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할미꽃 白頭翁키우고 있었다. 큰 손녀는 얼굴은 예뻤으나 마음씨가 좋지 않고, 작은 손녀는 마음씨는 고왔으나 얼굴이 못생겼다. 이들은 성장하여 큰 손녀는 가까운 마을 부잣집으로 시집가게 되고 작은 손녀는 산너머 먼 마을의 가난한 집으로 출가하게 되었다. 큰 손녀는 할머니를 마지못해 모셔갔다. 그러나 큰 손녀는 말뿐이고 잘...
- 유형 :
- 생물
- 분야 :
- 과학/식물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을화 乙火작품집(을유문화사)에서도 살인자 아들 욱이가 기독교도로 설정되는 등 한 차례 개작이 이루어졌다. 『을화』에서는 묘사와 설명이 많아지고 박장로와 정 부잣집 마님의 비중이 높게 재창조되어 장편으로서의 구성을 갖추었다. 1장 ‘무녀의 집’을 시작으로 16장 ‘종이등불’로 끝나는 이 소설의 구성은 무녀 을화의...
- 시대 :
- 현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도생록 圖生錄내용 1938년천일영화사(天一映畫社)에서 제작하였고, 촬영은 이신웅(李信雄)이 맡았다. 내용은 부잣집 머슴인 늙은 아버지와 딸 사이의 애틋한 부녀의 정과 숙명적 비극을 감상적으로 그린 것이다. 영건의 집 머슴 재봉(李錦龍扮)에게 성숙한 딸 순이(金信哉扮)가 있는데, 순이는 이웃마을의 석주(崔雲峰扮)와 사랑하는...
- 시대 :
- 근대
- 저작자 :
- 유치진(원작), 윤봉춘(감독)
- 창작/발표시기 :
- 1938년
- 성격 :
- 영화
- 유형 :
- 작품
- 분야 :
- 예술·체육/영화
- 소장/전승 :
- 천일영화사(天一映畫社)
-
빈처 貧妻심리적 갈등이 상세히 묘사된다. 이틀 뒤 기미(期米: 양곡거래소에서 정기 거래의 목적물이 되는 쌀)로 한몫 잡은 인천 처형이 ‘나’의 집을 방문하는데, 부잣집 딸로 태어나 가난한 집에 시집와서 빈궁을 감내하면서도 때로 흔들리는 아내의 모습과 아내를 포용하는 ‘나’의 감상으로 끝나는 마지막 대목에서, 범속한...
- 시대 :
- 근대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조선미술원 朝鮮美術院세계 미술의 섭취를 목적으로 개설된 조선미술원은 동양화ㆍ서양화ㆍ조각 등 미술 각 부문의 본격적인 종합미술연구소였다. 김은호의 회고에 의하면 개성의 부잣집 아들인 서양화가 박광진의 개인 소유였던 서울 중학동 20번지 2호 집터에 김은호가 개인 경비를 들여 1937년에 3층 양옥 신축 건물을 지었다고 한다...
- 시대 :
- 근대/일제강점기
- 위치 :
- 서울 중학동 20번지 2호(지금의 한국일보사 옆)
- 설립 :
- 1936년 10월
- 성격 :
- 미술교육기관
- 유형 :
- 단체
- 해체 :
- 1938년 12월
- 설립자 :
- 김은호, 박광진, 김복진, 허백련
- 분야 :
- 예술·체육/회화
-
석포유고 石浦遺稿에서는 부귀란 명이 있는 것이니 애써 구하지 말라고 하였으며, 그의 가훈·가법(家法) 등을 말하였다. 잡저의 「복곽자전(覆郭子傳)」은 천성(川城)에 사는 부잣집 자식이 공부는 하지 않고 사치와 교만을 일삼다가 끝내 빌어먹는 것을 보고 지은 것으로, 부호가 자제들의 경계가 될 만한 전기이다. 「송환아지적소...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이욱
- 성격 :
- 시문집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1책
- 분야 :
- 종교·철학/유교
- 소장/전승 :
- 고려대학교 도서관
-
임술민란 발생백성과 함께 문제를 논의한 뒤 여러 마을에 통문을 보내 집회를 연다. 모여든 농민은 읍내 관아로 몰려가 아전들을 때리고 문서를 불 지르고 관아와 부잣집을 부순다. 심할 때는 수령을 묶어 고을 경계 밖에 버리기도 한다. 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깨닫고 안핵사, 암행어사 등을 해당 고을에 파견하는 한편, 삼정의...
- 시대 :
- 1862년
- 국가/대륙 :
- 한국
-
할미꽃연상하게 되어 유래. 민속·속담·격언 한 할머니가 예쁘나 마음이 나쁜 큰 손녀와 미우나 마음이 착한 작은 손녀를 키웠는데 늙어 더 이상 의지할곳이 없어 부잣집에 시집간 큰 손녀를 찾아갔으나 문전박대당해 작은 손녀에게 가다가 기진맥진해 죽은후 무덤에서 피어난 꽃이라는 슬픈 전설을 가지고 있음. 용도 약용...
- 분류 :
- 미나리아제비과(Ranunculaceae)
- 서식지 :
- 산지의 양지
- 학명 :
- Pulsatilla koreana Nakai
- 본초명 :
- 백두웅(白頭翁)
- 분포지역 :
- 한국(제주제외 전역), 만주, 아무르, 우수리
-
문개가 聞丐歌구걸하는 노랫소리가 들려온다. 그런데 그 소리가 근심도 슬퍼하는 기색도 없으므로 불러 연유를 묻는다. 이에 거지는 자신은 일찍이 부러울 것 하나 없는 부잣집 자식으로 태어나 아내와 자식과 함께 부족함 없이 살았는데, 갑자년(1504) 광왕(狂王 : 연산군을 가리킴.)을 만나, 하루아침에 조상 누대의 가산을 잃고...
- 시대 :
- 조선
- 저작자 :
- 송순
- 창작/발표시기 :
- 조선 중기
- 성격 :
- 한시
- 유형 :
- 작품
- 분야 :
- 문학/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