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국의 전통 악기로 허리가 잘록하게 들어간 나무통의 양쪽을 가죽으로 덮고 채로 두드려 소리를 내는 악기인 장구의 장단.
장단은 주로 장구나 북으로 표현된다. 양반들이 즐기던 정악이나 백성들이 즐기던 민속악에서는 장구로 장단을 표현하고 판소리에서는 북으로 표현한다. 도드리 장단, 가곡 장단, 시조 장단 등은 정악에 쓰이는 장단으로 변주 없이 정해진 기본형만을 연주한다. 우리에게 많이 알려진 굿거리장단, 중모리장단, 휘모리장단 등이 민속악에 쓰이는 장단으로 연주자와 반주자의 호흡이나 즉흥적인 상황에 따라 기본형을 변형한 장단이 많이 등장한다. 산조는 장구 장단을 반주로 독주 연주를 하는 음악이다. 산조는 정해진 가락 없이 연주자가 그때그때 떠오르는 가락을 즉흥적으로 연주한다. 장구 장단의 반주는 진양조-중모리-중중모리-자진모리의 순서로 아주 느리게 시작해서 점점 빨라진다. 여기에 가락에 따라 엇모리나 굿거리, 휘모리 등의 장단을 집어넣기도 한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