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르메니아의 종교 Religion in Armenia, 亞美尼亞宗教
    Pie chart 2011년 기준으로, 아르메니아 내 대부분의 아르메니아인들은 기독교인 (97%)들이고 가장 오래된 기독교 종파 중 하나인 아르메니아 사도교회 신자들이다. 아르메니아 사도교회는 서기 1세기에 처음 세워져, 301년에 국교가 된 첫 기독교 종파이다. 퓨 연구센터의 2018년 12월 출판물에 따르면 아르메니아는...
    도서 위키백과
  • 하마단 Hamadan
    느릅나무·단풍나무·호두나무 숲도 간간이 발견된다. 산골짜기에서는 포플러·버드나무·오리나무·느릅나무·물푸레나무 등이 자란다. 페르시아인·아르메니아인들은 대부분 도시에 거주하는 반면, 농촌지역에는 아샤쿨루·하질루·후다반델루의 후손인 투르크인들이 살고 있다. 유대인들은 대부분 하마단 시에 살고...
    위치 :
    이란 북서부
    인구 :
    1,738,234명 (2016)
    면적 :
    19,368㎢
    대륙 :
    아시아
    국가 :
    이란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아시아
  • 아르메니아 전례 Armenian rite
    '최초의 그리스도교 민족'으로 자처하는 아르메니아인들은 300년경 계시자 성 그레고리우스에게 전도를 받아 그리스도교로 개종했다.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와 가톨릭 교회가 모두 사용하는 성 그레고리우스 전례는 성 야코부스의 안티오크 교회 전례와 성 요한네스 크리소스토무스의 비잔틴 전례를 본떠 만든 것으로서...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실리시아 Cilicia
    많이 남아 있다. AD 7세기부터는 동부지방 일대를 이슬람교도인 아랍인들이 점령했었으나 964년 니케포루스 포카스에게 정복되었다. 1080년에는 아르메니아인 이주민들이 타우루스 산맥에 제후국을 세우고 점차 세력을 확장하여 시실리아아르메니아 또는 소(小)아르메니아라고 불리는 왕국을 세웠다. 1375년 이집트의...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무드로스 휴전협정 Armistice of Mudros
    양도했고 연합국은 다르다넬스 해협, 보스포루스, 바툼(지금의 조지아 남서부에 있음)과 타우루스 터널을 점령했다. 연합국은 아나톨리아에 있는 6개의 아르메니아인 지역이 '혼란할 때' 이 지역을 점령할 수 있는 권리와 연합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경우 '전략적 지점은 어느 곳이나' 빼앗을 수 있는 권리도 얻었다...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세계사
  • 바쿠 Baku
    1개와 8개의 고등교육기관이 있다. 이중에는 석유·화학 산업만을 전문으로 가르치는 학교가 있으며 아제르바이잔 과학 아카데미는 수많은 과학연구 기관들로 구성되어 있다. 도시에는 많은 극장과 박물관들도 있다. 아제르바이잔인이 46%를 차지하지만 러시아인과 아르메니아인도 많아서 1979년에 각각 28%, 16%였다...
    위치 :
    카스피 해 서해안의 압셰론 반도 남해안
    인구 :
    2,401,000명 (2022년 추계)
    면적 :
    2,140㎢
    언어 :
    아제르바이잔어
    대륙 :
    아시아
    국가 :
    아제르바이잔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삼츠헤자바헤티주 Samtskhe–Javakheti, サムツヘ=ジャヴァヘティ州
    국경들을 넘어 분산되고 있다. 강제로 추방된 그들 10만명 가운데, 총 1만명은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되었다. 그 지역 거주자들 대다수는 민족적으로 아르메니아인이다. 그들은 아르메니아어와 러시아어를 사용한다.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자들은 자바헤티를 아르메니아에게 양도하라고 한다. 2014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도서 위키백과
  • 미카일 2세 Michael II
    비잔틴 제국을 갈라놓은 성상파괴논쟁을 완화하려고 힘썼다. 비천한 출신으로 처음에는 군(軍) 지휘관이 되었는데, 나중에 황제 레오 5세가 된(813) 아르메니아인 레오와 군의 동료였다. 803년에 바르다네스 투르쿠스와 니케포루스 1세가 제위를 놓고 싸울 때, 레오와 함께 바르다네스를 도왔으나 나중에는 니케포루스...
    출생 :
    ?, 아시아 주교구 아모리움
    사망 :
    829. 10
    국적 :
    비잔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 아브하즈 자치공화국 Abkhazskaya Avtonomnaya Respublika
    자치지역임을 선언했고, 1921년에는 공화국으로 승격시켰다. 아브하즈인은 전체 주민의 1/6에 불과하며, 그들보다는 조지아인(44%)·러시아인(16%)·아르메니아인(15%)이 많다. 주민 대부분은 수도인 수후미와 오참치라, 휴양 중심지인 가그라와 노비아폰 등 대규모 주거지들이 있는 연안저지에 집중되어 있다...
    위치 :
    조지아 북서부, 흑해 연안 동쪽
    인구 :
    243,564명 (2017 추계)
    면적 :
    8,665㎢
    대륙 :
    아시아
    국가 :
    조지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 카프카스 제족 Caucasian peoples
    카바르디인과 볼쇼이(大) 카프카스 중부의 베이나흐인(체첸인·잉구슈인·바트인 등을 포함해 약 94만 명)으로 이루어진다. 인도유럽어를 쓰는 민족들 중 아르메니아인(415만 명)의 조상들은 BC 1000년경에 아나톨리아 지방에서 트란스카프카스로 들어왔다. 2번째로 오래된 인도유럽어 사용 민족은 BC 7~AD 4세기에 훈족...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인종/민족
  • 동방전례교회의 전례
    그 분파는 칼데아(네스토리우스파에서 나옴), 시리아-말라바르 교회(인도의 성 토마 그리스도교의 후예)이다. 고전 아르메니아 의식어를 사용하는 아르메니아 전례는 그리스의 성 바실리오스 전례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중동·유럽·아프리카·아메리카·오스트랄라시아에 있는 아르메니아인들의 그룹으로 구성되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종교
  • 모스크바의 주민
    이러한 소수민족들 중 다수를 차지하는 집단은 우크라이나인·벨라루스인·타타르족 등이며 그밖의 소수민족으로는 카프카스 산맥에서 온 조지아인과 아르메니아인, 그리고 중앙 아시아 지역의 우즈베크인·투르크멘인·카자크인 등이 있다. 주민 가운데 상당수가 모스크바 태생이 아니고 이 시가 발전함에 따라 이주해...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유럽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1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