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빛의 속도 광속, speed of light
    방법이 아닌 직접적인 방법으로 빛의 속도를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현대에 와서 미국의 마이켈슨이 빛의 속도를 보다 정밀하게 측정했다. 진공에서의 빛의 속도는 c로 표현한다. 빛의 속도로 1년 동안 이동한 거리를 광년이라고 한다. 빛의 속도가 변하지 않는다는 성질을 통해 아인슈타인은 특수상대성이론을 발견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민코프스키 공간 Minkowski space, ミンコフスキー空間
    수리물리학에서 민코프스키 시공간은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을 잘 기술하는 시공간의 수학적 모델이다. 이 공간에서는 일반적인 3차원 공간(장소)과 1차원의 시간이 서로 조합되어 시공간의 4차원 다양체를 표현하여 기하학적으로 통합된 관점으로 다룬다. 수학에서 민코프스키 공간은 선형 공간 \mathbb R^4에...
    도서 위키백과
  • 물질 物質, matter
    수 있다. 상온에서 관찰되는 현상과는 다르게 절대영도에 가까운 온도에서 몇몇 물질은 초전도 현상·초유체성 등을 나타낸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질량으로서의 물질과 에너지는 동등하다(→ 아인슈타인의 질량-에너지 관계식). 그러므로 물질은 에너지로, 에너지는 물질로 변환될 수 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트루턴-랜카인 실험 Trouton–Rankine experiment
    상대성 원리 (따라서 특수 상대성 이론도 마찬가지임)와 일치했다. 이러한 결과로, 길이 수축도 함께 움직이는 관찰자에 의해서는 측정될 수 없다. 특수 상대성 이론의 테스트 항목도 참조하라. 1887년의 유명한 마이컬슨-몰리 실험은 당시 받아들여졌던 에테르 이론이 수정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피츠제럴드와...
    도서 위키백과
  • 도모나가 신이치로 朝永振一郞, Tomonaga Shin'ichiro
    양자전기역학을 특수 상대성 이론과 완전히 부합되게 바꾼 공로로 1965년 미국의 물리학자 리처드 P. 파인먼, 줄리안 S. 슈윙거와 함께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1929년 교토대학 이학부를 졸업했으며 1932년 이화학연구소의 니시나 요시오[仁科芳雄] 연구실에 들어가 니시나를 도우면서 후배들을 지도했다. 1937~39...
    출생 :
    1906. 3. 31, 일본 교토[京都]
    사망 :
    1979. 7. 8, 도쿄
    국적 :
    일본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에테르 aether, ether
    실험에 의해서 에테르 내를 움직이는 지구의 운동을 검출하려 했지만 이와 같은 효과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1905년 아인슈타인에 의해서 특수 상대성이론이 정립되고 이 이론이 과학자들에게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게 되면서, 빛과 같은 모든 전자기파의 속력이 보편 상수라는 아인슈타인의 가설에 입각하여 에테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과학 일반
  • 백색왜성 백색잔별, 白色矮星
    왜성은 내부의 전자 가스 축퇴압으로 견뎌낸다. 축퇴압이란 수축된 별의 가스를 구성하는 전자에 의한 증가된 저항력이다. 페르미-디랙 통계방정식과 특수상대성이론으로 백색왜성의 평형구조를 연구하면 질량-반지름 관계를 밝힐 수 있다. 이것에 따르면 어떤 특정한 질량의 백색왜성이 가질 수 있는 반지름은 단 하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브레이크스루상 Breakthrough Prize
    장학금으로 지급된다. 2015년 주니어 챌린지상은 미국의 고등학교 3학년 라이언 체스터가 받았다. 체스터는 뒷마당의 그네를 이용해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을 쉽게 설명하는 동영상을 제작했다. 2015년 11월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2016년 브레이크스루상 시상식이 열렸다. 2016년 생명과학상은 총 5명이 수상했다...
  • 찬드라세카르 한계 Chandrasekhar limit
    이 한계값은 1930년에 이것을 공식화한 인도 태생 미국의 천체물리학자 수브라마니안 찬드라세카르의 이름을 따서 붙였다. 찬드라세카르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의 원리를 이용하여 축퇴된 전자 가스에 의해서만 유지되는 백색왜성의 질량이 태양질량의 1.44배보다 더 크면 안정할 수 없음을 증명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우주
  • 게이지 이론 gauge theory
    양자역학과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을 동시에 포괄하는 수학적 이론으로 주로 아원자입자(subatomic particle)와 그와 관련된 파동장(wave field)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게이지 이론에 의하면 양자장에 대한 기본물리학을 변하지 않게 하는 장변수 변환(게이지 변환)군이 있다. 게이지 불변이라고 하는 이 조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물리
  • 헤비사이드 Oliver Heaviside
    전자기 이론 Electromagnetic Theory〉(1893~1912)에서 전하는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질량이 증가하게 된다는 것을 가정했는데, 이는 아인슈타인의 특수상대성이론의 한 측면을 예기한 것이었다. 무선전신이 장거리에 대해서도 유효하다는 것이 증명되자 헤비사이드는 대기에 전도층이 존재하여 전파가 직선으로 움직여...
    출생 :
    1850. 5. 18, 런던
    사망 :
    1925. 2. 3, 잉글랜드 데번 토키
    국적 :
    영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 조지 피츠제럴드 피츠제럴드, George Francis FitzGerald
    만드는 방법을 처음으로 제안하여 무선전신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했다. 지금은 로렌츠-피츠제럴드 수축으로 알려져 있는 이론을 발전시키기도 했는데, 아인슈타인은 그의 특수상대성이론에서 이를 이용했다. 피츠제럴드는 1877년 더블린의 트리니티 칼리지의 튜터가 되었고 1881년 자연철학·실험철학 교수가 되었다...
    출생 :
    1851. 8. 3, 아일랜드 더블린
    사망 :
    1901. 2. 22, 더블린
    국적 :
    아일랜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과학자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61건

특수상대성이론
특수상대성이론
특수상대성이론
특수상대성이론(special theory of relativity)
특수교육학과
특수활동비
특수활동비
특수장비과
특수 냉각
국회 특수활동비
특수작업의뢰서
특수절도탄원서
특수절도탄원서
말특수동물학과
특수학교 현황
특수체육교육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