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농업재해 農業災害
    기상재해이다. 한국의 기상재해로는 오랜 기간 계속된 이상기온으로 생기는 냉해·한해·한해·습윤해·동상해·동결해·수해·풍해·염해·설해·안개해·우박해 등이 있다. 그밖에 병충해·조수해 등이 농업재해에 해당된다. 대개 농업재해는 위와 같은 자연재해를 일컫는 경우가 많지만 환경오염에 의한 농업재해도...
  • 분원시 憤怨詩
    三年旱 鄒衍含悲五月霜 今我幽愁還似古 皇天無語但蒼蒼)라는 시를 옥벽에 써서 자기의 억울함을 호소했다. 그런데 그날 저녁 갑자기 구름이 끼고 벼락이 치며 우박이 쏟아지자 왕은 크게 두려워 그를 석방했다고 한다. 시에는 억울한 사정을 풀어달라는 뜻만이 아니라 자기가 정당하다는 주장이 담겨 있다. 자기의 결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기상 氣象, meteorological phenomena
    기상기구(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WMO)에서는 기상관측에 따른 대기현상을 네 가지로 크게 나눈다. ①대기수상(大氣水象:hydrometeors)은 눈, 비, 우박, 안개, 서리 등 물에 기인한 물질이 대기 중에서 떨어지거나 부유 하거나 또는 지표 물체에 달라 붙어 있는 현상이다. ②대기진상(大氣塵象:lithometeors...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허난 河南, Honan
    강 유역에 있는 성들보다 폭우와 가뭄이 교차하는 해가 많다. 과거에는 심한 기근으로 인해 고통받았다. 또한 봄철의 갑작스런 호우와 이따금씩 찾아오는 우박 섞인 폭풍이 상당한 파괴력을 가지고 몰아치기도 한다. 건조기에 발생하는 모래먼지폭풍은 겨울철보다 여름철에 더 심한 피해를 가져온다. 허난 성은 중국에서...
    위치 :
    중국 중북부
    인구 :
    95,590,000명 (2017 추계)
    면적 :
    167,000㎢
    대륙 :
    아시아
    국가 :
    중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왕거인 王巨仁
    삼국유사〉에는 이 시를 쓰자 곧 옥에 벼락이 떨어져 왕거인이 풀려나왔다고 했으며, 〈삼국사기〉에는 그날 밤 갑자기 구름과 안개가 끼고 바람과 천둥이 쳐 우박이 쏟아지므로 왕이 크게 두려워하여 왕거인을 풀어주었다고 했다. '찰니나제'는 진성여왕을, '판니판니소판니'는 두 소판을, '부이'는 부호부인을 말한다...
    출생 :
    미상
    사망 :
    미상
    국적 :
    신라,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학
  • 강수 降水, precipitation
    대기 중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포함한 수분이 액체나 고체상태로 변화하여 구름으로부터 땅으로 떨어져 내리는 현상을 말한다. 비나 눈, 우박, 서리, 이슬 등 여러가지가 있으나 강우(降雨)와 강설(降雪)이 가장 대표적이다. 강우는 소나기나 이슬비 등 액체상태로 내리는 현상을 의미하고, 눈처럼 고체상태의 얼음 결정...
  • 군사 지도자 모세
    열 가지 재앙을 일으켜 파라오를 위협한다. 나일 강은 피가 되고 땅은 개구리로 뒤덮인다. 전염병이 동물들에게, 부스럼과 종기가 사람들에게 옮겨간다. 우박과 불꽃이 떨어지고 메뚜기 떼가 곡물을 모두 갉아먹는다. 암흑이 온 이집트를 덮고 이집트인의 장남이 모두 죽었다. 결국 파라오는 이스라엘인들이 떠나는 것을...
  • 과포화 過飽和, oversaturation
    작은 얼음결정인 빙정을 형성한다. 이것이 구름으로 물방울의 크기가 아주 작아서 하늘 위에 떠 있을 수 있다. 물방울과 빙정이 서로 뭉쳐 성장하면 비나 눈, 우박 등으로 지표면에 내려온다. 응결핵이 없을 경우 과포화상태에서 습도만 높아질 뿐 쉽게 빙정이 형성되지 않는다. 인공강우는 과포화상태인 구름에 응결핵...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화학
  • 찬비 冷雨, cold rain
    수증기량보다 높아서 빙정 주변에는 과포화 상태가 만들어지고 수증기가 승화하여 빙정에 달라붙게 된다. 빙정이 성장을 거듭하면서 중력에 의해 낙하하게 되는데 이것이 따뜻한 기류를 만나 녹으면 비가 된다. 때로 빙정이 녹지 않고 눈이나 우박 상태로 내리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내리는 대부분의 비가 바로 찬비...
    도서 다음백과
  • 제천 덕주산성
    외성이고 하덕주사에서 마애불을 향해 올라가다가 도중에 보이는 성벽이 내성이다. 고려 고종 43년(1256) 몽골군이 충주를 공략하자 갑자기 구름, 바람, 우박이 쏟아져 적군들은 신이 돕는 땅이라 하여 달아난 전설이 있다. 또 조선 말기에는 명성왕후가 흥선대원군과의 권력다툼에서 패배할 것을 예상하고 은신처를...
    위치 :
    충청북도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산1-1
    문화재 지정 :
    [제천 덕주산성] 충청북도 기념물 제35호(1983.03.30 지정)
  • 강수량 降水量, rainfall
    강수가 일정 시간 내에 수평한 지표면 또는 지표의 수평투영면에 낙하하여 증발되거나 유출되지 않고 그 자리에 고인 물의 깊이를 말한다. 눈, 싸락눈, 우박 등 강수가 얼음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이것을 녹인 물의 깊이를 말하며, 이슬, 서리, 안개를 포함한다. 비의 경우는 강우량, 눈의 경우는 강설량이라 하며...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기상/기후
  • 문학건설 文學建設
    창간호가 종간호이다. 내용 작품으로는 소설에 이기영의 「양잠촌(養蠶村)」, 이북만의 「출근정지(出勤停止)」, 김한(金漢)의 「그믈」, 이동규(李東珪)의 「우박」, 한설야의 「365일」, 박동수(朴東洙)의 「개척군(開拓群)」이며, 희곡에 한설야의 「절뚝발이」, 평론에 박태양(朴太陽)의 「창작방법문제 논의의 기운...
    시대 :
    근대
    저작자 :
    박동수
    창작/발표시기 :
    1932년 12월(창간), 1932년 12월(종간)
    성격 :
    잡지, 문예잡지
    유형 :
    문헌
    간행/발행 :
    문학건설사
    분야 :
    문학/현대문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4건

우박
우박
우박
우박
우박
삼국사기 / 온조왕 37년(우박)
미국 국립 폭풍연구소에 보관 중인 약 15㎝ 지름의 거대한 우박
우박덩이
우박 피해
우박덩이
우박설탕
우박 폭풍 지도
우박 내려 튐
우박의 발달
우박설탕(하겔슈거)
그림 8-41. 우박피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