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남양주 봉영사 지장시왕도 南楊州 奉永寺 地藏十王圖지장보살은 관음보살과 함께 우리나라 2대 보살의 하나로, ‘위로는 부처의 도를 구하며,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도를 실천하며, 천인 · 아수라 · 축생 · 아귀 · 지옥의 육도윤회(六道輪廻)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을 남김없이 구제하기 위해 성불(成佛)마저도 포기한 대비(大悲)의 보살이다. 화기에 ‘도광...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삼장보살도 三藏菩薩圖권속으로는 용수보살(龍樹菩薩) · 다라니보살(陀羅尼菩薩) · 견뇌신중(牽牢神衆) · 금강신중(金剛神衆) · 팔부신중(八部神衆) · 용왕신중(龍王神衆) · 아수라(阿修羅)이 표현된다. 지장보살은 승형 혹은 두건을 쓰고 석장, 보주를 들고 있으며 권속으로는 도명존자(道明尊者) · 무독귀왕(無毒鬼王) · 시왕(十王...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의성 정수사 지장시왕도 義城 淨水寺 地藏十王圖불화이다. 지장보살은 관세음보살과 함께 인기 있는 보살의 하나로, ‘위로는 부처의 도를 구하며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도를 실천하며, 천 · 아수라 · 축생 · 아귀 · 지옥의 육도윤회(六道輪廻)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을 일체 구제하지 않고서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誓願)을 내건 보살이다. 화면 중앙...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함양 용추사 건륭18년 천룡탱 咸陽 龍湫寺 乾隆十八年 天龍幀▽화면의 가장자리에는 주선(朱線)을 둘러 구획하고, 주선 바깥 부분에 백색안료를 일률적으로 바르고 있다. 천룡도에는 위태천을 비롯해 천(天)의 권속인 용 · 아수라 · 가루라 등이 모두 포함되는데, 위태천은 사천왕의 권속인 32장군 중 우두머리로서 양 귀 옆으로 새 깃털장식이 있는 투구를 쓰고 갑옷을 입은 형상...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도갑사삼십이관음응신도 道岬寺三十二觀音應身圖身)·대자재천신(大自在天身)·거사신(居士身)·바라문신(婆羅門身)·용남신(龍男身)·용녀신(龍女身)·용신(龍身)·약차신(藥叉身)·건달바신(乾闥婆身)·아수라신(阿修羅身)·긴나라신(緊那羅身)·마호나가신(摩呼那伽身)·불신(佛身)·장자신(長者身)·집금강신(執金剛身)·소왕신(小王身)·부녀신(婦女身)·벽지불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자실
- 창작/발표시기 :
- 1550년(명종 5)
- 성격 :
- 불교 회화
- 유형 :
- 작품
- 크기 :
- 세로 235㎝, 가로 135㎝
- 재질 :
- 비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일본 경도(京都) 지온원(知恩院)
-
경주 남산동 동·서 삼층석탑 慶州 南山洞 東·西 三層石塔석탑의 연대와 함께 팔부중 조각의 양식계보 설정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팔부중은 모두 좌상으로서 삼두팔비(三頭八臂: 머리가 셋이고 팔이 여덟인 모습)의 아수라상(阿修羅像)이라든지, 뱀관을 쓰고 있는 마후라상(摩喉羅像) 등이며, 이들은 입에 염주를 물었거나 손에 여의주 · 금강저를 든 모습 또는 합장한 모습...
- 시대 :
- 고대/남북국/통일신라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봉서암감로왕도 鳳瑞庵甘露王圖아래에는 한 쌍의 아귀(餓鬼)를 중심으로 욕계(欲界: 불교에서 말하는 욕계(欲界)ㆍ색계(色界)ㆍ무색계(無色界)의 삼계(三界) 중 하나로,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계를 통틀어 일컫는 말)의 여러 장면과 풍속 장면들이 다양하게 전개되어 있다. 아귀 중 하나는 입에서 불을 뿜고 손에는 밥그릇을 들고 있고...
- 시대 :
- 조선
- 창작/발표시기 :
- 1759년
- 성격 :
- 불교 회화
- 유형 :
- 작품
- 크기 :
- 세로 228㎝, 가로 182㎝
- 재질 :
- 비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소장/전승 :
- 호암미술관(湖巖美術館)
-
서울 안양암 감로도 서울 安養庵 甘露圖배치하고, 화면 중앙에는 성대하게 차려진 재단 · 아귀, 의식을 행하는 장면을, 그리고 마지막 하단에는 인간 세계를 비롯한 육도(六道: 천 · 인간 · 아수라 · 축생 · 아귀 · 지옥) 세계가 그려진다. 상단의 불보살이 아귀나 지옥의 고통 받는 고혼(孤魂)들에게 감로(甘露)를 베풀어 극락으로 인도하는 내용을...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지장보살상 地藏菩薩像지장보살은 관음보살과 함께 우리나라 2대 보살의 하나로, ‘위로는 부처의 도를 구하며,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도를 실천하며, 천(天) · 인(人) · 아수라(阿修羅) · 축생(畜生) · 아귀(餓鬼) · 지옥(地獄) 등 육도윤회(六道輪廻)에서 고통을 받는 중생들을 남김없이 구제하기 위해 성불(成佛)마저도...
- 유형 :
- 개념
- 분야 :
- 예술·체육/조각
-
몽산화상육도보설 육도보설(六道普說), 蒙山和尙六道普說唯心造)의 입장으로 마음의 중요성을 강조한 후 이를 바로 깨닫지 못하는 중생들을 위하여 범부(凡夫) 중생들이 윤회하는 지옥 · 아귀 · 축생(畜生) · 아수라(阿修羅) · 인간 · 천상 등의 육도와 성문 · 연각 · 보살 · 부처의 사성도(四聖道) 등 십법계(十法界)(十法界)에 대해 설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이후...
- 시대 :
- 조선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부산 복천사 지장시왕도 釜山 福泉寺 地藏十王圖지장보살은 관세음보살과 함께 인기있는 보살의 하나로, ‘위로는 부처의 도를 구하며, 아래로는 중생을 구제’하는 보살도를 실천하며, 천 · 인 · 아수라 · 축생 · 아귀 · 지옥의 육도윤회(六道輪廻)에서 고통 받는 중생들 일체를 구제하지 않고서는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誓願)을 내건 보살이다. 화면에는 두건...
- 시대 :
- 조선 후기
- 유형 :
- 유물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시왕경변상도 十王經變相圖졌다. 이들은 모두 19매이며 이 가운데 9매의 그림이 책머리 변상 형식을 취하였다. 대체로 그 구성은 설법주 석가모니를 비롯하여 그 권속들과 국왕·천룡·아수라왕·보살 그리고 명부의 시왕·사명(司命)·사록(司錄)·삼도대신(三道大神), 24명의 판관(判官), 16귀왕(鬼王), 2명의 동자, 6명의 사자, 2명의 관전...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회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