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동살풀이장단 살풀이내용 무가에서는 ‘살풀이’라고도 하며, 안당거리에 쓰인다 하여 ‘안당장단’이라고도 부른다. 진도(珍島)에서는 ‘흘림장단’, 호남우도 농악에서는 판굿의 오방진(五方陣)에서 쓰인다 하여 ‘오방진가락’이라고도 부른다. 전라남도의 무의식인 안당·조상굿·제석굿 등의 무가에서 쓰이는데, 선율은 육자배기토리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
모리장단개설 경기도 굿에서 무가를 반주하는 장단의 하나. 연원 및 변천 경기도 굿음악이 매우 오래 되었으므로 모리장단도 오래 된 것으로 여겨진다. 내용 경기도 굿에서 무가를 반주하는 장단의 하나이다. 모리는 빠르게 ‘몰아 간다’는 의미이다. 모리장단은 조금 빠른 3소박 4박 (12/8박자) 장단으로서 자진모리장단에...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
-
장단 홍화사 長湍 弘化寺내용 홍화사(弘化寺)는 고려 초 광종 때 창건된 사찰이다. 『고려사(高麗史)』에 관련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968년(광종 19)에 홍화사를 비롯하여 유암사(遊巖寺)·삼귀사(三歸寺) 등을 창건하였다 ”고 하였고, 또한 “1073년(문종 27) 3월 34일 왕이 홍화사에 행차하였다가 그 길로 현화사(玄化寺)에 가서 봉래정...
- 유형 :
- 유적
- 분야 :
- 종교·철학/불교
도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고랑포 장단도(長湍渡), 高浪浦개설 면의 서쪽 임진강 북안에 있다. 고려 시대에는 장단도(長湍渡)라 불리었고, 두기진(頭耆津) · 고랑진(高浪津)이라고도 불렸다. 예로부터 임진강을 통하여 농산물을 운반하는 나루터의 기능을 하였다. 이 지역 북쪽에는 바로 휴전선이 있어 휴전선 지대로 간주되므로 군사지리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이다. 주민...
- 유형 :
- 지명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매화점장단 梅花點長短내용 가곡의 반 장단을 북편을 의미하는 음점(陰點) 셋, 채편을 의미하는 양점(陽點) 둘로 표시한 특수한 형태의 장단으로, 다섯 개의 점을 벌려놓은 모습이 마치 매화 다섯 잎을 닮았다고 하여 그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현행 가곡의 반 장단인 8박에서 장구 점수만을 표시한 것으로, 두 번 반복하면 현행 가곡의 한...
- 유형 :
- 개념용어
- 분야 :
- 예술·체육/국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