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송악 Hedera rhombea
    있다(1991. 11. 27). 대기습도가 높은 곳과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잘 자라며, 일본·타이완·중국·유럽·아프리카에도 분포한다. 기후의 변호로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서도 자생하는 개체가 발견되었다. 활용 잎과 줄기는 지혈작용과 경련을 멈추게 하는 작용 등이 있어 한방에서 사용하며, 상록의 잎은 땅을 덮는 지피...
    분류 :
    속씨식물 > 쌍떡잎식물강 > 산형화목 > 두릅나무과 > 송악속
    원산지 :
    아시아
    서식지 :
    해안, 숲속
    크기 :
    약 10m
    학명 :
    Hedera rhombea (Miq.) Bean
    꽃말 :
    신뢰, 우정
  • 의로움을 만천하에 드러내다
    북악산과 이어지는 문이 바로 창의문(彰義門)이다. 자하동에 있어서 자하문(紫霞門)이라 불리기도 했다. 장의동은 세검정 부근 마을로, 청운동에서 부암동으로 넘어가는 고개 마루턱에 있다. 창의문이 있어 창의동이라 하던 것이 음이 변하여 장의동이라 하였고, 또 주변에 장의사(藏義寺)란 절이 있어 동네 이름으로...
    관련 장소 :
    창의문
  • 대원군 별장 大院君 別莊
    내용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이 건물은 본래 종로구 부암동 16번지 1호에 있는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별장에 딸린 별당(別堂)으로서 정자인 석파정(石坡亭)과 같이 있었다. 1958년 소전(素筌) 손재형(孫在馨 ; 1903~1981)이 집을 지으면서 뒤쪽 바위 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한...
    시대 :
    조선 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북악 터널
    터널 단면은 순차선너비 9.7m이며, 노견폭 및 유지관리원의 통행에 필요한 좌우 각각 1.2m의 공간이 있다. 터널의 서쪽 지역인 서대문구 홍은동, 종로구 부암동·평창동, 은평구와 터널의 동쪽 지역인 성북구 정릉동, 강북구·동대문구 사이의 교통소통에 큰 도움이 되어왔다. 시설이 노후해 누수방지와 벽면 미관을...
    도서 다음백과 | 태그 서울
  • 안평대군 이용 집터 무계정사(武溪精舍), 安平大君 李瑢 집터
    개설 197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안평대군이 사용하던 정사 터로 서울특별시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한다. 2003년 12월 5일에 ‘무계정사(武溪精舍)’에서 ‘무계정사지’로 문화재청(현, 국가유산청)에서 정한 명칭이 변경되었다가 다시 안평대군 이용 집터로 변경되었다. 내용 조선...
    시대 :
    조선 전기
    유형 :
    유적
    분야 :
    예술·체육/건축
  • 목인박물관 목석원 木人博物館 木石苑, MOKIN MUSEUM Mok Seok Won
    2005년 서울시 제19호로 제1종 전문박물관으로 등록되었고 2006년 3월에 정식으로 개관하였다. 2006년 종로구 인사동에서 개관한 목인박물관은 2019년 부암동으로 이전하여 목인박물관 목석원으로 재개관하였다. 현황 총 12,000여 점의 다양한 목인을 소장하고 있다. 상설 전시실에는 근대 및 현대에 이르기까지 상여...
    시대 :
    현대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5길 46-1(부암동)
    설립 :
    2005년 11월 25일
    성격 :
    제1종 박물관 (서울시 등록 제19호)
    유형 :
    단체
    설립자 :
    김의광
    분야 :
    예술·체육/회화
  • 환기미술관
    김환기 작품의 상설 전시와 특별전, 현대미술에 대한 각종 기획전과 행사를 병행하고 있다. 수도권 지하철 3호선 경복궁역 3번 출구나 5호선 광화문역 교보빌딩 앞으로 나와서 연계버스를 이용해 부암동주민센터에 하차하고 미술관 이정표를 따라 걸어가다 보면 미술관이 보인다. 참고문헌 http://www.whankimuseum.org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40길 63 (부암동)
    설립자 :
    재단법인 환기재단 설립자 김향안
  • 힙스터 hipster
    된 이후 그곳엔 일부 힙스터만이 남아 있을 뿐이다. 남들의 손이 닿지 않는, 소란스럽지 않은 곳을 찾아 비정기적으로 주거지를 옮긴다. 최근에는 부암동이나 효자동 등 조용한 서쪽 골목길의 카페와 갤러리에서 종종 발견되곤 하지만, 그들은 벌써 그곳을 떠나 있을 것이다.” 힙스터는 비아냥과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 북악스카이웨이
    웨이는 서울의 내4산의 하나인 북악산 줄기에 길을 내어 수도방위와 관광도로로 건설된 데서 유래되었다. 북악산길의 다른 이름이었다. 북악산길은 종로구 부암동 257번지(창의문)에서 미아리고개를 거쳐 성북구 종암동 29-14번지(종암로)에 이르는 폭 10 ~15m, 길이 7,150m의 2차선 도로이다. 이 길은 1968년 1월 21일...
    유형 :
    도로명
    도서 서울지명사전 | 태그 서울
  • 목인박물관 목석원
    2006년 종로구 인사동에서 개관한 목인박물관은 2019년 부암동으로 이전하여 목인박물관 목석원으로 재개관하였다. 목인이란, 전통 인물 및 각종 동물의 모습을 조각한 목 조각상을 말한다. 목인박물관 목석원에는 조선시대를 중심으로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상여장식용 조각 및 신당, 사찰을 포함한 각종 민속 목...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5길 46-1 (부암동)
    설립자 :
    관장 김의광
  • 청운공원
    언덕으로 유명하다. 서시의 시비를 비롯해 가수 이승환과 그의 팬들이 기증한 소나무 10그루, 시인의 주옥같은 시를 새겨 넣어 눈으로 감상할 수 있게 한 돌계단 등으로 모습을 갖추고 있고, 인왕산과 부암동, 종로 사직동 등 서울 시내를 조망하며 아름다운 야경을 즐길 수 있다. 참고문헌 https://korean.visitseoul.net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 119 (청운동)
  • 자하미술관
    종로구 부암동에 위치한 자하미술관은 서울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미술관이다. 도심에서 멀지 않으면서도 북악산과 인왕산이 한눈에 들어오는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1층과 2층 전시실로 이루어져 있으며, 2층 전시실에서 내려다보는 인왕산 절경이 특히 아름답다. 자하미술관에서는 자연이 살아 숨 쉬는...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의문로5가길 46 (부암동)
    설립자 :
    강종권
이전페이지 없음 1 2 3 4 5 현재페이지6 7 8 9 10 다음페이지

관련항목

멀티미디어13건

부암동주민센터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
부암동 자하미술관 가는 길
서울부암동백석동천유적
더보기