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황진

다른 표기 언어 黃進
요약 테이블
출생 1550(명종 5)
사망 1593(선조 26)
국적 조선, 한국

요약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장수. 자는 명보, 호는 아술당. 아버지는 윤공이다. 1572년(선조 5) 무과에 급제한 뒤 선전관·거산도찰방·안원권관을 역임했다.

1590년 황윤길·김성일(金誠一)·허성(許筬) 등이 일본에 통신사로 갈 때 군관으로 따라갔다. 일본에서 돌아온 후 재산을 털어 말을 사고 밤낮으로 무예를 익히면서 일본의 침략에 대비했다.

1592년 동복현감으로 재직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의 휘하에서 참전했으나 용인전투에서 대패했다. 그러나 이후 진안·안덕원·이치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했고, 그 공으로 익산군수 겸 충청도조방장에 임명되었다.

1593년 3월 충청도병마절도사가 되어 죽산전투에서 후쿠지마[福島正則]이끄는 일본군을 대파하고 상주까지 추격했다. 그해 6월 일본군이 전열을 정비해 진주성을 공략하자 김천일(金千鎰)·최경회(崔慶會) 등과 함께 성을 굳게 지켰다. 9일 동안 격전을 치렀으나 마침내 성이 함락되면서 전사했다. 좌찬성에 추증되었고, 진주 창렬사, 남원 민충사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무민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황진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