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대방광원각수다라요의경 원각경(圓覺經), 大方廣圓覺修多羅了義經원각(圓覺)’, ‘경(經)’이란 두 개의 판심제(版心題)가 보인다. 어미는 내향흑어미(內向黑魚尾)를 사용하였다. 권의 첫머리에는 사제(思齊), 배휴(裵休), 영기(英奇)가 쓴 3개의 서문이 있고, 권상(卷上)의 끝부분에는 1380년(우왕 6) 이색이 쓴 발문과 시주질, 유사질이 있다. 이 책은 판종(版種)이 매우 다양하여...
- 시대 :
- 고려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황기계지탕 黃芪桂枝湯관계(官桂)를 빼고 계지를 군약(君藥)으로 삼은 처방이기도 하다. 이 처방은 풍한사(風寒邪)를 발산시키는 계지가 군약이 되고, 표부(表部)를 튼튼하게 하는 황기·영기(營氣)를 조화시키고 수렴작용이 있는 백작약이 신약(臣藥)이 되며, 보기축랭(補氣逐冷)하는 하수오, 화혈활혈(和血活血)하는 당귀, 화중(和中)하는...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과학/의약학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홍성 용대기놀이 洪城 龍大旗놀이피로를 푸는 용대기놀이가 행해지고 있다. 1981년에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 민속놀이부문에서 문화공보부장관상을 받았다. 놀이방법 마을사람들이 용대기와 영기(令旗: 농악을 연희할 때 장식용으로 쓰던 기)를 들고 풍물장단에 맞추어 나온 후 농요를 부른다. 모심기와 논매기를 한 후에 이웃마을의 두레패가 보이면...
- 시대 :
- 현대
- 유형 :
- 놀이
- 분야 :
- 생활/민속·인류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화순한천농악 和順寒泉農樂투전놀이를 하는 점, 노래굿에서 이 지역의 특색 있는 논맴소리를 길게 부르는 점 및 북춤과 팔법고춤이 돋보이는 점도 특색으로 꼽힌다. 기수 3(삼면기 1· 영기 2), 쇠 4(상쇠 · 부쇠 · 종쇠 2), 징 2, 쇄납 2, 나팔, 장고 4(설장고 · 부장고 · 삼장고 · 끝장고), 큰북 4, 소고 24, 잡색 7(대포수 · 조리중...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웃다리농악 웃다리農樂이용부 낭걸립패가 하는 것을 보고 넣었다. 호남농악의 달아치기와 비슷한 고사리꺾기는 6·25전쟁 뒤에 청원군의 강내농악을 본받아 삽입한 것이다. 쇠 3· 징 2· 장구 3∼4· 북 2· 소고 8· 무동 8· 쇄납 1· 기수 6(농기, 영기 2, 오방기 3) · 잡색 3(포수, 양반, 각시)인으로 편성하지만 유동적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부채마 Fan-leaf mountain yamdiosbulbin B, diosbulbin C, diosgenin도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凉血(양혈), 降火(강화), 소영, 해독의 효능이 있다. 토혈, 鼻出血(비출혈), 喉痺(후비), 영기, 瘡癰(창옹), 누력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4.5-9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붙이거나 분말로 환부에 바른다. ⑵黃獨零餘子(황독령여자...
- 분류 :
- 백합목 > 마과 > 마속
- 꽃색 :
- 노란색, 녹색
- 학명 :
- Dioscorea nipponica Makino
- 개화기 :
- 8월, 7월
-
활안문집 闊岸文集차운(次韻)·화답(和答)한 것이 많은 양을 차지하며, 그밖에 영물(詠物) 또는 감회를 읊은 시가 더러 있는데 대개 은일적 기분을 나타낸 내용들이다. 「영기(詠棊)」는 바둑 두는 장면을 창과 칼이 없는 전쟁으로 묘사하며 해학과 풍자를 곁들여 표현하고 있다. 또한, 전고(典故)를 많이 인용하고 있는 점이 특색이다...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홍구범
- 창작/발표시기 :
- 1977년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6권 3책
- 간행/발행 :
- 홍성근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국립중앙도서관, 이화여자대학교 도서관
-
곡성죽동농악 谷城竹洞農樂달리 쇠가락과 상쇠의 부포놀음이 발달하여 섬세하고 어려운 기교들이 많이 있다. 그리고 가락과 동작이 빠른 편이고 단체기술이 발달되었다. 호남좌도농악은 영기 · 농기 · 나발 · 쇠납 · 상쇠 · 부쇠 · 끝쇠 · 수징 · 부징 · 수장구 · 부장구 · 끝장구 · 수북 · 부북 · 수법고 · 부법고 · 종법고...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서울 봉은사 판전 신중도 서울 奉恩寺 板殿 神衆圖박용석(朴龍石)이 1857년 「봉은사개금탱화시주목록(奉恩寺改金幀畵施主目錄)」에 이름을 올리고 있고, 「불량답매입기(佛糧畓買入記)」에 1857년(철종 8) 영기대사(永奇大師) 등이 권화(勸化)하기 위해 판전에 신중탱을 조성하였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어, 이 불화는 1856년 판전이 건립된 이듬해인 1857년에 조성된 것...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정읍농악 井邑農樂이끌고 쇠 놓인 곳을 돌고 나온다. 쇠잽이가 다시 들어가 쇠를 주어들고 짝두름을 친다)를 넣는다. 정읍농악의 굿패는 일반적으로, 기수 4(용당기 · 농기 · 영기 2), 쇠 4, 징 2, 장고 6, 북 2, 고깔소고 8 · 채상소고 8 · 잡색(양반광대 · 각시 · 조리중 · 대포수 등)으로 편성된다. 1996년에 전라북도 무형...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