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이희승 일석(一石), 李熙昇標準語査定)」(1937년 완성)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한편, 1930년 경성사범학교 교유(敎諭), 1932년 이화여자전문학교 교수직에 취임하여 국어학 및 국문학을 강의하다가, 1942년 10월 1일 조선어학회사건으로 검거되어 함경남도 홍원경찰서와 함흥형무소에서 1945년 8월 17일까지 3년 동안 복역하였다. 광복 후...
- 시대 :
- 현대
- 출생 :
- 1896년
- 사망 :
- 1989년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조선어학회사건
- 직업 :
- 학자, 국어국문학자
- 대표작 :
- 한글맞춤법강의, 국어학개설, 새고등문법, 국어대사전 등
- 성별 :
- 남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본관 :
- 전의(全義, 지금의 충청남도 연기)
-
-
한국학중앙연구원부설한국학대학원 한국학대학원, 韓國學中央硏究院附設韓國學大學院전공을 신설하여 2014년 현재 석사과정 4개 학부(인문학부, 문화예술학부, 사회과학부, 국제한국학부) 15개 전공(한국사학, 고문헌관리학, 철학, 국어학·국문학, 인류학·민속학, 종교학, 음악학, 미술사학, 인문정보학, 정치학, 경제학, 사회학, 윤리학, 교육학, 한국문화학), 박사과정 3개 학부(인문학부, 문화예술...
- 시대 :
- 현대
- 위치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 설립 :
- 1979년 12월 5일, 한국학대학원 설립 인가(문교부)
- 성격 :
- 한국학 전문교육 및 연구기관
- 유형 :
- 단체
- 설립자 :
- 재단법인 한국학중앙연구원
- 분야 :
- 교육/교육
-
강호가사 江湖歌辭개념으로 묶어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작품에 드러난 자연미를 통하여 당대인들의 미의식을 추출해 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국문학의 특질을 찾아내는 데 기여한다는 점에서도 국문학사상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또한 강호가사의 작가들은 적극적인 정치의식을 지닌 사림(士林)들이었고, 이러한 사림들의 잔치 자리...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한국사 韓國史서로 연결 지었다. 뿐만 아니라 각 주제는 그 분야를 전공하는 학자들에 의해 집필되었기 때문에 한국사를 전공으로 하는 학자는 물론, 동양사·서양사 및 국문학·인류학·고고학·언어학·지리학·서지학·법률학·사회학 등 인근 학문의 전공학자들이 총동원되었다. 이러한 연유로 집필진에 동원된 학자의 수는 200...
- 시대 :
- 현대
- 저작자 :
- 국사편찬위원회
- 창작/발표시기 :
- 1973년∼1978년
- 성격 :
- 학술서, 역사서
- 유형 :
- 문헌
- 권수/책수 :
- 25책
- 간행/발행 :
- 국사편찬위원회, 탐구당
- 분야 :
- 역사/근대사
-
월인천강지곡 권상 月印千江之曲 卷上있다. 1961년 통문관(通文館)에서 실물 크기대로 영인하여 간행하였고, 그 밖에 1962년 『국어학』 1호 등에도 영인본으로 수록되었다. 1985년 대제각에서 ‘국어국문학 총림 11’로 『월인석보』와 함께 영인하였으며, 2002년에는 대산문화재단의 해외 한국학 연구지원을 받아 함부르크 대학의 베르너 삿세(Werner...
- 유형 :
- 문헌
- 분야 :
- 언어/언어·문자
-
이명구 李明九열정을 쏟아부었다. 그리고 그는 도남 조윤제를 스승으로 모시고 한국문학을 연구하면서 생의 보람을 느꼈다고 한다. 그래서 조윤제를 따라 성균관대학에서 국문학을 일으켰고 민족미학을 계승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조윤제, 가람 이병기 등이 한국문학의 제1세대라고 한다면 해방 직후 대학원을 마치고 학계에서...
- 시대 :
- 현대
- 출생 :
- 1924년 3월 25일
- 사망 :
- 2005년 6월 17일
- 경력 :
- 성균관대학교 교무처장, 한림대학 도서관장, 대만 정치대학 객좌교수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국문학자
- 대표작 :
- 고려가요의 연구, 옛소설, 이야기 한국고전문학사 등
- 성별 :
- 남
- 분야 :
- 문학/고전시가
- 본관 :
- 전주(全州)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
193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 문학가, 이병기 시조 문학 부흥의 기수자의식을 일깨우는 구실도 한다. 해방 뒤 그는 서울대 문리대 교수로 있으면서 후학들을 길러내고, 학술원 회원으로도 활동한다. 그는 늘그막까지 저술 활동을 게을리하지 않아 1961년에 『국문학 개설』, 1966년에 『가람 문선』을 펴낸다. 1968년 11월 29일 새벽 1시, 가람 이병기는 익산의 생가에서 숨을 거둔다...
- 출생 :
- 1891년
- 사망 :
- 196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