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배 과실 저온 저장고 관리 방법과실 입고 입고 전에 저장력이 약한 지베렐린 처리과, 과숙과 등을 따로 보관해 수출용 배에 섞이지 않도록 주의하여 입고하도록 한다. 저장성이 약한 조생종 품종은 가급적 수확 직후 바로 저온 저장고에 입고시켜 신속하게 품온을 낮추어야 한다. ‘신고’, ‘추황배’, ‘금촌추’, ‘만삼길’ 등과 같이 저온 저장...
-
신규 배 과원 조성토양에 환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초생재배는 새로 조성된 과수원 토양의 빗물에 의한 토양유실과 침식을 방지하여 토양 보존에도 큰 역할을 한다. 배나무는 재식 3년 차 이후부터는 잡초와의 양분이나 수분 경쟁이 문제되지 않는 과종이다. 배 과수원 겉흙 관리는 초생재배를 이용하여 노동력 절감과 토양침식을...
-
배 묘목 심는 요령피해도 많게 된다. 배게 심어 나무가 커짐에 따라 1, 2차로 나무 줄이기나 솎아내기를 하여 수관 내에 충분한 일조와 통풍이 잘되게 해야 한다. 심는 방법 배나무는 크게 되면 수관이 넓어지기 때문에 지하부도 여기에 맞추어 깊고 넓게 자라게 하여 뿌리의 활동을 좋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나무 때 생육의 상태...
-
배나무강서구 대저동 출두리 지역이었고, 이 지역 일대는 봄이면 배꽃이 만발하여 장관을 이루었다. 여기서 생산된 배는 질이 좋아 일제 강점기만 해도 구포 선창에서 배에 실려 일본으로 갔고, 구포역에서 경부선 열차에 실려 만주까지 갔다. 그래서 생산지는 대저이었는데, 그 이름은 구포 배로 통하였다. 그동안 노쇠기에...
- 분야 :
- 지리
- 지역 :
- 부산광역시 강서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손자병법 군쟁편, 고릉물향 배구물역 양배물종 高陵勿向 背邱勿逆 佯北勿從꾸민다는 뜻이다. 보통 ‘~인 척 가장한다’, ‘일부러~인 척한다’로 해석된다. 북(北) 자는 여기에서 방향을 가리키는 말이 아니고, 패배한다는 의미이므로 배(北)라고 읽어야 한다. 적군이 한창 열심히 싸우다가 일부러 싸울 능력이 없는 것처럼 달아날 때에는 또 다른 꿍꿍이로 아군을 유인하려는 작전은 아닌지...
-
-
배천군 白川郡개설 배천군의 동쪽으로는 예성강 건너 황해북도 금천군과 개풍군, 서쪽으로는 연안군, 북쪽으로는 봉천군, 남쪽으로는 한강과 예성강을 사이에 두고 인천광역시 강화군 교동도와 마주하고 있다. 동경 126°07′∼126°24′, 북위 37°50′∼38°05′ 사이에 위치하며, 면적 475.1㎢, 인구는 15만 9,825명(2008년 기준...
- 시대 :
- 현대/대한민국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