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살풀이장단 살풀이
    내용 무가에서는 ‘살풀이’라고도 하며, 안당거리에 쓰인다 하여 ‘안당장단’이라고도 부른다. 진도(珍島)에서는 ‘흘림장단’, 호남우도 농악에서는 판굿의 오방진(五方陣)에서 쓰인다 하여 ‘오방진가락’이라고도 부른다. 전라남도의 무의식인 안당·조상굿·제석굿 등의 무가에서 쓰이는데, 선율은 육자배기토리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장구의 장단
    장단은 주로 장구나 북으로 표현된다. 양반들이 즐기던 정악이나 백성들이 즐기던 민속악에서는 장구로 장단을 표현하고 판소리에서는 북으로 표현한다. 도드리 장단, 가곡 장단, 시조 장단 등은 정악에 쓰이는 장단으로 변주 없이 정해진 기본형만을 연주한다.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굿거리장단, 중모리장단, 휘모리...
    도서 다음백과
  • 엇모리장단
    심청가>의 ‘중이 내려오는 대목’, <수궁가>의 ‘도사가 나오는 대목’, 전라도 무악 손님굿 중 '넋이로세' 등 특이하고 신비한 인물이 등장할 때 엇모리장단을 쓴다. 빠르기에 따라 늦은엇모리와 잦은엇모리로 나뉘는데 산조에서는 주로 늦은엇모리를 쓰며, 판소리에서는 장면의 분위기에 따라 둘 다 쓴다. 무가에서도...
    도서 다음백과
  • 살풀이 장단
    전라북도 지역, 전라남도지역 등 3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경기도 남부지역의 살풀이는 도살풀이라 부르고, 충청남도와 전라북도 지역에서는 살풀이라 부르며, 전라남도에서는 동살풀이라고 부른다. 살풀이 장단은 3분박 조금 느린 4박자 즉 12/8박자이고, 도살풀이 장단은 6/4박자, 동살풀이 장단은 4/4박자이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음악
  • 진양장단
    진양조라고도 한다. 민속악 장단 중 가장 느린 장단에 속하며, 기본 장단구조는 느린 3분박 6박을 1각으로 밀고·달고·맺고·푸는 4각 24박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산조·판소리의 실제 소리에 있어서 항상 24박을 단위로 소리와 장단이 맞아 떨어지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럴 경우에는 소리의 흐름에 따라 적절히 음양...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모리장단
    개설 경기도 굿에서 무가를 반주하는 장단의 하나. 연원 및 변천 경기도 굿음악이 매우 오래 되었으므로 모리장단도 오래 된 것으로 여겨진다. 내용 경기도 굿에서 무가를 반주하는 장단의 하나이다. 모리는 빠르게 ‘몰아 간다’는 의미이다. 모리장단은 조금 빠른 3소박 4박 (12/8박자) 장단으로서 자진모리장단에...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장단 홍화사 長湍 弘化寺
    내용 홍화사(弘化寺)는 고려 초 광종 때 창건된 사찰이다. 『고려사(高麗史)』에 관련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968년(광종 19)에 홍화사를 비롯하여 유암사(遊巖寺)·삼귀사(三歸寺) 등을 창건하였다 ”고 하였고, 또한 “1073년(문종 27) 3월 34일 왕이 홍화사에 행차하였다가 그 길로 현화사(玄化寺)에 가서 봉래정...
    유형 :
    유적
    분야 :
    종교·철학/불교
  • 5박 장단
    장단은 일정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박자 형태를 말하는 것이다. 장단을 반복되는 박자의 단위에 따라 나누면 2·3·4·5·6·8·10·16박 장단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장단은 강약의 형태에 따라 홋박 장단·겹박 장단·모음박 장단으로 나눌 수 있는데, 겹박 장단이란 형태가 다른 강약의 단위가 2...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단모리장단
    보통 휘모리장단이란 이름으로 부르는 장단이다. 이 말에는 '소용돌이가 휘몰아치듯이 빠르다'는 뜻이 담겨 있다. 구음으로 표시하면 덩-덕덕쿵덕쿵-이며 4/4박자이다. 흥에 겨워 자진모리장단을 더욱 빨리 연주할 때 만들어진 장단으로 이때 3분박에서 2분박으로 변한다. 단모리장단이 쓰이는 대목으로는 <심청가>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세마치장단 자진진양 장단
    경기지방의 민요인 〈아리랑〉·〈도라지타령〉 등에 많이 쓰이는 장단이나, 〈조선창극사 朝鮮唱劇史〉에 따르면 판소리 장단과 관계있는 듯하다. 이때의 세마치는 자진진양조라고도 하는데 진양조장단 중 3분박 6박에 해당한다고 한다. 이 장단이 쓰인 민요는 활기찬 느낌을 준다. 농악에서는 징을 3번 치는 자진삼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고랑포 장단도(長湍渡), 高浪浦
    개설 면의 서쪽 임진강 북안에 있다. 고려 시대에는 장단도(長湍渡)라 불리었고, 두기진(頭耆津) · 고랑진(高浪津)이라고도 불렸다. 예로부터 임진강을 통하여 농산물을 운반하는 나루터의 기능을 하였다. 이 지역 북쪽에는 바로 휴전선이 있어 휴전선 지대로 간주되므로 군사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주민...
    유형 :
    지명
    분야 :
    지리/자연지리
  • 매화점장단 梅花點長短
    내용 가곡의 반 장단을 북편을 의미하는 음점(陰點) 셋, 채편을 의미하는 양점(陽點) 둘로 표시한 특수한 형태의 장단으로, 다섯 개의 점을 벌려놓은 모습이 마치 매화 다섯 잎을 닮았다고 하여 그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현행 가곡의 반 장단인 8박에서 장구 점수만을 표시한 것으로, 두 번 반복하면 현행 가곡의 한...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74건

장단
장단
장단
장단
장단
장단
금합자보 / 사모곡
가락덜이 장단
중중모리 장단
중모리 장단
엇중모리장단
엇모리 장단
엇모리장단
세마치장단
당악 장단
장단읍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