 왕국으로 조직화되었던 스와지족의 옛 거주지이다. 지금의 카응과네는 1895년에 보어인(人)의 남아프리카 공화국(후에 영국의 트란스발...
    위치 :
    남아프리카 공화국 북부 트란스발 주 동부
    면적 :
    3,917㎢
    대륙 :
    아프리카
    국가 :
    남아프리카 공화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프리카
  • 통가 Tonga, トンガ
    하나의 왕국으로 통합했다. 그는 투이 카노쿠풀루라는 족장 칭호를 가지고 있었지만, 1831년에 감리교 선교사들에 의해 시아오시("조지")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 1875년 그는 선교사 셜리 월데마 베이커의 도움을 받아 통가를 입헌 군주국으로 선언하고, 서구의 왕실 스타일을 공식적으로 채택했으며, 농노들을...
    도서 위키백과
  • 레소토 Lesotho, レソト
    통합하고 왕국을 세웠다. 보어인의 침략으로 나라가 위험에 빠지자 영국에 보호를 요청해 1868년 영국의 보호령 바수톨란드가 되었다.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통일하자는 요구를 거부하고 1966년에 영국 연방 내의 자치 국가로 독립했다. 1970년 총선에서 조나단 총리가 이끄는 여당 민족당(BNP)이 국왕 옹호파인 회의당...
    도서 위키백과
  • 소부자 2세 Sobhuza II
    아버지 응그와네 5세는 그가 아주 어렸을 때 죽었으며 성년이 될 때까지 어머니가 섭정을 했다. 그는 스와질란드(지금의 에스와티니)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케이프 주의 러브데일대학에서 교육받았으며 1921년 12월 22일 스와지 왕국의 합법적인 통치자 자리에 올랐다. 당시 스와질란드는 영국이 고등판무관을 파견하여...
    출생 :
    1899. 7. 22, 스와질란드
    사망 :
    1982. 8. 21, 스와질란드 음바바네 근처 로브질라 궁전
    국적 :
    스와질란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정부 형태별 나라 목록 List of countries by system of gover..
    단방제 단원제 국기나라 압하지야 공화국 공화제 의원 내각제 단방제 미확인 국기나라 앤티가 바부다 입헌 군주제 의원 내각제 단방제 양원제 국기나라 에스와티니 왕국 절대 군주제 전제 군주제 단방제 양원제 국기나라 에콰도르 공화국 공화제 대통령제 단방제 단원제 국기나라 엘살바도르 공화국 공화제 대통령제...
    도서 위키백과
  • 음스와티 Mswati
    스와질란드(지금의 에스와티니)를 건국한 소부자 1세의 아들이다. 가장 위대한 응그와네족 왕이었으며, 스와지(나중에 응그와네족에 붙여진 이름)라는 부족 명칭도 그의 이름에서 나온 것이다. 그는 왕국의 영토를 북쪽으로는 로디지아(지금의 짐바브웨)까지 넓혔으며 스와지족이 과거에 잃어버렸던 지역도 되찾았다...
    출생 :
    1820경, 스와질란드(지금의 에스와티니) 만지니 근처
    사망 :
    1868, 스와질란드(지금의 에스와티니)
    국적 :
    스와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 Forum on China–Africa Cooperation, ..
    중국-아프리카 협력 포럼은 중화인민공화국과 에스와티니 왕국을 제외한 아프리카의 모든 국가 간의 공식 포럼이다. 2018년부터 해당 국가들은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내의 협력 플랫폼으로 간주한다. 아프리카–중국 관계 유엔 아프리카 경제 위원회 탈냉전 시대
    도서 위키백과
  • 남아프리카 Southern Africa, 南部アフリカ
    말이다. 앙골라, 나미비아, 보츠와나, 짐바브웨, 잠비아, 모잠비크, 에스와티니, 말라위, 남아프리카 공화국,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등의 나라가 포함...처음으로 딛고 설 수 있는 땅이 만들어진 지역이다. 1100년 짐바브웨 왕국이 등장하였으며 1497년 포르투갈인 바스코 다 가마가 남아프리카 해역을 건너동...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건

스와질란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