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시마즈 야스지로 島津保次郎, Shimazu Yasijiro백로>(白鷺, 1941)는 이 시기 흥행작이다. 마지막 시기에 그는 자신의 재능과 다소 동떨어진 몇 편의 영화들을 내놓았다. 전시(戰時)에 만든 <푸른 대지>(緑の大地, 1942), <와타시 노 우기수>(Watashi no uguisu, 1943), <일상의 전쟁>(日常の戦ひ, 1944)은 아시아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경험을 긍정적으로 극화한 영화...
- 출생 :
- 1897년 6월 3일 일본 도쿄
- 사망 :
- 1945년 9월 18일 일본 도쿄
- 본명 :
- 시마즈 야스지로(島津保次郎)
- 데뷔 :
- <외로운 사람>(寂しき人々, 1921)
-
우시하라 교히코 牛原虚彦, Ushihaera Kiyohikoの愛, Love of Life, 일본, 1923) <대동경의 한밤 3>( 大東京の丑満時 第三篇 怪異篇, The Small Hours in Greater Tokyo, 일본, 1923, 공동연출) <대지는 분노한다>(大地は怒る, The Earth Is Angry, 일본, 1923) <낙양의 항구>(落日の港, A Harbor at Sunset, 일본, 1923) <남쪽 어촌>(南の漁村, A Southern Fishing...
- 출생 :
- 1897년 3월 22일 일본 구마모토
- 사망 :
- 1985년 5월 20일
- 본명 :
- 우시하라 교히코(牛原虚彦)
- 데뷔 :
- <해질 무렵의 산>(山暮るゝ, 1921)
-
지신 地神시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혈(穴) 내지 굴혈(窟穴)이 최초의 인간탄생의 자리구실을 하고 있다는 뜻에서 서안굴신앙 및 굴혈신앙과 함께 ‘대지모태(大地母胎)’의 관념을 추상화할 수 있는 근거를 얻게 된다. 대지모신앙은 대지의 농산력(農産力) 신앙과 쉽게 맺어지게 되는 것이니, 그 흔적을 대전광역시의...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윤곤강 곤강(崑崗), 尹崑崗시작 태도 때문에 전체적으로 응축력이 결여된 결함을 보이고 있다. 그의 작품세계는 크게 해방 전과 후 두 시기로 구분해볼 수 있다. 첫 시집 『대지(大地)』를 비롯해 『만가(輓歌)』 · 『동물시집(動物詩集)』 · 『빙화(氷華)』는 전기에, 『피리』 · 『살어리』는 후기에 속한다. 『대지』와 『만가』에서는 ‘시...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지열로 읽는 지리여행의 가치사쿠라지마. 2만 9천 년 전의 화산 분화로 섬이 되었다가, 1946년 용암 분출로 인해 동쪽으로 육지와 연결되었다. 사진 2. 사쿠라지마에서 바라다본 시라스대지(大地). 2만 9천 년 전의 아이라 분출시 퇴적된 화산재가 높이 60m의 시라스대지를 만들었다. 마치 해안단구처럼 평탄한 모양을 하고 있는게 흥미롭다. 사진...
-
창원 내광사 지장보살본원경 창원 내광사 지장경, 昌原 內光寺 地藏菩薩本願經세로 23.3㎝, 가로 16.5㎝이며, 종이 재질은 저지(楮紙)이다. 구성과 내용 지장이란, 범어 크시티 가르바(kṣiti-garbha)의 번역이다. 크시티(kṣiti)는 대지(大地), 가르바(garbha)는 저장 · 창고의 의미이므로, 지장보살이란 ‘대지처럼 모든 것을 저장하는 보살’이라는 뜻이다. 지장보살은 사찰 전각 중에 명부전...
- 시대 :
- 조선 전기
- 유형 :
- 문헌/고서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윤곤강 서정성 속에 현실을 풀어내며 한국 고유의 시체(..그만둔다. 카프 말기에 그는 카프 진영에 들어가는데, 1934년 2차 검거 때 전라북도 경찰부에 붙들려 가서 5개월 만에 풀려난다. 1936년부터 그는 『대지(大地)』 · 『만가(輓歌)』 · 『동물 시집(動物詩集)』 · 『빙화(氷華)』 등의 시집을 잇달아 내며 부지런히 활동한다. 초기 시에서는 인간과 사회와 생활, 사랑...
- 출생 :
- 1911년
- 사망 :
- 1950년
-
십육관법 十六觀法이 관법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해를 생각하는 관〔日想觀〕:지는 해를 보면서 극락정토를 관상하는 것, ② 물을 생각하는 관〔水想觀〕:극락의 대지(大地)가 넓고 평탄함을 물과 얼음에 비유하여 관상하는 것, ③ 땅을 생각하는 관〔地想觀〕:극락의 대지를 분명하게 관상하는 것, ④ 나무를 생각하는 관〔寶樹...
- 시대 :
- 고대/삼국
- 유형 :
- 개념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
진옌 금염, 金焰Son-in-law, 중국, 1947, 배우) <영춘곡>(迎春曲, A Spring Melody, 중국, 1947, 배우) <잃어버린 사랑>(失去的愛情, Parted Lovers, 중국, 1949, 배우) <대지중광>(大地重光, Da di chong guang, 중국, 1950, 배우) <위대한 시작>(偉大的起點, The Great Beginning, 중국, 1954, 배우) <어머니>(母親, Mother, 중국...
- 출생 :
- 1910년 4월 8일, 대한민국 서울
- 사망 :
- 1983년 12월 27일, 중국 상하이(上海)
- 본명 :
- 金德麟
- 데뷔 :
- <풍류검객>(風流劍客, 1929)
-
신동엽 석림(石林), 申東曄明星女子高等學校)에서 교직 생활을 시작한 뒤 1969년 죽을 때까지 재직하였다. 활동사항 신동엽의 작품활동은 1959년 장시(長詩)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大地)」가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같은 해『조선일보』에 시 「진달래 산천(山川)」, 『세계일보』에 「새로 열리는 땅」을...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30년
- 사망 :
- 1969년
- 경력 :
- 명성여자고등학교 교사
- 유형 :
- 인물
- 직업 :
- 시인
- 대표작 :
- 이야기하는 쟁기꾼의 대지, 진달래 산천, 새로 열리는 땅, 풍경, 그 가을, 껍데기는 가라, 3월, 원추리, 금강, 그 입술에 파인 그늘, 시인정신론, 아사녀, 학생혁명시집, 신동엽전집,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현대문학
- 본관 :
- 평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