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고사 告祀같은 어원으로 보아 작은 의례를 ‘고시레’라고 하고, 고사는 굿의 규모는 아닌 중간 크기에 해당하는 의례라고 하였다. 장구를 울리고 무악(巫樂)을 갖추어 춤을 추는 것이 굿이라면, 고사는 그보다 작은 규모이다. 고사는 일반적으로 집안 단위의 의례지만, 마을에서 제물을 차려 놓고 비손과 소지(燒紙)로 정성을...
- 성격 :
- 민간의례
- 유형 :
- 의식행사
- 행사시기 :
- 음력 10월 상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
성주맞이 城主─가정을 단위로 하는 개인 제의여서 가족의 제액과 재수발원이 주목적이다. 그래서 강원도·충청도·전라도 지방에서는 재수를 비는 굿을 ‘성주굿’이라고 한다. 성주신에게 올리는 제의는 성주신을 봉안하는 ‘성주맞이’(또는 성주받이·성주풀이)와 재복을 비는 ‘성주굿’으로 대별된다. 이 밖에도 성주신에게 재복...
- 성격 :
- 무속의례
- 유형 :
- 의식행사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
영고 迎鼓일정 단위로 나누어 통제하던 체제를 가지고 있었던 것을 고려할 때 국중대회(國中大會)의 모습이 흉노와 비슷했을 것이다. 부여족 전체적인 행사이므로 ‘국중대회’라 하였다. 특히, 부여에서는 오곡이 여물지 않을 때에는 국왕이 이에 책임을 지고 물러나거나 죽음을 당해야 하는 시대였던 만큼, 추수감사제 때에는...
- 시대 :
- 고대/초기국가/부여
- 성격 :
- 제천의식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부여시대
- 시행처 :
- 부여 조정
- 분야 :
- 역사/고대사
-
화룡 和龍어깨춤을 들썩이는 한민족의 특성이 남아있다. 명칭 유래 원래 명칭은 화룡욕(和龍峪)으로부터 시작한다. 다른 이름은 달라즈[大砬子]이다. ‘화룡욕’, 혹은 ‘달라즈’의 위치는 천불산(千佛山)의 오랑캐령 아래, 지금의 용정시(龍井市) 지신향(智新鄕)의 옛 소재지이다. 한반도에서 두만강을 건너 오랑캐령을 넘으면...
- 시대 :
- 근대/개항기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인문지리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재수 財數가족을 단위로 넓은 의미의 운수를 말하기도 한다. ‘그 집은 재수가 없다.’는 말도 한다. 특히, 개인의 재수를 말해서 신수(身數)라고 한다. 신수점은 개인의 운수를 점치는 일을 말한다. 그러나 재수를 점치는 것은 별로 없다. 다만, 아침에 손을 베었을 때 “오늘 재수가 옴붙었다.”고도 한다. 이는 자기 행위나...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종교·철학/민간신앙
-
달풀이월사구라 산란한 마음/ 사월흑파리 흩어진다/ 오월난초 모든 나비/ 유월목단에 춤을 추네/ 칠월홍돼지 걸어놓고/ 팔월팔공단 유람을 갈까/ 구시월 시단중에 낙엽...인용문은 각 달에 해당하는 화투 그림과 그에 따른 사설이 하나의 단위로 진행되었다. 정월부터 4월까지는 외롭고 어수선하며 뒤숭숭한 마음을, 5...
- 유형 :
- 개념
- 분야 :
- 문학/구비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