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백두어리자루맵시벌1.34배이다. 겹눈의 길이는 폭의 1.91배이다. 홑눈은 작다. Temple은 약간 볼록하며 점각이 성글게 있고, 측면에서 본 겹눈 폭의 0.78배이다. 뒷머리 용골도랑은 완전하고 가운데가 둥글다. 이마의 점각은 가운데가 매끈하고 광택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는 점각이 성글고, 더듬이 사이에는 세로로 오목한 고랑이 있다...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털깨알소금쟁이속
- 학명 :
- Mesochorus pektusanus Lee et Suh, 1993
-
대만별자루맵시벌특징 날개편 길이 25㎜정도의 소형 종에 속한다. 머리의 폭은 높이의 1.16배이며 후두용골도랑(occipital carina)은 완전하다. 복안(compound eye)은 매우 크며 폭은 높이의 0.5배이며 검은 색을 띤다. 단안(ocelli)도 매우 크며 측단안(lateral ocelli)과 복안 거리가 중단안(median ocelli)의 폭의 길이의 0.1배로...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넓은어깨하늘소속
- 학명 :
- Enicospilus shinkanus (Uchida, 1928)
- 출현시기 :
- 7월
-
엔테레인지자루맵시벌특징 날개편 길이 22㎜정도의 소형 종에 속하며 머리와 가슴에 검은색 부분이 존재한다. 머리의 폭은 높이의 1.16배이며 후두용골도랑(occipital carina)은 완전하다. 복안(compound eye)은 매우 크며 폭은 높이의 0.46배이며 검은 색을 띤다. 단안(ocelli)도 매우 크며 측단안(lateral ocelli)과 복안 거리가 중단안...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잎벌속
- 학명 :
- Enicospilus nigropectus Cameron, 1905
- 출현시기 :
- 7월, 8월
-
등가시자루맵시벌작고 triangle은 흑색이다. 머리의 폭은 길이의 1.15배이다. Temple은 전체적으로 흑색이나, 복안 아래로는 노란색이며 점각은 다소 거칠다. 뒷머리 용골 도랑은 완전하다. 이마의 폭은 길이의 2.00배이고 점각은 매끈하고 광택이 있다. 얼굴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나, 뺨과 머리방패, 큰턱은 노란색이고, 폭은 길이의...
- 분류 :
- 절지동물문(Arthropoda) > 곤충강(insecta) > 벌목(Hymenoptera) > 맵시벌과(Ichneumonidae)
- 크기 :
- 몸길이 6.8~9.2 mm. 날개 길이 5.7~7.5 mm
- 학명 :
- Astiphromma dorsale dorsale (Holmgren)
- 국내분포 :
- 전라남도 화순군 이서면 영평리 무등산
- 분포지역 :
- 한국, 오스트리아, 불가리아, 중국, 핀란드, 프랑스, 독일, 헝가리, 이탈리아, 일본(중부, 남부), 라트비아, 폴란드, 루마니아, 러시아, 스웨덴, 타이완, 영국
- 출현시기 :
- 5~6월
-
천지어리자루맵시벌겹눈의 길이는 폭의 2.00배이다. 홑눈은 작다. Temple은 넓고 약간 볼록하며 매우 조밀한 점각을 가지고, 측면에서 본 겹눈 폭의 1.10배이다. 뒷머리 용골도랑은 완전하고, 가운데가 둥글다. 이마는 광택이 있으며, 가운데가 약간 볼록하고, 점각은 전체적으로 성글다. 얼굴의 폭은 길이의 1.66배이고 점각은 거칠고...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학명 :
- Mesochorus rugatus Lee et Suh, 1993
-
설악어리자루맵시벌폭은 길이의 0.57배이며, 홑눈은 작고 triangle은 흑색이다. 머리의 폭은 길이의 1.00배이다. Temple은 대체로 흑색이고, 넓고 다소 볼록하며, 뒷머리 용골도랑은 완전하다. 이마의 폭은 길이의 2.10배이고 점각은 매끈하다. 얼굴은 중앙은 흑색이고 가장자리와 뺨, 머리방패는 노란색이고, 폭은 길이의 1.35배이다...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담뱃대진딧물속
- 학명 :
- Mesochorus seorakensis Lee et Suh, 1991
- 출현시기 :
- 6월, 7월
-
금강꼬리자루맵시벌겹눈의 길이는 폭의 1.85배이다. 홑눈은 보통크기이다. Temple은 좁고 편평하며 매우 조밀한 점각을 가지고, 측면에서 본 겹눈 폭의 0.54배이다. 뒷머리 용골도랑은 완전하고, 등쪽 가운데는 둥글다. 이마의 점각은 가운데가 매끈하고 광택이 있으며, 양쪽 가장자리는 점각이 성글다. 얼굴의 폭은 길이의 1.35배이고...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학명 :
- Mesochorus kumganensis Lee et Suh, 1993
-
검은점자루맵시벌특징 날개편 길이 35㎜정도의 중형 종에 속한다. 머리의 폭은 높이의 1.25배이며 후두용골도랑(occipital carina)은 완전하다. 복안(compound eye)은 매우 크며 폭은 높이의 0.48배이며 검은 색을 띤다. 단안(ocelli)도 매우 크며 측단안(lateral ocelli)과 복안 거리가 중단안(median ocelli)의 폭의 길이의 0.2배로...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학명 :
- Enicospilus shikokuensis (Uchida, 1928)
- 출현시기 :
- 5월, 6월, 7월
-
백담어리자루맵시벌겹눈의 길이는 폭의 1.41배이다. 홑눈은 보통크기이다. Temple은 편평하며, 매우 조밀한 점각을 가지고, 측면에서 본 겹눈 폭의 0.71배이다. 뒷머리 용골도랑은 약하지만 완전하다. 이마는 혁질이며, 광택이 있다. 얼굴은 전체적으로 강하게 돌출하였고, 폭은 길이의 1.36배이고 점각은 전체적으로 조밀하다. 더들이...
- 분류 :
- 벌목 > 맵시벌과 > 먹장님노린재속
- 학명 :
- Mesochorus sagamensis Lee et Suh, 1993
-
연기응암리취락유적 燕岐鷹岩里聚落遺蹟내용 연기응암리취락유적에서는 원삼국·백제시대 주구 토광묘 15기, 주거지 16기, 구덩이 8기, 도랑유구와 조선시대 토광묘 22기, 주거지 1기가 확인되었다. 전체 유구는 배치상황으로 보아 크게 주거지와 도랑유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는 생활권역과 주구 토광묘로 이루어져 있는 분묘군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별도...
- 건립시기 :
- 삼국시대
- 성격 :
- 생활유적
- 유형 :
- 유적
- 면적 :
- 11,250㎡
- 소재지 :
- 세종특별자치시 연동면 응암리 일대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연암동형주거지 燕巖洞形住居址漁網錘〕 등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연암동유적의 주거지에는 대체로 4∼8개의 기둥과 수혈식 노지가 조성되었고, 수혈주거지의 모서리에 달린 배수구가 외곽의 도랑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주거지의 바닥면보다 외곽의 도랑이 더 깊은 것이 특징이며, 도랑의 폭은 1m전후이고, 원형의 외곽 도랑 직경은 8∼14...
- 시대 :
- 선사/청동기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역사/선사문화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