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선수상 船首像, figurehead
    위해 선수재·선미재에 조각이나 그림을 그렸으며, 최소한 같은 부류의 배에는 동일한 장식을 했다. 예를 들어 나일 강에서 사용된 이집트의 장례용 거룻배의 선수에는 보통 매나 매의 눈이 그려졌다. 배의 구별을 위한 선수상의 눈은 초기 뱃사람들이 가장 널리 사용했지만, 어떤 선수상은 원주민을 위협하기 위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공예
  • 바지선 Barge船
    ① 항만공사에서 모래, 토석 등 자재나 준설토 운반에 이용하는 부선 ② 항만내부나 하구 등 비교적 짧은 거리에서 화물을 수송하는 동력장치가 없는 거룻배. 부두에서 본선까지 화물을 나르거나 반대로 본선에서 부두까지 화물을 실어 나르는 역할을 함. 자항장치가 있는 것도 있으나 보통은 끌배(예인선)로 끌게 되어...
    분야 :
    해운물류
  • 폰툰 pontoon
    목재, 강철재, 또는 철근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바닥이 평평하고 상자형인 부유 구조물 또는 너벅선, 거룻배로 부잔교의 본체로 되는 것을 뜻한다. 측벽부는 박스 라멘구조로 설계하고, 전체적으로 강성을 풍부하게, 수밀성도 충분하다.
    도서 물백과사전 | 태그 환경
  • 철곶포 鐵串浦
    목제2동 110번지와 영등포구 양평제2동 산4번지 사이 안양천 하류 노들길에 있는 다리이다. 다리가 생기기 전에는 작은양화나루 또는 철곶포라고 하여 작은 거룻배를 이용하여 안양천을 건너다니곤 하였다. 일명 작은나루께다리라고도 불렀다. 이곳에 처음에는 나무다리를 가설하였으나 1935년 안양천 제방을 염창동 쪽...
    유형 :
    시설명
  • 양화교 楊花橋
    목제2동 110번지와 영등포구 양평제2동 산4번지 사이 안양천 하류 노들길에 있는 다리이다. 다리가 생기기 전에는 작은 양화나루 또는 鐵串浦라고 하여 작은 거룻배를 이용하여 안양천을 건너다니곤 하였다. 일명 작은나루께다리라고도 불렀다. 이곳에 처음에는 나무다리를 가설하였으나 1935년 안양천 제방을 염창동 쪽...
    유형 :
    시설명
  • 작은양화나루
    목제2동 110번지와 영등포구 양평제2동 산4번지 사이 안양천 하류 노들길에 있는 다리이다. 다리가 생기기 전에는 작은양화나루 또는 鐵串浦라고 하여 작은 거룻배를 이용하여 안양천을 건너다니곤 하였다. 일명 작은나루께다리라고도 불렀다. 이곳에 처음에는 나무다리를 가설하였으나 1935년 안양천 제방을 염창동 쪽...
    유형 :
    시설명
  • 작은나루께다리
    목제2동 110번지와 영등포구 양평제2동 산4번지 사이 안양천 하류 노들길에 있는 다리이다. 다리가 생기기 전에는 작은양화나루 또는 鐵串浦라고 하여 작은 거룻배를 이용하여 안양천을 건너다니곤 하였다. 이곳에 처음에는 나무다리를 가설하였으나 1935년 안양천 제방을 염창동 쪽으로 축조하면서 지금의 양화교 자리...
    유형 :
    시설명
  • 정고(艇庫) : 보트(거룻배)를 넣어두는 창고. 정수(艇首) : 돛배의 이물.
    유형 :
    배에 관련된 한자
  • 석제 '소령' 인장 石製 筱舲 印章
    용자: 미상 인장은 사용자의 신분이나 신용을 나타낸다. 조선왕조의 인장은 국새나 관인 등 국가업무용 인장, 왕과 왕비의 존업성을 상징하던 어보(御寶)를 비롯하여 개인적 용도로 사용하던 사인(私印) 등이 있다. 그 중에서도 사인은 인장의 예술성을 가장 잘 드러내 준다. "소령"은 대나무로 만든 거룻배'라는 뜻이다.
    분류 :
    유물 > 조각
    크기 :
    가로: 2.1cm, 세로: 2.1cm, 높이: 5.3cm
    재질 :
    석인
  • 삼판선 三板船, sampan
    배와 배, 또는 배와 육지 사이를 왕래하는 갑판이 없는 작은 거룻배를 말한다.
    도서 기계공학대사전 | 태그 기계
  • 둥글넙치과 Bothidae, ダルマガレイ科
    생물 분류 둥글넙치과(Bothidae)는 가자미목에 속하는 조기어류과의 하나이다. 귄텔둥글넙치, 사량넙치, 거룻배가자미, 고베둥글넙치, 목탁가자미, 흰비늘가자미, 긴가자미, 동백가자미, 동해둥글넙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160종 이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col-1-of-2 Arnoglossus - 거룻배가자미, 목탁가자미, 동해둥글...
    도서 위키백과
  • 소안항
    연결한 선을 따라 형성된 공유수면 육역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맹선리 371-3 10필지(상세내역은 생략) 소안도는 전복양식을 주로 하는데 그중 독특한 거룻배들의 조업풍경이 눈길을 끈다.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커다란 노를 저어 이동하는 거룻배는 주로 통발을 이용해 낙지나 장어를 잡는 배들로 50년이 넘는 배들...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6 현재페이지7 8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건

거룻배(lighter)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