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부벽루 영명루, 浮碧樓개설 북한 국보유적 제17호. 부벽루는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와 함께 조선시대 3대 누정으로 꼽힌다. 부벽루에 올라서면 청류벽 아래 유유히 흐르는 맑은 대동강물과 강 건너로 펼쳐진 들판, 멀리 크고 작은 산들이 보이는 전경이 매우 아름답다. 외부에서 본 부벽루는 비단 자락을 펼쳐 놓은 듯한 맑고 푸른 물과...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강호능소화 江湖陵霄花내용 황해남도 배천군 강호리에 있는 북한 천연기념물 제162호. 이 능소화는 북한 국보급 제77호인 고려시대 사찰인 강서사(江西寺) 경내의 대웅전 앞마당에 있다. 강서사 정원에서 자라는 이 능소화의 동쪽에는 낮은 산이 있고 서쪽에는 밭과 산림이 있으며 북쪽에는 백마산이 있다. 1840년경에 심은 참중나무와 함께...
- 문화재 지정 :
- 북한의 천연기념물 제162호
- 서식지 :
- 황해남도 배천군 강호리
- 성격 :
- 식물, 꽃
- 유형 :
- 동식물
- 크기 :
- 높이 20m, 밑둘레 55㎝, 가슴높이둘레 48㎝
- 분야 :
- 과학/식물
- 개화기 :
- 7∼8월
-
원산학사 元山學舍개설 종래 한국 최초의 근대 학교로 알려진 배재학당보다 2년 앞서 설립된 것이 밝혀져, 한국 최초의 근대 학교로 일컬어진다. 설립목적 원산은 1880년 4월 개항과 동시에 일본인 거류지가 만들어지고, 일본 상인들의 상업활동이 시작되었다. 덕원·원산의 지방민들은 일본 상인의 침투에 대한 대응책을 세워야 할 것을...
- 시대 :
- 근대
- 위치 :
- 북한 함경남도 원산
- 설립 :
- 1883년(고종 20)
- 성격 :
- 교육기관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정현석, 어윤중, 정헌시
- 분야 :
- 역사/근대사
-
북한산성 금위영 이건기비 北漢山城 禁衛營 移建記碑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총높이 1.41m, 비높이 1.05m, 너비 2.25m이다. 원래 금위영은 소동문(小東門) 안에 있었으나 그 지세가 높아 비바람이 몰아치면 무너지기 쉬우므로 보국사(輔國寺) 아래로 옮기게 되었다. 금위영 이건기비는 이러한 사실을 적은 비이다. 비의 재료는 화강암으로 뒷면은 땅에 묻혀 있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
-
개성직할시 교육과 문화교육시설로 80여 개의 인민학교가 각 리마다 있으며, 고등중학교 60여 개교, 고등전문학교 3개교와 송도정치대학·개성사범대학·개성공산대학이 있다. 문화시설로는 고려박물관·역사박물관·학생소년궁전·식물원·시립극장이 있고, 개성신문사·개성방송국 및 개성 TV 등의 언론기관과 판문체육관·개성경기장·판문...
-
북한산성 행궁지 北漢山城 行宮址내용 경기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가 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아 2007년 6월 8일 사적으로 승격 지정되었다. 북한산성 행궁지는 조선시대 후기에 들어 1711년(숙종 37) 5월에 북한산성 수축 공사를 맡았던 김우항(金宇杭)이 산성 안에 임금행차시의 처소 또는 유사시 임금의 피난처 및 지휘소로 이용할 수 있는 임시...
- 유형 :
- 유적
- 분야 :
- 예술·체육/건축
-
-
-
-
김삿갓북한방랑기 ─北韓放浪記다음날 낮 12시 55분에 재방송을 냈으며, 제1·2방송은 물론, 대북방송에도 하루에 7회나 이 프로그램을 재방송하기도 했다. 그 내용은 공산압제에 시달리는 북한 동포의 참상을 단편적이나마 청취자들에게 알려주려는 의도 아래, 역사 속의 풍류시인 김삿갓을 등장시켜 가상으로나마 그가 여행한 북한주민들의 비참한...
- 시대 :
- 현대
- 창작/발표시기 :
- 1964년 5월 18일
- 성격 :
- 라디오 연속극
- 유형 :
- 작품
- 분야 :
- 언론·출판/언론·방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