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엇모리장단

다른 표기 언어

요약 민속 음악에서 판소리·산조·무가에 쓰이는 장단.

매우 빠른 3박과 2박이 번갈아 반복되는 10/8박자로 구음으로 표시하면 덩-덕쿵-쿵-덕쿵-이다. 박자가 일정한 리듬으로 반복되지 않고 길고 짧은 박자가 엇박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관객에게 불편한 느낌을 주면서도 시선을 끌게 된다. 판소리 <적벽가>의 ‘자룡이 나오는 대목’, <심청가>의 ‘중이 내려오는 대목’, <수궁가>의 ‘도사가 나오는 대목’, 전라도 무악 손님굿 중 '넋이로세' 등 특이하고 신비한 인물이 등장할 때 엇모리장단을 쓴다. 빠르기에 따라 늦은엇모리와 잦은엇모리로 나뉘는데 산조에서는 주로 늦은엇모리를 쓰며, 판소리에서는 장면의 분위기에 따라 둘 다 쓴다. 무가에서도 쓰이는데 전라남도 무가에서는 대왕놀이장단이라고 부르며, 충청남도 무가에서는 시님장단이라고 부른다. 민요에는 <강원도아리랑>이 엇모리장단을 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이슈 TOP



[Daum백과] 엇모리장단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