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농악 마을굿, 農樂
    농악은 전통 사회에서 농민들이 풍물을 치면서 풍년을 기원하고 일 년의 액운을 막기 위해 제의를 행하고 고된 농사일을 덜기 위해 행하는 제반 문화 행사이다. 정월 대보름, 4월 초파일, 5월 단오, 7월 백중, 8월 추석 등 각종 세시명절에 행해 왔다. 꽹과리, 장구, 북, 징, 소고 등의 악기로 연출하여 행하는데, 농악...
    시대 :
    조선 , 조선 전기 , 조선 후기 , 근대 , 근대/개항기 , 근대/대한제국기 , 근대/일제강점기 , 현대
    유형 :
    개념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농악 農樂
    세시풍속과 관련되어 민중의 생활 깊이 스며들어 공동체를 형성하면서 행하던 민속종합예술. 본래 굿을 가리키는 말로, 지방에 따라 여러 이름으로 불렀다. 8·15해방 이후 국악정리사업의 실시로 '농악'이라는 말로 통칭하게 되었고, 오늘날에는 4가지 타악기를 기본으로 하는 농민음악을 농악으로 부르게 되었다. 전국...
    문화재 :
    국가무형문화재 제11-1~6호 (진주삼천포농악·평택농악·이리농악·강릉농악·임실필봉농악·구례잔수농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놀이 , 한국음악 , 농악
  • 농악 농악놀이, 農樂
    1941년 철마(鐵馬) 김중현(金重鉉)이 유화로 그린 풍속인물화.|내용 캔버스에 유채. 세로 72㎝, 가로 90㎝. 삼성미술관 리움 소장. 김중현은 이 작품을 제작하던 해에 체신국에서 일하고 있었다. 주로 조선미술전람회를 통해 작품을 내놓았는데 1936년 제15회 조선미술전람회에는 수묵채색화 부문의 「춘양(春陽)」이 ...
    시대 :
    근대/일제강점기
    저작자 :
    김중현
    문화재 지정 :
    전라북도 시도무형문화재 제7호
    창작/발표시기 :
    1941년
    성격 :
    유화
    유형 :
    작품
    크기 :
    세로 72㎝, 가로 90㎝
    권수/책수 :
    1점
    재질 :
    캔버스에 유채
    분야 :
    예술·체육/회화
    소장/전승 :
    삼성미술관 리움
  • 농악 農樂
    진주·삼천포 지역에 전래되고 있는 농악.|내용 진주삼천포농악 · 강릉농악 · 이리농악 · 평택농악 · 임실필봉농악 등 다섯 지방의 농악이 지정되었다. 진주삼천포농악은 (사)국가무형유산 진주삼천포농악보존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풍물놀이 (관련어 농악) Pungmul, 農楽
    풍물놀이 혹은 풍물굿(간단히 풍물(風物))이란 꽹과리, 장구, 북, 징의 네 가지 악기(사물)와 나발, 태평소, 소고(버꾸라고도 함) 등의 악기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악기 연주와 몸동작 그리고 행렬을 지어 다채로운 집단적 움직임을 보여주는 진풀이 등을 모두 가리키는 말이다. 대표적인 풍물놀이로는 숙달된 풍물패가 ...
    도서 위키백과
  • 농악의 지역적 분류
    따라 악기편성·채(장단)·진법 등이 다른데 웃다리가락(중부이북)·아랫다리가락(중부이남)으로 크게 나누기도 하며, 기호농악권·호남농악권(좌도·우도 농악)·영남농악권·영동농악권으로 나누기도 한다. 기호농악권 경기지방을 중심으로 강원도 영서지방, 충청도 북부지방까지 전승되고 있는 농악으로 웃다리농악...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음악
  • 농악의 기원
    나네"라는 꽹과리 두레소리가 지금까지 전한다. 고구려에서는 "놀 때는 고깔과 수건을 쓰고 꿩꼬리를 꽂고 춤을 추는데 촌구석의 남녀까지도 주야로 굿치고(농악) 즐겨 놀더라"라는 기록이 〈삼국지〉 후한서에 전한다. 백제에서는 산천에 제사를 지낼 때나 군사들을 열병할 때 농악을 쳤으며 매번 일본에 음악인을 파견...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웃다리농악 웃다리農樂
    내용 대전광역시에서 보호하고 있는 송순갑(중앙농악회)의 웃다리 걸립농악. 1984년 12월 29일 충청남도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 ‘상쇠(칠채가락)’의 첫 예능보유자로 송순갑(1912년 부여군 출생. 남. 7살 때부터 걸립패를 따라 무동을 섰음)이 인정되었다. 그리고, 1989년도에 기존의 대전시가 대덕군 일부지역을...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농악의 절차와 놀이
    굿과 같이 연극성을 띤 잡색놀이도 펼쳐진다. 두레풍장굿은 '공동체성원 모두가 일을 돌려가며 한다'는 뜻인 두레에서 집단적으로 노동할 때 두레패들이 치는 농악을 말하며, 일종의 작업능률을 올리기 위한 농악놀이이다. 두레작업 중 특히 김맬 때는 풍장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김매러 갈 때는 질굿가락(행진장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임실필봉농악 任實筆峰農樂
    내용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강진면 필봉리에 전승되고 있는 농악. 1988년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호남좌도 농악의 하나로 곡성농악(谷城農樂), 남원금지농악(南原金池農樂)과 함께 남원 상쇠 전판이(田板伊) 계보에 속한다. 필봉마을에는 예로부터 당산굿 · 마당밟이 정도의 단순한 농악이...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우도농악 右道農樂
    최화집한테서 3∼4년 쇠가락을 배웠다. 25세에는 고창의 강성옥 밑에서 5∼6년 종쇠로, 29세엔 고창의 박성근 밑에서 5∼6년 종쇠를 맡다가 39세 이후로 영광농악의 상쇠가 되었다. 1999년 타계하였으며 현재 상쇠는 문한준이 계승하였다. 우도농악의 설장구는 나주시 금천면 사람 김명광(金明光)인데 1994년 타계...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김천금릉빗내농악 金泉金陵빗내農樂
    내용 경상북도 김천시(金泉市) 개령면(開寧面) 광천동(廣川洞)에 전승되어 온 농악. 2019년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로 지정되었다. 2019년 9월에 지정되었다. 개령면은 금릉군 지역이며 삼한시대에는 감문국(甘文國)이라는 부족국가가 있었던 자리로 알려져 있다. ‘빗내’는 광천동의 자연 부락 이름이다...
    시대 :
    현대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22건

농악
농악
농악
농악
농악
농악
농악 / 당산굿
농악 / 길군악
농악 / 샘굿
평택농악
평택농악
두레농악
이리농악
강릉농악
농악 / 상쇠춤
농악 / 상모놀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