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
나주반 羅州盤다각형으로서 각의 모서리가 원형으로 부드럽게 꺾여 있는 것이 특징이다. 테두리의 전은 따로 파서 물리어 붙였는데, 보통 전의 두께에 비하여 두껍다. 소반의 밑면에는 운각(雲脚)이라는 테가 있어 투각되었거나 또는 조각장식이 붙어 있는데, 이 테두리를 따라 다리의 윗부분이 끼워져 있다. 반과 다리의 접합은 장부...
- 성격 :
- 생활용품
- 유형 :
- 물품
- 재질 :
- 나무(은행나무, 느티나무, 버드나무, 소나무)
- 용도 :
- 운반용, 받침용
- 분야 :
- 예술·체육/공예
-
척판암 擲板庵있었다. 이 예불하는 광경을 보고 합장을 하던 원효는 대웅전의 대들보가 썩어서 무너지고 있는 것을 보았다. 원효는 위급한 사태를 알리고자 옆에 있던 소반에 ‘해동원효척반구중(海東元曉擲盤救衆)’이라는 여덟 자를 적어서 하늘 높이 힘껏 던졌다. 던져진 소반은 운제사의 대웅전 앞뜰 위에서 윙윙거리며 공중에...
- 분야 :
- 종교
- 지역 :
- 부산광역시 기장군
출처 한국 향토문화 전자대전 -
마루의 종류와 기능회반죽마감으로 지게문을 단다. 마루에는 뒤주만 놓이며 뒤주 위에는 작은 단지들을 올려놓는다. 때로 대들보 위에 장대를 가로질러놓아 제사 때 사용하는 소반·병풍 등을 얹어두기도 한다. 이 대청은 안방과 건넌방을 출입하게 되는 거실 역할과 여름 거처실의 역할을 하며, 집안 대소사에 음식을 장만하고 제사를...
-
-
십이폭포 十二瀑布내용 높이 289m, 너비 4m. 십이폭포는 채하봉(彩霞峰, 1,588m)과 소반덕(1,482m) 사이의 골짜기에서 흘러온 물이 채하봉의 남쪽 벼랑을 타고 12단으로 떨어지면서 이루어진 폭포이다. 이 폭포는 구룡폭포(九龍瀑布)·조양폭포(朝陽瀑布)·비봉폭포(飛鳳瀑布)와 함께 금강산의 4대 폭포 중 하나이다. 주변에는 채하봉...
- 성격 :
- 폭포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289m
- 소재지 :
- 강원도 고성군 서면 월비산리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학성산 鶴城山편마암, 화강암이다. 북쪽에는 달기봉(達奇峰, 1,096m), 남쪽에는 장성봉(長城峰, 1,046m), 서쪽에는 제일봉(第一峰, 1,093m)·이두봉(二頭峰, 1,060m)·소반덕산(小盤㯖山, 1,028m)으로 연속되는 중심에 있다. 동서로 이어지는 산릉을 분수령으로 하여 학성산 북쪽의 계류들은 호예천(湖芮川)과 중강천(中江川)이 되어...
- 성격 :
- 산
- 유형 :
- 지명
- 면적 :
- 높이 1,276m
- 소재지 :
- 평안북도 자성군 자성면, 평안북도 자성군 장토면
- 분야 :
- 지리/자연지리
-
차례상차림 차례상, 茶禮床차림초하루 및 보름에는 하루 전에 청소와 재계를 한다. 이튿날 날이 밝으면 사당 문을 열고 신주를 모셔둔 감실의 발을 걷어 올린다. 감실마다 햇과일을 담은 소반, 찻잔과 받침, 술잔과 받침을 진설한다.”고 되어 있는데, 이를 ‘참례(參禮)’라고 명시하고 있다. 참고로 보름의 삭망(朔望)에는 술은 생략하고 차와 과일...
- 시대 :
- 조선
- 유형 :
- 개념
- 분야 :
- 생활/식생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