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냉수마찰 冷水摩擦
    내용 한의학에서는 장부(臟腑)와 자연환경의 조건인 육기(六氣)와의 연계가 피부의 경락(經絡)을 통해서 맺어지고 있음을 파악하여, 피부를 단련시킴으로써 질병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 중 대표적인 방법이 냉수마찰이다. 중국에서는 수나라의 소원방(巢元方)이 『소씨병원후론(巢氏病源候論)』에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의약학
  • 김취성 성지(成之), 金就成
    이언적(李彦迪)의 추천으로 네 차례나 참봉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직하고 한번도 부임하지 않았다. 또한, 의학에 대하여 많은 연구를 함으로써 약성(藥性)과 경락(經絡)에 대한 지식이 깊어 병든 사람을 많이 치료하였는데, 그 수가 무려 수천 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저서로는 『진락당집(眞樂堂集)』이 있다. 참고문헌
    시대 :
    조선
    출생 :
    1492년(성종 23)
    사망 :
    1550년(명종 5)
    유형 :
    인물
    직업 :
    학자
    대표작 :
    진락당집
    성별 :
    분야 :
    종교·철학/유교
    본관 :
    선산(善山)
  • 우선변제권 優先辨濟權
    보호법에 근거하여 보증금 중 일정액을 다른 담보물권자보다 우선하여 변제받을 수 있는 소액임차인의 권리이다. 임차주택이 경매, 공매에 부쳐졌을 때 그 경락대금에서 다른 후순위권리자보다 먼저 배당을 받을 수 있다. 부동산임대차에 관한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 담음의 형성 원인
    속이 거북하고 편치 못하고, '담'이 피부 밑의 살부분에 있으면, 피하에 종기가 생겨서 핵처럼 되거나, 함몰된 종양이 여기저기서 발생하며, '담'이 경락과 근골에 머물러 있으면, 지체마목(몸의 무감각)이나 반신불수가 생기고, '담'이 탁하여 두부에 넘쳐 오르면 현훈혼모(어지러워서 정신이 없음)하며, 담기가 인후에...
  • 관계부자이중탕 官桂附子理中湯
    비(脾)와 폐의 기운을 도우면서 탁한 한기(寒氣)를 없애는 약인데, 여기에 간(肝)과 신(腎)의 혈분(血分)에 들어가 냉(冷: 沈寒凅冷)을 물리치는 육계(肉桂)와 12경락(十二經絡)을 통하게 하고 음과 양을 도우며[補陰補陽], 나쁜 기운과 냉을 물리치는[逐邪去冷] 부자를 첨가하여 이중탕의 약효를 증가시킨 것이다...
    유형 :
    개념
    분야 :
    과학/의약학
  • 침구갑을경 鍼灸甲乙經, chenchiuchiaiching
    공혈침구치요 明堂孔穴針灸治要〉의 3권에서 자료를 취했기 때문에 송대 이전에는 〈황제삼부침경 黃帝三部針經〉 또는 〈황제삼부침구경 黃帝三部針灸經〉이라고 불렀다. 장부경락·병인병리·유혈침구법 및 각종 질병의 침구 취혈 등에 대해 주로 논술되어 있다. 이는 중국 고대 침구학 연구에 중요한 문헌중 하나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헌
  • 미역고사리 European Polypody
    palmiticacid, oleic acid, glyceryl lioleate 등을 함유한다. ③잎에서는 pollinastanol을 얻는다. ⓑ약효 : 화습(化濕), 청열(淸熱), 거풍(祛風)하고, 경락(經絡)을 소통(疏通)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 이질, 임병백탁(淋病白濁), 풍비(風痺), 요통(腰痛), 급성결막염, 창종(瘡腫)을 다스리고, 행기(行氣), 활혈(活血...
    분류 :
    고사리목 > 고란초과 > 미역고사리속
    학명 :
    Polypodium vulgare L.
  • 사향산 麝香散
    태음인에게 발병되는 중풍과 소아 경풍의 체질적인 원인은 폐와 위완(胃脘)이 허한(虛寒)하여 비(脾)와 폐의 양기(陽氣)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해서 일어나며, 이러한 병증은 경락(經絡)을 열어주고 제규(諸竅)를 소통시켜주는 사향을 이용하여, 행비(行脾)시키고 양폐(養肺)하도록 함으로써 치료되는 것이다. 참고문헌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의약학
  • 인동덩굴 겨우살이덩굴, Japanese Honeysuckle
    rhamno-glucoside와 luteolin 등의 flavonoid류(類)가 함유되었고 줄기에는 tannin, alkaloid가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淸熱(청열), 解熱(해열), 通經絡(통경락)의 효능이 있다. 溫病發熱(온병발열), 熱毒血痢(열독혈리), 전염성간염, 癰腫瘡毒(옹종창독), 筋骨疼痛(근골동통)을 치료한다. ⑵金銀花(금은화) - ①인동...
    분류 :
    산토끼꽃목 > 인동과 > 인동속
    꽃색 :
    노란색, 백색
    학명 :
    Lonicera japonica Thunb.
    개화기 :
    7월, 6월
  • 향부자팔물탕 香附子八物湯
    없이 피가 나오는 것)·하유(下乳)·오경(五硬:손·다리·허리·살·목이 뻣뻣해짐.) 등의 증세에도 응용된다. 군약(君藥)을 향부자로 삼은 것은 향부자가 12경락(經絡)을 통하게 하고 삼초(三焦)의 울결된 기운을 해소시켜주는 작용이 있어 이를 이용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백출은 건비승양(健脾升陽)시키고, 진피...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의약학
  • 머귀나무 alanthoides fagara
    함유되어 있다. 精油(정유)에는 methyl-n-nonyl-ketone이 함유되어 있고 생엽(生葉)에서는 β-sitosterol이 추출되었다. ③약효 : 祛風濕(거풍습), 經絡疏通(경락소통), 살충의 효능이 있다. 부인(婦人)의 産後關節風痛(산후관절풍통)을 다스리며 毒蛇(독사)의 咬傷(교상), 타박상, 腰膝疼痛(요슬동통), 疥癬(개선...
    분류 :
    운향목 > 운향과 > 초피나무속
    꽃색 :
    노란색
    크기 :
    높이 15m 정도
    학명 :
    Zanthoxylum ailanthoides Siebold & Zucc.
    개화기 :
    5월
  • 오수유부자이중탕 吳茱萸附子理中湯
    파고지(破古紙)를 가미한 처방인데, 관계부자탕은 이중탕(理中湯)에 침한고랭(沈寒凅冷: 찬 기운이 속에 오래 머물러 있는 증)을 물리치는 육계(肉桂), 12경락(十二經絡)을 통행시키며 축사거랭(逐邪去冷)하는 부자(附子), 통체순기(通滯順氣)하는 백작약·진피를 첨가한 것이다. 여기에 통관해독(通關解毒)하는 회향...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과학/의약학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2건

경락(經絡)
경락포기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