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종사관 從事官내용 대개 1인이었으나 그렇지 않은 군영도 있다. 포도청은 좌우 각 3인씩으로 선전관 후보자 중에서 자벽(自辟 : 소속 장관이 자의로 추천함)하며, 1인은 실직(實職)을 맡은 자가 겸임하였다. 병조의 결속색(結束色) 종사관은 국왕이 거둥하였다가 환궁할 때 성문을 여는 단자(單子)를 수납하였다. 또, 훈련도감에는...
- 시대 :
- 조선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장윤 정려 張潤 旌閭내용 1985년에 전라남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1동. 장윤의 본관은 목천(木川)으로, 순천 쌍암 학구정(현 승주읍 봉덕리 학구촌)에서 선전관 응익(應翼)의 아들로 출생하였다. 1582년(선조 15) 무과에 급제하여 발포만호·훈련원정·사천현감 등을 지냈다. 임진왜란 때 창의하여 임계영(任啓英)의 전라좌의병의 부장이...
- 시대 :
- 조선
- 유형 :
- 유적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원균 평중(平仲), 元均개설 본관은 원주(原州). 고려 태조 때의 통합삼한공신(統合三韓功臣) 병부령 원극유(元克猷)의 후손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무과에 급제하고, 선전관을 거쳐 조산만호(造山萬戶)로 있을 때 변방의 오랑캐를 무찌른 공으로 부령부사로 특진하였다. 그러다가 다시 종성으로 옮겨 병사 이일(李鎰)을 따라 시전부락(時錢...
- 시대 :
- 조선
- 출생 :
- 1540년(중종 35)
- 사망 :
- 1597년(선조 30)
- 경력 :
- 부령부사, 경상우수사, 삼도수군통제사, 전라좌병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진왜란, 정유재란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원주(原州)
-
이만도 관필(觀必), 李晩燾전적에 임명되었다가 병조좌랑에 제수되었다. 이어 사간원정언에 임명되고, 홍문관부수찬으로서 남학교수(南學敎授)를 겸하였다. 또한 대신(문신)으로서 선전관을 겸하기도 하였다. 이 후 부교리·장령·지평·우통례(右通禮)·병조정랑·충청장시도사(忠淸掌試都事)·교리·응교·사간·집의·중학교수(中學敎授) 등을...
- 시대 :
- 근대
- 출생 :
- 1842년(헌종 8)
- 사망 :
- 1910년
- 경력 :
- 사간원정언, 교리, 응교, 사간, 집의
- 유형 :
- 인물
- 직업 :
- 학자, 독립운동가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근대사
- 본관 :
- 진성(眞城)
-
대호군 건공(建功), 大護軍보직이 없는 문무관이나 여러 잡직 등에 무직을 띠게 하여 체아록(遞兒祿) 등이 주어졌다. 『속대전』에 배정된 수를 보면 직무가 없는 자에게 녹봉을 주기 위한 원록체아(原祿遞兒) 2인, 친공신(親功臣) 5인, 공신적장(功臣嫡長) 2인, 남우후(南虞候) 1인, 선전관(宣傳官) 1인, 사자관(寫字官) 1인 등이다. 참고문헌
- 시대 :
- 고려
- 성격 :
- 관직
- 유형 :
- 제도
- 시행일 :
- 조선시대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윤세기 중강, 尹世紀해 기사환국으로 아버지와 함께 파직, 유배되었다. 그 뒤 1694년 갑술옥사가 일어나 유배에서 풀려나와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 그 뒤 서북면 출신의 무신도 선전관으로 기용하라는 왕명을 실행하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다시 파직되었으나, 1705년 호조판서로 기용되었고 우참찬·한성부판윤·좌참찬·예조판서 등을...
- 시대 :
- 조선
- 출생 :
- 1647년(인조 25)
- 사망 :
- 1712년(숙종 38)
- 경력 :
- 예조참의, 우부승지, 우참찬,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 유형 :
- 인물
- 직업 :
- 문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해평(海平, 지금의 경상북도 구미)
-
신각 申恪도망쳤다는 내용의 장계(狀啓)가 올려져 당시 우의정 유홍(兪泓)에 의해 참형을 당하였다. 이날 오후 양주에서 다시 첩보가 도착하여 왕이 신각을 죽이지 말라고 선전관을 뒤따라 보냈으나, 이미 처형된 뒤였다. 무인이었으나 청렴, 근신했으므로 비명에 죽은 것을 모두 애석해하였다. 연안의 현충사(顯忠祠)에 배향...
- 시대 :
- 조선
- 출생 :
- 미상
- 사망 :
- 1592년(선조 25)
- 경력 :
- 경상좌수사, 강화부사, 경상도방어사
- 유형 :
- 인물
- 관련 사건 :
- 임진왜란
- 직업 :
- 무신
- 성별 :
- 남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본관 :
- 평산(平山)
-
칠천량해전 漆川梁海戰적을 당해낼 수 없어 대부분의 전선들이 불타고 부서졌다.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와 충청수사 최호(崔湖) 등 수군 장수들이 전사하였다. 원균도 선전관 김식(金軾)과 함께 육지로 탈출하였다. 그러나 원균은 일본군의 추격을 받아 전사하였다. 경상우수사 배설만이 12척의 전선을 이끌고 남해 쪽으로 후퇴하는 데...
- 시대 :
- 조선
- 발생 :
- 1597년(선조 30) 7월 15일
- 성격 :
- 전투, 해전
- 유형 :
- 사건
- 분야 :
- 역사/조선시대사
- 관련 인물/단체 :
- 원균
- 관련 장소 :
- 칠천량(지금의 거제시 하청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