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기 종류83건
현재 페이지
1
/
총 페이지
10
항목
-
악기시리즈 대금(大芩)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 발행일 :
- 1963.12.17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10
- 액면가격 :
- 4원
- 디자인 :
- 대금(大芩)
- 우표번호 :
- 384
- 인면 :
- 25×37
- 천공 :
- 13½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황다색,암다색,암록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악기시리즈 나발(喇叭)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 발행일 :
- 1963.12.17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10
- 액면가격 :
- 4원
- 디자인 :
- 나발(喇叭)
- 우표번호 :
- 386
- 인면 :
- 25×37
- 천공 :
- 13½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연청회색,회청자색,다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악기시리즈 당피리(唐盛慄)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 발행일 :
- 1963.12.17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10
- 액면가격 :
- 4원
- 디자인 :
- 당피리(唐盛慄)
- 우표번호 :
- 383
- 인면 :
- 25×37
- 천공 :
- 13½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연분홍색,적색,암록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악기시리즈 장고(杖鼓)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 발행일 :
- 1963.12.17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10
- 액면가격 :
- 4원
- 디자인 :
- 장고(杖鼓)
- 우표번호 :
- 382
- 인면 :
- 25×37
- 천공 :
- 13½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연적자색,다색,농자청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악기시리즈 태평소(太平簫)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 발행일 :
- 1963.12.17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10
- 액면가격 :
- 4원
- 디자인 :
- 태평소(太平簫)
- 우표번호 :
- 385
- 인면 :
- 25×37
- 천공 :
- 13½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연황색,다색,청자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악기시리즈 와공후(臥鞏候)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 발행일 :
- 1963.12.17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10
- 액면가격 :
- 4원
- 디자인 :
- 와공후(臥鞏候)
- 우표번호 :
- 390
- 인면 :
- 37×25
- 천공 :
- 13½
- 전지구성 :
- 5×10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회적자색,청색,흑회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악기시리즈 향비파(鄕琵琶)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 발행일 :
- 1963.12.17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10
- 액면가격 :
- 4원
- 디자인 :
- 향비파(鄕琵琶)
- 우표번호 :
- 387
- 인면 :
- 25×37
- 천공 :
- 13½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연분홍색,다색,청자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악기시리즈 편경(編磬)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 발행일 :
- 1963.12.17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10
- 액면가격 :
- 4원
- 디자인 :
- 편경(編磬)
- 우표번호 :
- 381
- 인면 :
- 25×37
- 천공 :
- 13½
- 전지구성 :
- 10×5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흐린청색,녹청색,농자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악기시리즈 가얏고(伽倻琴)음악에서도 사용된다. 그러나 농악과 무당음악에서는 양손에 채를 쥐고 친다. 당피리 : 당피리는 향피리, 세피리와 같이 관(管)대와 혀로 되어 있는 일련의 관악기이다. 길이는 7촌 8푼이어서 향피리보다 짧고 굵으며 불기에도 힘이 더 든다. 당피리는 현재 8개의 지공(指孔)을 가져서 향피리와 같고 다만 그 뒷구멍을...
- 발행일 :
- 1963.12.17
- 발행량 :
- 1000000
- 종수 :
- 10
- 액면가격 :
- 4원
- 디자인 :
- 가얏고(伽倻琴)
- 우표번호 :
- 389
- 인면 :
- 37×25
- 천공 :
- 13½
- 전지구성 :
- 5×10
- 용지 :
- 백지
- 인쇄 및 색수 :
- 평판 연분홍색,적다색,회적다색
- 디자이너 :
- 강춘환
- 인쇄처 :
- 한국조폐공사
-
방중악 줄풍류, 房中樂가야금·양금 등 순수한 현악기만으로의 편성이고, 다른 하나는 현악기를 주로 하고 여기에 세피리·대금·단소·해금 등 약음(弱音)의 관악기가 추가되는 편성이다. 이때 관악기는 대피리인 향피리를 쓰지 않고 세피리를 쓰며 대금도 평취(平吹)나 역취(力吹)가 아닌 저취(低吹)로 하여 그 음량을 작고 약하게 한다...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트럼펫 협주곡 D장조 쥬세페 타르티니, Trumpet Concerto in D major관악기를 위한 좋은 편곡자료 타르티니의 삶은 베일에 가려져 있다. 그에 대해서 기록된 것들이 거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추측에 의존하여 그의 삶을 유추한다. 다만, 그가 코렐리와 비발디와 함께 당시 이태리의 바이올린 음악의 3인방으로 여겨졌다는 것과, 이들로 하여금 이태리의 바이올린 음악은 17세기와 18세기...
- 시대 :
- 바로크
- 분류 :
- 고음악 > 바로크, 기악음악 > 협주곡
- 작곡가 :
- 쥬세페 타르티니(Giuseppe Tartini, 1692~1770)
- 편성 :
- 오케스트라, 트럼펫(솔리스트)
-
실내 협주곡 알반 베르크, Kammerkonzert저는 오페라 〈보체크〉 완성이후 지난 스무 달 동안 아무것도 작곡하지 못했습니다. 여러 계획 중에 다음과 같은 계획이 거의 명확해졌습니다. 그것은 관악기가 반주하는 피아노와 바이올린을 위한 협주곡을 작곡하는 것입니다. 피아노 협주곡이라는 오래된 아이디어나, 2중, 3중, 4중 협주곡의 아이디어가 저의 생각을...
- 시대 :
- 20세기 이후
- 분류 :
- 20세기 음악>기악곡
- 제작시기 :
- 1923년~1925년
- 작곡가 :
- 알반 베르크(Alban Berg, 1885~1935)
- 초연 :
- 1927년 3월 19일 베를린, 헤르만 세르헨 지휘
- 구성 :
- 3악장
- 편성 :
- 피아노, 바이올린, 피콜로, 플루트, 오보에, 잉글리시 호른, E ♭조 클라리넷, A조 클라리넷, 베이스 클라리넷, 바순, 콘트라바순, 호른 2, 트럼펫, 트롬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