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아도간 아궁간(阿窮干), 我刀干
    내용 「가락국기(駕洛國記)」에 전하는 수로(首露王)신화에 나오는 9간(九干)의 하나이다. 『삼국유사』의 「가락국기」에 의하면, 아도간 등 9간은 추장으로서 각기 그 촌락민을 자치적으로 다스리고 있었는데, 계욕(禊浴 : 3월에 요사를 씻기 위해 하늘에 올리는 제사)이라는 의례를 행하고 있을 때 구지봉(龜旨峯...
    시대 :
    고대/삼국/가야
    성격 :
    씨족장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대동법 大同法
    방납인들의 반대가 심했기 때문이었다. 대동법 하에서는 공물을 각종 현물 대신 미곡으로 통일하여 징수했고, 과세의 기준도 종전의 가호(家戶)에서 토지의 결수로 바꾸었다. 따라서 토지를 가진 농민들은 1결 당 쌀 12두(斗)만을 납부하면 되었으므로 공납의 부담이 다소 경감되었고, 무전농민(無田農民)이나 영세농민...
    도서 다음백과 | 태그 한국사 , 조선
  • 망산도 유주암 유주비각 望山島 維舟岩 維舟碑閣
    70m 해상의 바위섬을 유주암이라 부른다. 『삼국유사』에 전하는 허태후 관련 설화는 다음과 같다. 서기 48년에 가락국의 구간(九干)들이 수로에게 왕비를 맞아들이기를 청하자, 은 자신의 왕비는 하늘이 정해 줄 것이라고 대답하였다. 이어 은 유천간(留天干)에게 망산도에 가서 기다리게 하고, 신귀간(神鬼干...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유천간 유덕간(留德干), 留天干
    내용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는 수로신화에 나오는 9간(干)의 하나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가락국기(駕落國記)」에 의하면, 유천간 등 9간은 추장으로서 각기 그 촌락민을 자치적으로 다스리고 있었다. 서기 42년(후한 광무제 建武 18) 3월 어느날 계욕(禊浴 : 3월에 妖邪를 씻기 위해 하늘에 올리는...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씨족장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하지 荷知王, 荷知王
    조공을 바치고는 보국장군(輔國將軍), 본국(本國王)의 관작을 하사받았다. 조선후기 실학자 정약용은 하지을 금관가야 수로의 후손으로 비정했는데 금관가야의 들 중 6대 좌지(坐知王), 8대 질지(銍知王), 9대 겸지왕(鉗知王) 등과 같이 지(知)자가 들어간 이름을 사용하는 들이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도서 위키백과
  • 가락국기 駕洛國記
    확실하지 않다. 다만 1075∼1084년간에 금관주지사를 지낸 인물이 가락국의 옛 땅인 금관주의 역사서로서 ≪가락국기≫를 편찬한 것으로 추측된다. 내용은 수로의 건국설화, 허황후(許皇后)와의 혼인설화 및 수로왕릉의 보존에 관련된 신이 사례(神異事例)와 신라에 합병된 이후부터 고려왕조에 이르기까지의 김해...
    시대 :
    고대/삼국
    유형 :
    문헌
    분야 :
    역사/고대사
  • 유수간 유공간(留功干), 留水干
    내용 수로 건국설화에 등장하는 9간 가운데 하나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가락국기(駕洛國記)」에 의하면 유수간 등 9간은 추장으로서 각기 그 촌락민을 다스리고 있었다. 서기 42년(後漢光武帝建武十八年) 3월에 계욕(禊浴 : 3월에 妖邪를 씻기 위하여 하늘에 올리는 제사)이라는 의례를 행하고 있었는데...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씨족장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오천간 오능간(五能干), 五天干
    내용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전하는 수로 신화에 나오는 9간(干)의 하나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가락국기(駕洛國記)」에 의하면 오천간 등 9간은 추장으로서 각기 촌락민을 다스리고 있었다. 서기 42년(後漢 光武帝 建武 18) 3월에 계욕(禊浴 : 3월에 妖邪를 씻기 위해 하늘에 제사지내는 의례로 생각됨...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씨족장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망산도·유주암·유주비각
    없이 장초석을 놓고 두리기둥을 세운 것으로 전체적으로 볼 때 벽체 상부를 홍살로 장식한 전형적 비각의 형태이다. 전설에 따르면 수로에게 왕비를 맞아들이기를 청하자, 은 자신의 왕비는 하늘이 정해 줄 것이라고 대답하였는데 어느 날 서남쪽 해상에 붉은 돛과 붉은 깃발을 단 배가 나타났다. 그 후 배를 인도...
    위치 :
    부산광역시 강서구 송정동
    문화재 지정 :
    [망산도.유주암.유주비각] 경상남도 기념물 제89호(1988.12.23 지정)
  • 여도간 여해간(汝諧干), 汝刀干
    내용 「가락국기(駕洛國記)」에 전하는 수로(首露王) 신화에 나오는 9간(干)의 하나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의 「가락국기(駕洛國記)」에 의하면 여도간 등 9간은 추장으로서, 각기 부락민을 자치적으로 다스렸는데, 뒤에 하늘의 계시를 받아 구지봉에 9간 이하 수백 명이 모여 제사를 지냈다. 그러자 하늘로부터...
    시대 :
    고대/삼국
    성격 :
    씨족장
    유형 :
    제도
    분야 :
    역사/고대사
  • 신귀간 神鬼干
    두었는데 그 다음날 와서 보니 6명의 남아가 태어났다. 이들은 10여 일 만에 크게 장성해, 그 달 15일에 가장 먼저 태어난 수로는 가락국의 이 되고 나머지 5명도 각각 5가야의 이 되었다. 신귀간은 다른 9간들과 더불어 가야국 건설과 왕비맞이의 주역으로 활약했으며, 수로이 관제를 정비하면서 그의 칭호를...
    시대 :
    고대/삼국/가야
    성격 :
    씨족장
    유형 :
    단체
    분야 :
    역사/고대사
  • 거질미 Geojilmi of Geumgwan Gaya, 居叱弥王
    거질미이다. 시호는 덕왕(德王)이다. 왕비는 아지부인(阿志夫人)이며 아간(阿干) 아궁(我躬)의 손녀이다. 아궁(我躬)의 본명은 아도(我刀)이며 수로이 탄강할 때 맞이한 구간(九干) 중 한명이다. 즉위 6년 297년(신라 유례 14) 이서고국(伊西古國)이 금성에 쳐들어 왔을 때 신라가 패하자 거질미이 구원병을...
    도서 위키백과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멀티미디어2건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