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성모축일 聖母祝日, Marian Feasts
    하느님의 모친이신 성모 마리아와 관련된 사건들을 특별히 기념하는 날. 가톨릭 교회는 "구원 업적과 끊을 수 없이 결합되어 있는 하느님의 모친 복되신 마리아를 특별한 애정으로 공경한다"(전례헌장 103). 즉 성모 공경은 '하느님의 모친'이라는 점에 근거한다. 마리아의 자유로운 동의(루가 1:38)로 구세주가 이 세상...
  • 충효당 화산 이공 유허비
    이장발은 어려서부터 재질과 의지가 굳어 배움에 부지런했으며 효성이 지극했다. 편모슬하에서 자라던 그는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열아홉의 나이에 모친의 허락을 받고 전장으로 달려가 문경새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싸우다가 그해 6월 10일 전사했다. 충효당 건물 기둥에는 1592년 6월 10일 문경새재 전투에서...
    소재지 :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창평본마길 19-1
    지역 :
    봉화
  • 폰 브라운 나치에서 미 항공우주국 부책임자로
    V2 로켓과 미국의 우주 개발 기술을 주도한 인물이다. 1912년 부유한 은행가 집안에서 태어난 그는 일찌감치 달 여행을 소망으로 품었다. 아마추어 천문가였던 모친의 영향이 컸다. 대학 신입생 시절부터 실력을 인정받던 브라운은 19세 때부터 히틀러 군대의 비밀 프로젝트의 참여했다. 박사 학위도 군의 지원으로 땄다...
  • 김신 서언, 金信
    독립운동가·군인·정치가. 아호는 서언(瑞言). 1922년 중국 상하이에서 상해임시정부의 주석을 지낸 김구(金九)와 최준례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 모친이 폐렴으로 숨진 후 조모를 의지하여 귀국했다가, 1933년 중국으로 다시 돌아갔다. 안후이 성(安徽省)과 쓰촨 성(四川省)에서 중고등학교 과정을 마치고...
    출생 :
    1922. 9. 21, 중국 상하이
    사망 :
    2016. 5. 19, 서울
    국적 :
    한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정치가
  • 마리아 Mary, Maria
    마리아는 그리스도의 모친으로서 흔히 복되신 동정(童貞) 성모 마리아라고 불린다. 구약 이스라엘 역사에서 여인들은 남자들과 함께 하느님의 구원 계획을 수행함에 있어 위대한 업적을 남겼었다. 구약의 아브라함, 모세, 다윗 및 다른 여러 인물들이 구원사(救援史)에서 중대한 역할을 수행했듯이, 구약의 여러 출중한...
  • 루이 13세 양식 Louis XIII style
    1601년 어린 루이가 왕위를 물려받았으나 그의 모친 마리 드 메디시스가 섭정했다. 이탈리아와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그녀는 그곳의 많은 예술을 궁전으로 끌어들였다. 그 결과 이탈리아와 플랑드르의 마니에리스모 작가들의 영향으로 진정한 프랑스 양식은 1625~50년에 가서야 발전하게 되었다. 그때에는 화가 카라바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덴지 나카노 오에, 天智
    살해했다. 소가 씨 일족 중 여기에 불만을 품은 사람들이 정변에 반대하여 이를 무산시키려 했으나 이루카의 지지자들은 곧 흩어지고 말았다. 나카노의 모친 고교쿠[皇極] 덴노는 얼마 뒤 퇴위했고(그녀는 나중에 다시 사이메이[齊明] 덴노로 즉위했음), 가루[輕]가 고토쿠[孝德] 덴노가 되었다. 세자로 지명된 나카노...
    출생 :
    625/626, 일본
    사망 :
    672. 1. 7, 오미[近江] 오쓰[大津]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가야금산조 伽倻琴散調
    朴八卦) · 이일선류, 전북의 이영채(李永采)제 · 박한용(朴漢龍)제 · 박학순(朴學順)제가 있다. 신관용(申寬龍)은 부친 신갑종(피리와 장고에 뛰어났음)과 모친 파평윤씨(김제군 출신 무속인)의 4남으로 태어났고, 전북의 이영채에게 가야금산조를 1926년도에 전수받았다. 신관용의 가야금산조는 진양조 · 중모리...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정영헌 Jung young-heun
    단편영화 연출과 조연출 생활로 다져진 경험을 바탕으로 정영헌은 2013년 첫 장편영화 <레바논 감정>(Lebanon Emotion)을 발표한다. 이 영화는 1년 전 모친의 죽음에 여전히 죄책감을 느끼는 남자 헌우가 며칠 머물게 된 선배의 집에서 겪게 되는 삶과 죽음에 관한 이야기다. 자살하려했던 남자는 비명소리를 듣고는...
    출생 :
    1977년, 한국
    수상 :
    2013년 모스크바국제영화제 감독상(<레바논 감정>), 2013년 전주국제영화제 CGV 무비꼴라쥬상(<레바논 감정>)
    데뷔 :
    <레바논 감정>(Lebanon Emotion, 2013)
  • 정문형 鄭文炯
    되었고, 사간을 거쳐 1460년 예조좌랑으로 가례색도감낭청을 겸직했다. 1464년 공조참의를 거쳐 경상도관찰사가 되었다. 이듬해 진주에 살던 소훈윤씨의 모친 병환을 잘 돌보지 않았다는 죄로 파직당했다. 1466년 함길도절도사·변정원판결사를 거쳐 이듬해 동지중추부사로 명나라에 다녀온 뒤 병조참판·형조판서...
    출생 :
    1427년(세종 9)
    사망 :
    1501년(연산군 7)
    국적 :
    조선, 한국
  • 군트람 Guntram
    결국 군도알트를 물리치는 데 성공했다. 584년 힐페리히가 죽은 뒤에는 혼자서 주도권을 쥐게 되었다. 힐페리히의 후계자인 어린 클로타르 2세와 그의 모친 프레데군트를 보호했고, 안델로트 협정(587)을 맺어 자신과 힐데베르트 사이에 남아 있던 이견을 해소시켰다. 570년대에 롬바르드족의 공격을 받게 되어 만년에는...
    출생 :
    535 이전
    사망 :
    592. 3. 28
    국적 :
    프랑스, 부르군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데 탐 호앙 호아 탐, 提探
    성은 본래 츠엉[張]이다. 부모들은 베트남 구엔[阮] 왕조에 반대하여 반역음모에 가담했다가 음모실패 후 모친은 처형되고, 부친은 자살했다. 호앙 호아 탐은 숙부와 함께 베트남 북부 옌테 근방 산악지대로 도피했으며, 그곳에서 전가족이 성을 호앙으로 바꾸었다. 뒤에 그는 데 탐이란 이름으로 그 지방의 반란집단에...
    출생 :
    1860경, 베트남 북부 옌테[安世]
    사망 :
    1913. 1. 10, 옌테 근처
    국적 :
    베트남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건

모친 이헌경
모친부고장
모친부고장
김상옥의 모친 김점순
안중근의 모친 김마리아 여사
김상옥의 모친과 부인에 대한 인터뷰와 사진 보도(『동아일보』 1924. 4. 8)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