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중중모리
    판소리·산조·민요·무악에 쓰이는 장단의 하나.|3분박 4박자로 중모리장단과 같은 구조인 12박이다. 중모리장단과 같이 3분박을 기준으로 기·경·결·해의 구조로 12박을 4등분 할 수 있으며, 결 부분의 3번째 박에 악센트가 주어지는 특징이 있다. 판소리에서는 〈심청가〉 중 '방아타령', 〈수궁가〉 중 '토끼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음악
  • 장단 (관련어 중중모리) Traditional Korean rhythm
    다른 뜻 장단이란 국악에서 장구나 북과 같은 타악기로 일정한 리듬형을 반복하여 계속 쳐서 반주를 하는 것을 말한다. 기본형이 있지만 실제 연주에서는 무수한 변주가 일어난다. 국악의 대부분은 장고나 북 장단에 맞추어 노래부르거나 연주하게 되는데, 이때의 반주를 '장단친다'고 한다. 한편 농악과 같이 타악기가 ...
    도서 위키백과
  • 중중모리장단
    덩-덕쿵덕덕 쿵쿵덕쿵-쿵으로 12/8박자이다. 판소리와 산조, 민요에 많이 쓰이는 장단이다. 산조는 진양조로 시작해 점점 장단이 빨라지는데 중모리에 이어 중중모리가 산조의 세 번째 장단이 된다. 판소리 <춘향가>의 ‘천자풀이’와 ‘자진사랑가’ 대목, <흥보가>에서 ‘제비노정기’와 ‘비단타령’, <심청가>에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음악 , 음악
  • 중중모리장단 ─長短
    12박자 장단이다. 선율을 맺을 때 제3박의 제2부박에 북의 온각자리나 장구의 변죽을 크고 강하게 친다. 빠르기에 따라 다르게 치는데, 느린 것은 느린중중모리라 부르고, 조금 느린 것은 휘중모리라 부른다. 판소리와 산조에서는 느린중모리와 휘중모리를 쓰고, 산조에서는 휘중모리를 굿거리라 부르기도 한다. 「자진...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판소리의 장단
    판소리의 장단은 서양음악의 리듬과 가장 가까운 개념인데, 일반적인 수준에서는 박자와 거의 동일하게 인식된다. 판소리에서 쓰는 장단은 진양·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휘모리·엇모리·엇중모리 등 7가지이다. 진양은 느린 6박을 한 단위로 하며, 이것이 4개 모인 24박이 한 장단을 이룬다. 매박이 3분박이므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화 일반
  • 가야금산조 伽倻琴散調
    내용 진양조 · 중모리 · 중중모리 · 엇모리 · 굿거리 · 늦은자진모리 · 자진모리 · 휘모리 · 단모리(세산조시) 등의 장단 중 산조에 따라 3∼6개의 장단구성에 의한 악장으로 구분되며, 반드시 장구반주가 따른다. 다른 악기로 연주하는 산조보다 먼저 발생하였고, 또 가장 많이 연주되며 바디(流)도 가장 많이...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춘향가 春香歌
    옥중상봉’·‘어사출도’·뒤풀이로 짜여진 경우가 많다. 특히 <춘향가>에서 이름난 소리대목은 ‘적성가(赤城歌, 진양―우조)’·‘천자(千字)뒤풀이(중중모리―평조)’·‘춘향방경치(중모리 또는 세마치―우조)’·‘긴 사랑가(진양―우조)’·‘자진 사랑가(중중모리―추천목)’·‘이별가(진양―계면조...
    성격 :
    판소리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무속음악의 장단
    장단과 같음)·가래조·오니섭채·삼공잡이·푸살·노랫가락·부정놀이·반설음·진쇠·올림채·넝김채·겹마치·도들이·허튼타령·당악·중모리·중중모리·취타·길군악·긴염불·타령이 있다. 전라북도지방과 충청남도지방에서 쓰는 장단으로는 살풀이·시님·굿거리·덩덕궁이·안진반(불규칙장단이나 2분박 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음악
  • 수궁가 토끼타령, 水宮歌
    나오는데, 토끼 욕설, 뒤풀이로 짜여진 바디가 많다. 수궁가에서 이름난 소리 대목은 용왕탄식(진양-계면조), 약성가(藥性歌, 자진모리-우조), 토끼화상(중중모리-계면조 또는 평조), 고고천변(皐皐天邊, 중중모리-평조 또는 계면조), 토끼와 자라(중중모리-계면조), 토끼신세(자진모리-계면조), 토끼기변(중모리-계면조...
    성격 :
    국악성악곡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흥보가 흥부가, 興甫歌
    소리가 많고 가운데에 좋은 소리가 많다. <흥보가>에서 이름난 소리 대목은 ‘중타령’(엇모리-계면조)·‘집터 잡는데’(진양-우조)·‘제비노정기’(중중모리-평조 또는 계면조)·‘박타령’(진양-계면조)·‘비단타령’(중중모리-평조 또는 계면조)·‘화초장’(중중모리-계면조)·‘제비 후리러 나가는데...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 남도잡가 南道雜歌
    꺾어 흘러내리는데, 꺾는다는 말은 먼저 전타음(前打音)을 강하게 내야 하므로 듣는 이가 목소리를 꺾는 듯한 인상을 받게 되기 때문이다. 장단은 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 등을 많이 사용하는데, 대개 처음은 느린 중모리로 시작하다가 차츰 빨라져서 중중모리(또는 굿거리)를 거쳐 자진모리로 끝나게 된다. (1...
    유형 :
    개념용어
    분야 :
    예술·체육/국악
  • 사랑가 사랑歌
    靑山) 늙은 범이’로 시작하는 송광록 더늠의 <긴 사랑가>는 진양장단에 우조로, <긴 사랑가>에 이어 부르는 고수관(高壽寬) 더늠의 <자진 사랑가>는 중중모리장단에 추천목으로 짜여 있다. 또 ‘정(情)’자가 들어 있는 낱말에 사랑의 의미를 붙여 부르는 <정자노래>는 중중모리장단에 평조(平調)로, 훨씬 노골...
    유형 :
    작품
    분야 :
    예술·체육/국악
이전페이지 없음 현재페이지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중중모리 장단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