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약용버섯, 누에동충하초 재배 기술잘 하여도 사육 환경이 부적절하면 누에가 약해져 병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누에 사육에는 온도, 습도, 환기, 누에의 밀도 등이 영향을 미치며, 그 외 뽕의 질과 뽕 주는 양도 강건도와 생육에 큰 영향을 미친다. 1령부터 3령기의 애누에 때는 보온이 가장 중요한데 1, 2령 때는 26℃, 3령 때는 25℃의 온도가 적당하다...
-
-
산뽕나무 Mountain mulberry, <일>ヤマグワ상시회) - 止血(지혈), 生肌(생기)하는 효능이 있다. 水腫(수종), 金屬器(금속기)에 의한 切傷出血(절상출혈), 目赤腫痛(목적종통)을 치료한다. 유사종 • 꼬리뽕 : 잎 끝이 길게 발달한다. • 좁은잎뽕 : 잎이 우상으로 깊게 발달한다. • 가새뽕 : 잎이 5개 정도로 크게 갈라진다. 산야에 자란다. • 섬뽕 : 잎이...
- 분류 :
- 쐐기풀목 > 뽕나무과 > 뽕나무속
- 꽃색 :
- 녹색
- 학명 :
- Morus bombycis Koidz.
- 개화기 :
- 5월
-
이두용 李斗鏞, Lee Doo-yong한국, 1983) <낮과 밤>(Day and Night (Najgwa bam), 한국, 1984) <장남>(The Oldest Son (Jangnam), 한국, 1984) <돌아이>(Imbecile (Dol-a-i), 한국, 1985) <뽕>(Mulberry (Ppong), 한국, 1985) <내시>(naesi, 한국, 1986) <돌아이 2>(Dor-ai 2 (Dol-a-i 2), 한국, 1986) <고속도로>(gosokdoro, 한국, 1987) <뽕 2...
- 출생 :
- 1942년 서울
- 수상 :
- 1973년 대종상 최우수작품상(<홍의장군>),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감독부문 특별상인 ISDAP상
- 데뷔 :
- 1970년 <잃어버린 면사포>
-
진도 신비의 바닷길버린다. 이 신비의 바닷길에 얽힌 전설이 있다. 잦은 호랑이의 출몰로 마을이 피해를 입게 되자 마을 사람들이 급하게 모도로 떠나는 바람에 뽕할머니를 빼놓고 갔다. 혼자 남은 뽕할머니는 용왕님께 다시 가족을 만나게 해달라고 매일 기도를 했더니 음력 2월 그믐께 바닷길이 열려 그리운 가족과 만났으나 기진하여...
- 위치 :
-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신비의바닷길 148
-
양잠작업원냉장 처리된 누에씨(소잠)를 필요한 만큼 구입한다. 알에서 개미누에로 만들기 위하여 소잠의 종류에 따라 부화조건을 조절한다. 누에의 나이에 알맞은 뽕을 선정하여 따고 누에가 먹기 좋은 크기로 뽕잎을 썰어 깔아준다. 뽕잎이 시들거나 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닐 등으로 덮어 공기가 통하지 못하도록 하고...
- 교육수준 :
- 9년 초과 ~ 12년 이하(고졸 정도)
- 숙련기간 :
- 1년 초과 ~ 2년 이하
- 작업강도 :
- 보통 작업
- 작업장소 :
- 실내·외
- 육체활동 :
- 웅크림
- 직무기능(자료) :
- 조정
- 직무기능(사람) :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 정밀작업
- 고용직업분류 :
- [9029]기타 사육 종사원
- 표준직업분류 :
- [6139]기타 사육 관련 종사원
- 표준산업분류 :
- [A012]축산업
- 조사연도 :
- 2017년
-
큰검정풍뎅이 홀쭉검정풍뎅이삼각형 조개 모양이나 수컷은 약간 넓고, 앞쪽은 넓게 높이 솟았으며, 점각은 보통 크기이나 거칠고 드물다. 성충은 사과, 배, 앵도, 벚나무, 매화, 밤, 뽕, 포플러 등의 잎을 먹는다. 제주도를 포함한 우리나라 전 지역에 서식한다. 세계적으로는 티베트, 중국, 타이완, 아무르, 일본에 분포한다. 홀쭉검정풍뎅이라고도...
- 분류 :
- 절지동물문 > 곤충강 > 딱정벌레목 > 검정풍뎅이과 > 검정풍뎅이속
- 학명 :
- Ancylonycha parallela Motschulsky, 1854
- 국내분포 :
- 북한, 중한, 남한, 제주도
- 해외분포 :
- 티베트, 중국, 타이완, 아무르, 일본
-
뽕나무 Morus albaalba L.‘이다. 열매인 오디가 소화를 촉진시켜 방귀가 뽕뽕 나오게 한다 하여 붙은 이름이라고 전해오기도 한다. 마음에 흡족해 어쩔 줄 모른다는 뜻으로 "뽕내 맡은 누에 같다"라든가, 2가지 일을 동시에 이룸을 뜻하는 "뽕도 따고 임도 보고"라는 속담이 있으며 시대의 변천이 심한 것을 일컬어 '상전벽해'(桑田碧海...
- 분류 :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쐐기풀목 > 뽕나무과 > 뽕나무속
- 원산지 :
- 아시아 (대한민국,중국)
- 서식지 :
- 온대및 아열대
- 크기 :
- 약 3m ~ 10m
- 학명 :
- Morus alba L.
- 꽃말 :
- 지혜, 못이룬 사랑
-
윤삼육 윤태영, 尹三六또 다양한 장르를 오가면서 지속적으로 흥행작을 내어놓았다. 고영남 감독의 <소문난 잔치>(1970), 유현목 감독의 <장마>(1979), 이두용 감독의 <피막>(1980), <뽕>(1985), <내시>(1986), 임권택 감독의 <아다다>(1987), <장군의 아들>(1990) 등이 그의 작품이다. 또 1970년대 인기를 모았던 얄개시리즈인 <고교얄개...
- 본명 :
- 윤태영
- 수상 :
- 1993년 대종상과 춘사영화예술제, 영평상(<살어리랏다>)
- 데뷔 :
- 1963년 김영철 감독의 <그늘진 삼남매>(시나리오), 1983년 <참새와 허수아비>(연출)
-
-
나도향 나경손, 羅稻香銀貨白銅貨)」 · 「17원50전(十七圓五十錢)」 · 「행랑자식」을, 1924년에는 「자기를 찾기 전」, 1925년에는 「벙어리 삼룡(三龍)」 · 「물레방아」 · 「뽕」 등을 발표하였다. 1926년 다시 일본에 갔다가 귀국한 뒤 얼마 되지 않아서 요절하였다. 초기에는 작가의 처지와 비슷한 예술가 지망생들로서 주관적 감정...
- 시대 :
- 근대
- 유형 :
- 인물/근현대 인물
- 분야 :
- 문학/현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