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사설시조중장이 제한 없이 길고, 산문적 성질의 서민적 내용 조선 선조 때 정철의 <장진주사>에서 비롯된 사설시조는 일상적인 소재를 해학과 풍자로 표현하고(언어유희와 열거법), 골계미와 해학 미가 두드러진다. 작가 층은 대개 미상(평민)이며, 형식에 있어 종장 첫 구가3글자이며 초장과 중장은 평시조보다 길다(장형시조) .
-
겐로쿠 시대 문학과 미술있다. 이가의 우에노에서 무사의 아들로 태어난 마쓰오 바쇼[松尾芭蕉]는 낭인의 신분으로 에도에 올라가 하이카이 연구에 몰두한 끝에 그때까지는 언어의 유희로밖에 생각하지 않았던 하이카이를 격조 있는 예술로 격상시켰다. 그의 나이 마흔을 지나면서부터는 오로지 여행만을 생활로 삼아 1689년 문인 한 사람을...
-
「고단수의 여자 뱃사공」 高段數의 女子 뱃沙工고단수의 여자 뱃사공」은 동음이의어(同音異議語)를 사용한 남자 나그네의 농지거리에 같은 방법으로 대처한 여자 뱃사공의 재치에 관한 소화(笑話)로서 언어유희적인 육담(肉談)이다. [채록/수집 상황] 2005년 10월 31일 수영고적민속예술보존협회에서 발행한 『수영구의 민속과 문화』의 493쪽에 「단수 높은 여자...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수영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구포 다리 노래」 龜浦 다리 노래영도구 동삼1동으로 현지 조사를 나가 주민 이옥순[여, 75]으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구성 및 형식] 「구포 다리 노래」는 독창으로 음영(吟詠)되었으며, 언어유희(言語遊戱)와 대구 형식의 구조가 선명한 노래이다. [내용] 구포 다리는 걷는 다리요/ 영도 다리는 드는 다리요/ 영감 다리는 감는 다리요/ 새북[새벽...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영도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돈풀이」[개설] 「돈풀이」는 돈의 이름과 그에 따르는 가치를 나열하고, 이를 흥미 위주로 풀이하고 있는 언어 유희요이다. [채록/수집 상황]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민요』-부산편의 372~373쪽에 「돈풀이」라는 제목으로 수록되어 있다. 이는 1999년 10월 23일 김상용...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왜 인간은 발뺌의 여지만 있으면 남을 속이는가?, plausible deniability여기서 denial이라는 단어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직역하면 ‘부인(否認)은 단순히 이집트의 강 이름이 아니다’라는 뜻이지만 사실은 The Nile의 언어적 유희다. 나일강은 이집트에 있는 강인데 그가 한 말을 ‘The Nile is not just a river in Egypt’로 해석해보면 메시지가 보인다. 직역하면 ‘나일강은 이집트의...
-
「꼬불꼬불 고개」[개설] 「꼬불꼬불 고개」는 하나부터 열까지 순서대로 숫자와 관련된 단어를 활용하여 부르는 언어 유희요이다. 이를 「숫자 노래」라고도 한다. 숫자가 시작되는 문구를 연결하여 말놀이와 말장난으로 흥미를 끌고 있다. [채록/수집 상황] 2010년 류종목이 집필하고 민속원에서 간행한 『현장에서 조사한 구비 전승...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
「방귀 노래」(2)하지만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다. [의의와 평가] 「방귀 노래」(2)는 방귀와 같은 해학적인 소재를 두고 노래한 유희요이면서 시집살이의 어려움을 함께 담아 고단한 삶 속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았던 옛사람들의 모습을 느낄 수 있다. 또한 ‘방구’라는 단어를 반복한 언어유희의 모습이 생생하게 드러나고 있다...
- 분야 :
- 구비 전승·언어·문학
- 지역 :
- 부산광역시 사하구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