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목천(지금의 천안군 목천면) 고장 사람들에게 우(牛)·마·상(象)·신(申)·돈 등 짐승 이름을 성씨로 쓰게 했다고 한다. 마씨는 마겸 이후 세계를 잃어버려 온조를 따라 남으로 내려와 한강변에 백제를 세우는 데 큰 역할을 한 여(黎)를 시조로 삼고 있다. 그러나 또다시 계보가 끊겨 나당연합군에 항전하며 백제 부흥...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성씨
  • 백제 6대 왕, 구수왕 仇首王
    王)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에 키가 칠척이며 용모가 준수하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2m가 넘는 큰 키였던 것으로 보인다. 아버지 초고왕에 이은 온조(溫祚)계 왕족 출신으로, 구수왕의 재위기간 동안 할아버지 개루왕(蓋婁王) 때인 165년에 시작되어 초고왕 때에도 이어졌던 신라와의 공방전이 계속되었다...
    출생 :
    미상
    사망 :
    234(구수왕 21)
    국적 :
    백제, 한국
    재위 :
    214년∼234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백제
  • 여조왕릉등록 麗朝王陵謄錄
    있다. 등록 내용은 고려 태조와 7왕, 즉 혜종·정종·광종·경종·성종·목종·현종의 신위를 모신 숭의전(崇義殿)을 비롯하여, 백제 시조의 신위를 모신 온조묘(溫祚廟), 기자(箕子)의 신위를 모신 숭인전(崇仁殿), 단군의 신위를 모신 단군묘 등에 대한 치제(致祭)·배향(配享)·수개(修改)·이건(移建)·이안(移安...
    시대 :
    조선
    창작/발표시기 :
    1638∼1690년
    성격 :
    등록
    유형 :
    문헌
    권수/책수 :
    1책 91장
    간행/발행 :
    전향사
    분야 :
    종교·철학/유교
    소장/전승 :
    규장각 도서
  • 조선상고사감 朝鮮上古史鑑
    뒤를 이어 나기왕[南海王]·누리닛검[弩禮尼師今]이 등장한 것으로 보았다. 백제는 '배치'[夫餘公]에서 유래한 부여국이며, 첫 시조는 비류(沸流)인데 온조(溫祚)가 '우라'[慰禮 : 江城]에 천도하면서 시조로 추존된 것이라 했다. 가야에 대해서는 '가람[江]­가라'에서 유래한 것으로 변한의 이칭이며 종주는 '큰지국...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문헌
  • 광주부 廣州府
    단행했다. 아울러 행정력과 군사력을 강화시키고 군사적 요충지에 유수부를 설치, 운영함으로써 도성방어 체제를 강화하였던 것이다. 이곳은 백제의 시조인 온조가 도읍한 이후 신라가 한강 유역에 진출하면서 한산주(漢山州)·남한산주(南漢山州)·한주(漢州) 등으로 불리다가 940년(태조 23) 현재의 명칭인 광주로...
    시대 :
    조선
    성격 :
    행정구역
    유형 :
    제도
    시행일 :
    조선시대
    분야 :
    역사/조선시대사
  • 남한산성도립공원
    위치하고 있으며, 길이는 총 12.4km(본성 8.9km, 외성 3.2km, 신남 산성 0.2km), 높이는 7.3m이다. 원래 2천여 년 전, 고구려 동명왕의 아들 백제의 시조 온조의 왕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있다. 그 옛 터를 활용하여 후대에도 여러 번...
    위치 :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31
    참고 :
    세계문화유산 등재
  • 신라 선신당 온조지[園城寺], 新羅 善神堂
    변천 미이데라[三井寺]의 북원(北院) 가람의 중심 건물이며, 제신(祭神)은 신라명신(新羅明神)이다. 미이데라는 창건 초기에는 온조지[園城寺]라고 불렸다. 온조지는 7세기 후반에 건립되었으며, 당에서 유학하고 귀국한 엔친[圓珍 : 814~891]이 부흥시키면서 번영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기록에 의하면 엔친은 853...
    시대 :
    고려
    유형 :
    유적/건물
    분야 :
    종교·철학/불교
  • 삼국의 발전
    확대해나갔다. 백제는 북방의 낙랑·말갈 세력의 침략을 효과적으로 막아내는 동시에 남쪽의 마한지역으로 진출하면서 팽창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시조 온조왕대에 마한의 목지국을 병합했고, 영토가 북으로는 예성강, 동으로는 지금의 춘천, 남으로는 지금의 공주, 서쪽으로는 서해안지역에 이르렀다고 전한다. 3...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신라
  • 구태왕 仇台
    구태왕은 백제의 시조이다. 중국의 사서 북사(北史)와 수서(隋書)에 따르면 다음과 같다.백제의 건국에 대해서는 시조 온조설과 시조 비류설도 있으며, 현재 정설로 인정되는 것은 시조 온조설이다. 구태에 대해서 삼국사기의 편찬자 김부식은 구태와 비류, 온조 형제가 어떤 관계인지 알 수 없다고 하였고, 사학자...
    도서 위키백과
  • 방향화습약 芳香化濕藥
    기미(氣味)가 방향성이며 온조(溫燥)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습을 없애고 비(脾)를 건강하게 하는 약물.
  • 고양이를 부탁해 Take Care of My Cat, 子猫をお願い
    배두나(태희 역), 이요원(혜주 역), 옥지영(지영 역), 이은실, 이은주(비류·온조 쌍둥이 역)가 출연했다. 인천 지역의 한 여자 상고를 졸업한 다섯 명의 동창생들이 각자의 방식으로 세상을 알아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영화의 제목은 지영이 처음으로 주워 와 키우기 시작한 고양이가 각자 주인공들의 사정으로 다른...
    도서 위키백과
  • 미추홀
    부평구 십정동과 경기도 시흥시 북부(옛 소래읍), 부천시 옥길동, 계수동, 광명시 옥길동에 해당한다. 《동국여지승람》을 보면, 고구려를 떠난 비류와 온조 형제가 남하하던 중 비류가 머물러 나라를 세운 곳이 미추홀이다. 훗날 온조가 세운 백제에 흡수 통합된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매소홀'(買召忽)로...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멀티미디어12건

유리 vs 온조
백제 온조 특별우표 - 낱장
백제 온조 특별우표 - 낱장
백제 온조 특별우표 - 낱장
백제 온조 특별우표 - 낱장
백제 온조 특별우표 - 낱장
백제 온조 특별우표 - 전지
백제 온조 특별우표 - 전지
백제 온조 특별우표 - 전지
백제 온조 특별우표 - 전지
백제 온조 특별우표 - 전지
418년만에 다시 세워진 백제시대 온조사당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