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한국 동물지리구
    종류들은 희시무르고슴도치·우수리땃쥐·야마시나땃쥐·만포땃쥐·뒤쥐·쇠뒤쥐·우는토끼·아무르박쥐·긴꼬리수염박쥐·북방애기박쥐·검은토끼박쥐·쇠뿔박쥐·북방뿔박쥐·대륙목도리담비·검은담비·흰족제비·대륙멧돼지·백두산사슴·우수리사슴 따위이다. 한국서남소구는 동북소구를 제외한 우리나라 전역이며...
    도서 다음백과 | 태그 동물
  • 경주조양동유적 慶州朝陽洞遺蹟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이 유적에서 주목되는 것은 와질토기의 존재이다. 이 와질토기는 저화도소성(底火度燒成)으로 연질에 가까운 것이 많고, 조합식 쇠뿔잡이단지[組合式牛角形把手附壺]와 주머니단지·굽다리단지 등이 주류를 이룬다. 무늬는 대체로 꼰무늬[繩文]가 찍혀 있고, 주머니단지의 경우는 표면을 간...
    시대 :
    고대/삼국
    건립시기 :
    원삼국시대
    성격 :
    무덤군
    유형 :
    유적
    소재지 :
    경상북도 경주시 조양동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줄노랑알락명나방
    특징 머리는 백색 인편으로 덮여 있고 둥글게 다소 돌출되어 있음. 아랫입술수염은 백색이고 쇠뿔 모양임. 더듬이의 병절은 길고 그 위에는 오목한 부분이 있음. 가슴의 등쪽면은 백색이고, 어깨판은 담적갈색이며, 배는 가슴보다 적갈색이 짙어 보임. 배쪽면과 다리는 담적갈색에 백색이 섞여 있음. 앞날개의 중횡선...
    분류 :
    나비목 > 명나방과
    학명 :
    Nephopterix bicolorella Leech, 1889
    출현시기 :
    6월, 7월, 8월
  • 배(盃)와 배(杯), 잔, 상, 작, 굉 盃와 杯, 盞, 觴, 爵, 觥
    본 뜻 배(盃) - 배(杯)의 속자(俗字). 배(杯) - 나무로 만든 술잔. 잔(盞) - 낮고 작은 잔. 상(觴) - 물소나 쇠뿔로 만든 잔. 작(爵) - 쇠로 만든 발이 달린 술잔으로 보통 한 되들이 정도의 큰 잔. 굉(觥) - 소의 뿔로 만든 술잔. 바뀐 뜻 모두 술잔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보기글 ㆍ대통령배라면 대통령이 술잔을 상...
  • 광주 국수봉 유적 廣州 國首峰 遺蹟
    국수봉 유적에서 조사된 초기철기시대의 유물은 국수봉산성의 남쪽 출입구 능선에서 등산로를 따라 약 100m 지점에서 수습되었다. 이곳에서 조사된 유물은 쇠뿔모양손잡이[牛角形把手] 1점과 토기조각 3점이 수습되었다. 의의와 평가 국수봉 유적에서 수습된 초기철기시대 유물은 한강 지류인 경안천을 중심으로 한 광주...
    시대 :
    선사/철기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뿔잔 각배, ─盞
    개설 혹은 흙이나 금속을 이용해 만든 쇠뿔처럼 생긴 그릇. ‘각배(角杯)’라고도 한다. 짐승의 뿔을 이용해 만든 뿔잔은 쉽게 썩기 때문에 그 실물이 전해지는 경우가 거의 없으나 흙이나 금·은과 같은 금속을 이용해 만든 뿔잔은 우리나라뿐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알려져 왔다. 내용 동북아시아 쪽에서는 스키타이...
    성격 :
    의례용품, 식기
    유형 :
    유물
    재질 :
    짐승뿔, 흙, 금속
    제작시기 :
    신석기시대 초기
    분야 :
    역사/선사문화
    소장/전승 :
    국립중앙박물관
  • 금빛들명나방
    지바, 뉴기니, 호주, 뉴질랜드, 아프리카 국가 머리는 백색이고, 앞이마에는 흑색 무늬가 있다. 더듬이는 흑갈색이며 암수 모두 실 모양이다. 아랫입술수염은 쇠뿔모양으로 위로 향하며, 제 3마디와 제 2마디는 나비가 넓고, 제 2마디의 기부의 끝은 흑갈색이다. 제 3마디는 가늘고 약간 길며, 흑갈색이다. 배쪽면 및...
    분류 :
    나비목 > 명나방과 > 이마혹잎벌레속
    학명 :
    Prodasycnemis inornata (Butler, 1879)
    국내분포 :
    수원, 전북, 밀양, 전라북도, 울릉도, 제주도
    해외분포 :
    일본, 대만, 중국, 인도, 지바, 뉴기니, 호주, 뉴질랜드, 아프리카 국가
    출현시기 :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 흰갈퀴애기잎말이나방
    돌기는 길고 아래로 처져 있다. 삽입기는 짧고 원통상, 사정낭침은 여러개 있다. 암컷 산란판은 좁고 길다. 교미구는 타원형이며, 시그눔은 2개인데 1개는 뭉뚝 한 쇠뿔 모양으로 나타나고, 다른 1개는 다소 송곳 모양을 나타낸다. 생태 성충의 출현시기는 6~9월이며, 우리 나라에서는 전국적으로 발생이 많다. 유충은...
    분류 :
    나비목 > 잎말이나방과
    학명 :
    Epiblema foenella (Linnaeus, 1758)
    출현시기 :
    6월, 7월, 8월, 9월
  • 사천송지리고분군 泗川松旨里古墳群
    은 동서 또는 남북방향이며 바닥에는 점토를 깔았다. 유물은 제1·2·3·4·6·7·13호에서 주로 출토되었는데, 토기·철기·장신구 등이다. 그 중 토기는 쇠뿔모양잡이〔牛角形把手〕가 달린 적갈색 유개소옹(有蓋小甕)과 회청색의 광구원저장경호(廣口圓低長頸壺)·유대호(有臺壺) 등이며, 철기는 장도(長刀)·소도자...
    시대 :
    고대/삼국
    건립시기 :
    가야시대(3∼4세기)
    성격 :
    고분
    유형 :
    유적
    면적 :
    고분 13기
    소재지 :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송지리
    분야 :
    역사/선사문화
  • 개성봉동유적 開城鳳東遺蹟
    집자리 중앙 장축선에서 약간 북쪽에 치우쳐 무시설식 화덕자리가 조사되었다. 집자리 내부에서는 중도식토기로 부르는 경질무문토기와 격자문타날문토기, 쇠뿔형손잡이, 철도자(鐵刀子) 등이 출토되었다. 이 집자리에서 4점의 목탄을 수거하여 측정한 방사성탄소연대 값은 서기전 170-서기 60년, 서기 20-230년, 서기...
    성격 :
    복합유적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산청 강루리 유적 山淸 江樓里 遺蹟
    감안해 이 곳과 표토층에서 채집된 중요유물을 상층유물로, 신석기문화층의 유물을 하층유물로 구분해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상층유물로는 검은간토기 쇠뿔잡이〔黑陶牛角形把手〕), 가지무늬토기〔彩文土器〕조각, 붉은간토기〔紅陶 조각, 볍자국 민무늬토기 밑바닥조각〔稻痕無文土器底部片〕, 구멍무늬토기조각...
    시대 :
    선사/석기
    유형 :
    유적
    분야 :
    역사/선사문화
  • 수리큰점애기잎말이나방
    가늘고 길며, 끝부분이 둥글다. 기부와 중간 외측에 긴 털다발이 있다. 구상돌기는 가늘고 길며, 갈고리 모양을 이룬다. 삽입기는 짧고 원추형이다. 암컷 암컷의 교미구는 작으며, 교미주머니는 크고 2개의 작은 쇠뿔 모양의 시그눔이 있다. 생태 성충은 6~8월에 출현하며, 유충은 상수리나무의 잎을 철하고 갉아먹는다...
    분류 :
    나비목 > 잎말이나방과 > 무잎벌속
    학명 :
    Hedya inornata (Walsingham, 1900)
    출현시기 :
    6월, 7월, 8월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없음

관련항목

멀티미디어3건

쇠뿔현호색
쇠뿔현호색
쇠뿔모양 동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